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LASH : HPSG에 기반한 한국어 분석기

        양재형(Jae-Hyung Yang),김영택(Yung-Tae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8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2

        KLASH는 언어이론으로는 정보기반문법인 HPSG를 기반으로 하고, 전산학적 도구로는 활성차트에 기반한 파싱전략을 채택한 한국어 분석 시스템이다. KLASH는 동사-의미적 정보와, 나아가서는 화용적 정보의 상황의미론적 포착을 통해 발화가 전달하는 정보의 포괄적인 형식화를 지향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의 기술을 위한 KLASH의 자질 체계를 정의하고 HPSG에 기반한 한국어 분석의 틀을 제시한다. 또한 HPSG에 적합한 파싱전략으로서의 상향식 활성차트 기법과 이에 근거한 분석시스템 KLASH의 구현을 기술한다.

      • KCI등재

        강원도 연안의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자치어 분포와 회유

        양재형 ( Jae Hyeong Yang ),윤상철 ( Sang Chul Yoon ),박정호 ( Jeong Ho Park ),최영민 ( Young Min Choi ),이재봉 ( Jae Bong Lee ),윤병선 ( Byoung Sun Yoon ) 한국수산과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5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larval and juvenil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were determined monthly from samples collected by a rectangular bottom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angwondo from March to July, 2011. Fish were collected in abundance from the northern waters from March to June. The average total length (±SD) was 11.5±1.6 mm in March increased up to 53.5±3.3 mm in June. The size distribution of sandfish by depth suggested that the fish grew waters less than 50 m deep until June, before moving deeper waters of around 100 m.

      • KCI등재

        강원도 묵호 연안에서 출현하는 대구횟대(Gymnocanthus herzensteini)의 식성

        양재형 ( Jae Hyeong Yang ),윤상철 ( Sang Chul Yoon ),박정호 ( Jeong Ho Park ),윤병선 ( Byoung Sun Yoon ),최영민 ( Young Mm Choi ),이재봉 ( Jae Bong Lee ) 한국수산과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2

        The feeding habits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were studied using 944 specimens collected from February 2011 to January 2012 in the coastal waters off Mukho, Gangwondo. Korea. The G. herzensteini ranged from 11.8 to 36.3 cm in total length (TL). The percentage of empty stomachs in G. herzcnsteini was 40.2%, and the main prey items were Pisces, Euphausiasea, and Macrura. The smallest size group (11.8-15.0 cm TL) consumed mainly Polychaea and Amphipoda. The quantity of prey increased in proportion to sculpin size. The composition of prey items and feeding habits of G. herzensteini exhibited seasonal fluctuations, that is. the main prey items during spring were Euphausiasea, whereas those during other seasons were Pisces.

      • KCI등재

        울릉도 연안에 서식하는 불볼락(Sebastes thompsoni) 성숙과 산란

        양재형 ( Jae Hyeong Yang ),이재봉 ( Jae Bong Lee ),이해원 ( Hae Won Lee ),차형기 ( Hyung Kee Cha ),김소라 ( So Ra Kim ),허요원 ( Yo Won Heo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9 No.3

        We investigated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Sebastes thompsoni in the coastal waters off Ulleungdo, based on samples collected by gill net from March 2013 to February 2014.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 gonadosomatic index (GSI), egg diameter, fecundity, and total length (TL) at 50% group maturity. The average TLs of female and male S. thompsoni were 22.6 cm and 22.5 cm, respectively. The main parturition period of females was during March and April. The GSI of females began to increase in January, and reached a maximum in March. The GSI of male reached a maximum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The spawning period of males was shorter than that of females. The egg diameter during gestation stage was 1.4±2.1 mm. The TL of females at 50% group maturity was 22.3 cm.

