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경증 치매 노년층의 사회성 회복을 위한 미술관 교육 방향성 연구

        양연경 (Yeon Kyoung Y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

        This study targeted the lives of older people and approached the social need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o prevent senile diseases and dementia and overcome dementia as follows:First,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presented by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super-aged. Second, it analyzes the need for art museum programs to prevent the risk of diseases and dementia in older adults and to recover from mild dementia. Third,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rt museum education for cultural enjoyment and social restoration and healing. This study highlighted the role of local hub mediators in art galleries for the healthy life and sustainability of older adults. It also concluded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in the museum and its future direction. First, this requires the design of Raport Buildings and mid- to long-term programs that provide trust and intimacy. Second, art museum education for older people with mild dementia requires mutual cooperation and balance between artists, therapists, supervisors and curators. Third, for art museum programs that help overcom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recover from daily life, we need guidelines for designing healing activities museum services that everyone communicates and interacts with.

      • KCI등재

        미디어 아트와 기하학 중심의 과학예술 융합형 STEAM 프로그램 콘텐츠 현장 평가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이부연(Lee, Boo 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STEAM 콘텐츠 분석 및 파일럿 테스트를 통한 과학예술 융합형 STEAM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콘텐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둘째, 미디어 아트와 프랙탈 기하학을 응용함으로써 기초학문 중요성과 응용학문의 확장 가능성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 융합교육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셋째, 프랙탈(Fractal) 주제 수업과 미디어아트 체험 교육 등을 예술 감상 수업과 수학적 원리의 기초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여 첨단기술과 공학 분야의 응용 사례까지 폭넓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총8차시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랙탈의 신비-기초 도형 탐구, 프랙탈과 자연의 조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마술, 코흐 곡선과 반복 이미지 탐구, 평면에서 입체까지, 꿈의 공간 창조 등의 융합교육 교과 내용으로 시범학교 파일럿 테스트 수업이 진행되었다. 1차로 완료된 STEAM 교재를 중심으로 총 8차시에 거쳐 파일럿 테스트 수업을 진행하면서 5학년 50명, 6학년 50명, 총 100명을 기준으로 시행되었다. 파일럿 테스트의 교육 효과성 분석 결과, 진로 모색과 교과 참여도를 분석하는 영역에서는 ‘도전의식이 생겼다’라는 항목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본인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항목의 응답이 두 번째로 높았다. 학생들이 문제의 접근의지와 과제 해결을 위한 자신감이 상승하였음을 알아볼 수 있다. 문제해결력과 상호협력 인성의 총평가 분석에서는 문제해결을 스스로 생각하는 자립성, 학습활동을 끝까지 해내는 인내성,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는 타인 의견 존중 등의 응답이 공동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STEAM 융합교육 활동이 이처럼 공동의 협동 및 인성함양과 문제해결력을 높이고, 다양한 해결 방안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개가 됨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content completeness of the STEAM program by analyzing STEAM content and pilot test. Second, by applying media art and fractal geometry, it provides a fusion education that can learn the importance of basic science and the possibility of extension of applied sciences at the same time. Third, it is to expand the opportunities to learn the basic concept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and mathematical principles in Fractal subject and media art experience education, and to lear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high technology and engineering field. This study consisted of 8 classes in total: Basic Introduction of Fractal-Fractal and Nature-Sierpiński Gasket-Exploring Koch curves and repeated images-From Surface to Dimension Dream Space. And we conducted pilot school pilot test lesson with fusion education. Pilot test lessons were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eight courses, focusing on the STEAM textbooks completed first. The test was conducted on 50 students in grade 5, 50 students in grade 6, and a total of 100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ilot test, the response rate of the item "having a sense of challenge" was the highest in the analysis area. The second highest response was "I participated actively in class". Students will find that their willingness to approach the problem and their confidence in solving the problem have risen. The ratings analysis of mutual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humanity accounted for thinking about solving problems self-reliance with finishing of learning activities, patience, and respect opinion with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responses are highest rate. This study shows that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ctivities are important mediators for enhancing joint cooperation and toughness,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improving accessibility of various solutions.