      • 시소러스와 하위범주화 사전을 이용한 격 모호성 해결

        양재형(Jaehyung Yang),심광섭(Kwangseob Shim)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9

        한국에서 보조사로 인해 발생하는 격 모호성(case ambiguity)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용언의 하위범주화 사전, 용언과 그 용언의 보어가 되는 체언간의 선택 제약, 체언의 의미 정보를 제공하는 시소러스 등의 구문 · 의미 지식과 더불어 몇 가지의 휴리스틱 규칙을 이용하며, 필수 보어의 생략이 흔한 한국어의 특성에 잘 대응한다. 중규모의 하위범주화 사전 및 시소러스를 이용한 실험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였다. An algorithm is proposed for the resolution of case ambiguity caused by the use of auxiliary postpositions in Korean language. The algorithm utilizes verb dictionary which provides subcategorization information and selectional restrictions, and the thesaurus as well as a set of simple heuristic rules. The algorithm is appropriate for Korean language where required complements are often omitted. The algorithm performed successfully in an experiment using medium-sized subcatcgorization dictionary and thesaurus.

      • 중심 스택을 이용한 한국어의 대명사 지시 해결

        양재형(Jaehyung Yang)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12

        본 논문은 한국어의 대명사 지시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중심화 이론이 가정하고 있는 중심의 지역성 가정을 받아들이지 않고, 담화 텍스트에 나타난 개체들을 저장하기 위해 중심 스택(center stack)이라는 정보구조를 사용한다. 또한 기존의 이론에서 미비한 복합문에 대한 대명사 처리 방안을 통사 구조에 근거하여 제안하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제의 텍스트에 적용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pronoun resolution in Korean language. The algorithm utilizes a center stack in order to store the discourse entities introduced in previous discourse context. The locality of center, an assumption generally made in centering theory, is not accepted in our approach. The algorithm includes a technique to handle complex and compound sentences. The paper also shows the result of an experiment where the proposed algorithm was applied to the naturally-occurring text.

      • 유통업체 브랜드의 성공요인 및 혜택에 관한 고찰과 향후 연구 제시

        양재형(Jaehyoung Yang),간형식(Hyungsik K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9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1 No.2

        Today private label(PL) brands have been growing fast around the world. PL can be seen in almost every category of consumer product due to the entry barriers of consumer goods industry became lower and easy to access manufactures. This phenomenon had made the market become more and more competitive among companies and PL manufacturer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aimed at identifying key success factors in developing PL brands and summarizing the main benefits from PL brand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developing PL brands and to summarize the main benefits of PL brand store tailers, manufacturers, and consum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conducted a wide range of literature reviews on PL brands. This study draws five common success factors (i.e., category, company, consumer, perceived quality, and price) and finds out the major benefits of PL brands to three beneficiaries. 오늘날 유통업체 브랜드(private brand)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유통시장이 전면 개방된 1996년 이후 유통업체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커가고 있다. 유통업체 브랜드는 비교적 낮은 진입장벽 등의 이유로 사실상 거의 모든 소비재 카테고리에 활용되어 시장을 넓히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유통업체들이나 제조업체들을 거의 무한 경쟁으로 내 몰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통업체 브랜드에 관한 여러 성공요인들과 유통업체 브랜드의 주요 혜택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었고, 정확한 성공 요인과 혜택에 대한 파악이 중요한 경영 과제가 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통업체 브랜드 개발의 중요한 성공 요인들을 파악하고 유통업체 브랜드로부터의 주요 혜택을 유통업체 관점, 제조업체 관점, 소비자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자료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유통업체 브랜드 개발 시, 성공요인들 가운데 다섯 가지 공통요인은 제품범주(category), 자사(company), 소비자, 지각된 품질(perceived quality), 가격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유통업체 브랜드의 주요 혜택의 수혜자인 유통업체, 제조업체, 소비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중한번역에서 구묶음을 이용한 파싱 효율 개선

        양재형(Jaehyung Yang),심광섭(Kwangseob Sh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8

        본 논문은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파싱의 전처리 단계로 도입되는 구묶음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묶음 모듈은 구묶음의 결과로 얻어지는 의존관계 제약을 통하여 분석 시스템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중국어를 위한 구묶음 시스템을 변형 기반 학습 기법에 근거하여 구현하며, 의존관계를 효과적으로 파서에 넘겨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고안한다. 구현된 모듈을 중한 기계번역 시스템에 통합하고, 중국 관련 웹사이트로부터 수집한 말뭉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구묶음의 도입이 기계번역에서 분석시스템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인다. This paper presents a chunking system employed as a preprocessing module to the parser in a Chinese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The parser can benefit from the dependency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hunking module. The chunking system was implemented using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technique and an effective interface that conveys the dependency information to the parser was also devised. The module was integrated into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corpuses collected from Chinese websit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introduction of chunking module provides noticeable improvements in the parser's performance.