      • KCI등재

        경증 장애인의 미술관 융합교육 모델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본 연구는 경증 장애인의 참여를 촉진하는 미술관 융합교육 모델 수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목적을 제시한다. 첫째, 배리어프리(barrier free)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공동체 의식 확산, 둘째, 교육 전문가의 전문성 향상 및 장애인 관람객 서비스 제고, 셋째, 미술관 담당자를 위한 장애인의 객관적 이해 및 라포 형성 분석, 넷째, 미술관 교육의 융합 서비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기초 모델 수립 등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 자녀 학부모, 특수교사, 큐레이터, 의료인, 대학교수 등, 12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증 장애인을 위한 미술관 융합교육 모델은 접근성 탐색-참여 확대 및 기회 제공-흥미 유발과 사회성 연구-종합 검증-몰입과 만족감 경험-교육 효과성 평가-환류 및 재적용 등의 순환적 사이클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뮤지엄 교육 슈퍼비전과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미술관 융합 교육을 통한 사회성 향상, 둘째, 미술관 전문가의 장애인 교육 전문성 강화 및 미술관 업무 고도화, 셋째, OBL 방식과 액션 러닝을 겸한 미술관 교육 에듀테인먼트 구현, 넷째, 교육 콘텐츠 구현의 포용적 가이드라인 구축 등을 기대할 수 있겠다. This work presents the following objectiv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rt gallery convergence education model that promotes the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First, expanding the Barrier Free Museum education program and spreading community awareness, Second,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experts and improving the service of disabled visitors, Third, the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nd the analysis of ‘Rapport building’, and Fourth, establishment of basic model of convergence service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conducted FGI for 12 people, includi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acher for the disabled, curators, medical specialist, and university professors. As a result, the art museum convergence education model for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was able to derive cycles Exploring accessibility- Expanding participation and providing opportunities-Inducing interest and social studies-Comprehensive verification-Integration and satisfaction experience-Evaluating educational effectiveness-Feedback and re-application, etc. This study summarizes the effective museum training supervision and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can expect to improve social skills through art museum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strengthening art museum workers expertise in education for disabilities, Third, implementing OBL methods and action-learning art museum education edutainment, and Fourth, establishing inclusive guidelines for educational contents.

      • 경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의 미술관 교육 접근 방향 연구

        양연경 (Yeon Kyoung Y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accessibility and effective direction of art museum education for people with mild autism spectrum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we study the possibility of self-expression,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improvement among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abilities in art museum education participation. Second, families of the disabled participate in art museum activitie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expanding art experiences, psychological healing, and mental recovery. Third, in art museum education, we propose to implement an inclusive role through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physical sensory function recovery, and talent expression of people with mild autism spectrum disabilit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museum education for people with mild autism spectrum disabilities should be operated as a class that attempts experiential activities and various exploration. Second, by expanding the family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burnout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psychological healing, recovery, and art enjoyment. Third, it should be expanded to all citizen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rt museum education where all citizens can participate together in a barrier-free space.