      • 신제품 개발 성공요인에 관한 고찰과 향후 전망

        양재형(Jaehyoung Yang),간형식(Hyungsik Kahn)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9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1 No.2

        제품의 다양성 증가, 소비자의 니즈의 다양화, 제품 수명주기의 단축, 치열한 경쟁 상황 및 시장의 세계화로 인해 신제품 개발은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신제품 개발을 위한 핵심 성공 요인을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대한 양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신제품 개발의 중요한 성공 요인을 파악하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고, 신제품 개발함에 있어 성공 요인들 가운데서 중요한 공통 요인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초기 선행 연구를 살펴본 후, 이 연구는 공통된 신제품 성공 요인들인 소비자 니즈 요인, 기술적 요인, 시장성 요인 및 조직적 요인을 성공 요인들로 요약하였다. 최근 연구로부터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과 기술 발전을 반영하여 4가지 신제품 개발 성공 요인에 2가지 중요한 요인인 고객 참여 요인과 외부 파트너들과의 협업 요인을 추가하였다.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has become increasingly critical for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because of increased variety of products, diversity of consumers’ needs and wants, the reduction of product life cycle, severe competition, and globalization of market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aimed at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the key success factors in developing new products.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ritical success factors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analyze their effects on success.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literature, this research suggests common key factors of success factors in developing new products. Specifically, these success factors are consumer needs factor, technology factor (product quality related), market potential factor, and organizational factor (cross-functional integration related).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s dynamic aspects of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us adding two more common core success of new products, i.e., customer involvement factor and co-working with external partners factor.

      • KCI등재

        온라인 인플루언서와 브랜드 유형에 따른 브랜드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양재형(Yang, Jaehyoung),갈석(Ge, Xi),간형식(Kahn, Hyungsik)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4

        오늘날 글로벌 시장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온라인 구전(electronic word-of-mouth, eWOM)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태도에 대한 부정적 온라인 구전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가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브랜드 태도에 대한 부정적 온라인 구전의 영향력을 연구하는 것이며, 부정적 온라인 구전 노출 이전의 브랜드 태도와 노출 이후의 브랜드 태도의 변화 차이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구전 인플루언서의 유형에 따라 부정적 정보를 전달하였을 경우 브랜드 이미지 유형에 따라 브랜드의 태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 응답자들을 네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들은 2 (인플루언서: 거시적 인플루언서, 미시적 인플루언서) x 2 (브랜드 이미지 유형: 상징적 브랜드, 기능적 브랜드)로 구성되어 실험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만 2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총 21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응답자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가 부정적 온라인 구전을 할 때 브랜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징적 브랜드의 경우 거시적 인플루언서의 부정적 온라인 구전이 미시적 인플루언서보다 브랜드 태도에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기능적 브랜드의 경우 미시적 인플루언서의 부정적 온라인 구전이 거시적 인플루언서보다 브랜드 태도에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 관해서는 본 연구에서 변수로 다루어지지 않은 온라인 구전 메시지 자체의 특성에 관한 연구도 흥미로울 것이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electronic word-of-mouth (eWOM) in SNS on the global market, there is still limited understanding about the influence of negative eWOM on the brand attitud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eWOM on brand attitude and the differences in brand attitude changes between pre-brand attitude and post-brand attitude before/after negative eWOM exposure. Furthermore we examined which type of eWOM influencers has more influenced on each brand image type.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survey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which are a 2 (influencers: macro-influencer, micro influncer) x 2 (brand image types: symbolic brand and functional brand) factorial design. Out of 210 participants 200 usab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key result shows that negative eWOM of social media influencer has nega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Negative eWOM of macro-influencer has influenced more negatively on symbolic brand than that of micro-influencer, whereas negative eWOM of micro-influencer has influenced more negatively on functional brand than that of macro-influencer. In future research message itself can be another interesting variables such as emotional message vs. fact based message. Each message type may have different impact on consumer br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