      • KCI등재

        프랙탈 디자인과 첨단 미디어 아트 기반의 과학예술 융합형 STEAM 콘텐츠 개발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예술의 창의성과 과학의 탐구적 접근성, 공학과 기술의 새로운 응용력, 수학의 논리적 전개성 등을 균형있게 적용하여 창조적 아이디어를 활용함에 따라 각의 상황에 놓인 환경이나 조건 속에서 본질적인 문제 해결력을 키우는 융합형 교육 콘텐츠를 개발함에 목적이 있다. 대주제로서 첨단 미디어 아트 기반의 인간공학 융합교육을 다룸에 있어 초등학교 3학년~6학년,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2012년 개정교육과정의 구성 방향에 따른 교과과정을 반영한 “첨단 미디어 아트: 인체-공간-빛-로봇, 새로운 확장” 이라는 과학예술 융합형 STEAM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5~6학년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기획한 “점-선-면-입체, 그리고 꿈의 공간: 드림 스페이스(Dream Space)” STEAM 교육콘텐츠 개발 과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프랙탈 개념을 응용한 수업은 수학, 과학, 기술 분야들은 시각예술 및 디자인 영역에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하며, 특히 현대수학의 다양한 응용사례들이 기술과 미디어 활용의 새로운 문화 혁신을 가져온 만큼, 미술 교과 내 디자인 주제 중심의 수업 내용과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 수업 개발 과정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랙탈 개념 기반의 융합 교육콘텐츠는 개인의 아이디어로 자유롭게 접근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시각적으로 직접 표현해보면서 넓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다수의 학생들이 상호 협력의 과정을 문제해결력과 응용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과학예술 융합형 STEAM 콘텐츠 개발의 성과는 하나의 주제로 다양한 교과의 접근을 기반으로 학습과 제작 실현을 통한 수업의 이해와 장기기억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인의 창의력 신장과 의사소통과 협력중심의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으며, 미디어 아트 및 홀로그램의 학습을 통해 디자인 중심의 융합 교육 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수법 개발과 수업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This study utilized a balanced application enables new application ability, logical, mathematical personality before the exploratory accessibility, technology, engineering and creativity in the arts, science, and balancing the creative ideas. According to this, the study has the purpose of convergence training program content development raise the inherent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nvironment or conditions placed on the respective situation. Main Theme is: a “New Media Art: Human-Space-Lights-Robot, New Expansion”, this has a reference of 〈201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state-of-the-art media art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onvergence of the structure of human engineering education. This research is art-science converged STEAM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from third grade to sixth grad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youth, so it is central to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with access to a wide variety. Specially, it was studied on elementary school higher grades courses STEA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process for “Point-Line and Curve-Surface-3Dimension, and Dream Space” intensively. This convergence education classes Content fractal concept was introduced, in conjunction with mathematics textbooks were designed to enhance the knowledge of geometry. This course(fractal concept Sierpinski triangle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Koch curve and the repeated image patterns study, hologram production techniques using fractal visual images) are capable of math, science and technology is creative approach to the visual arts area with giving the innovation and potential. Fractal convergence Education helps to free access to the personal ideas, easy to understand using various media, and collaborative process, so this can make to increas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pplic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the Arts-Science Convergence STEAM Contents derived from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lesson through realization of learning and production and the long-term memory learning effect, based on the approach of various subjects to a single topic. It can also enhance the creativity of individuals and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center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the study of Media Art and Hologram, it is possible to develop pedagogy and plan the less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design-oriented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s.

      • KCI등재

        전문대학 스마트IT 전공의 NCS 융합형 UX/UI 디자인 수업 CQI 효용성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IT 및 콘텐츠 분야와 디자인 분야의 융합 특성이 반영된 스마트IT(학)과의 NCS 효과성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목적과 주요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내 전문대학 스마트IT(학)과의 공학 분야 전공교과 수업, UX/UI 디자인 수업의 구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둘째, NCS 기반 UI디자인 교과수업이 스마트IT 전공에서 반영되는 세부 포지셔닝과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NCS 모듈과 능력단위요소 CQI 분석을 통하여 전문대학 스마트IT학과 내 UX/UI 디자인 수업 수업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함이다. 본 연구는 [앱콘텐츠제작] 교과목의 최근 3개년 NCS 분석과 CQI 평가를 시행하면서 UX/UI 디자인 교과목 차별화 전략과 수업의 효능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B전문대학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2017년 21명, 2018년 28명, 2019년 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NCS 능력성취도를 5개 등급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CQI를 분석해보면, 2018년 분석이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1인당 졸업작품 포트폴리오 산출 건수, 상위권 성취도 분포율, 자가실무능력 평가 향상도 최고점 등이 가장 높은 효과성을 보여준다. 다양한 분야의 포트폴리오 산출 기회가 많았던 2019년 CQI는 능력단위요소의 향상도 편차가 매우 적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직무능력을 골고루 갖추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새롭게 개편된 교육과정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IT과의 [앱콘텐츠제작] 교과목으로 운영된 UX/UI 디자인 수업 CQI 효용성 시사점과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UX/UI 디자인 교과목은 다양한 기획력과 창의성을 토대로 완성할 수 있는 직무능력표준 평가항목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과업(Task) 범위가 웹, 모바일앱, 게임, 공공데이터 SW, IoT, 챗봇 개발 등으로 범주를 함축하여 학습자들에게 제안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콘텐츠 프로젝트를 다루면서 공통적인 UX/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충분히 숙지할 수 있는 학습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3학년 과정에서 융합디자인 연계형 스마트 콘텐츠 제작이 효과적으로 산출될 수 있는 체계적인 로드맵이 구축되어야 한다. The main objectives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NCS effectiveness study with the Smart IT department, which reflects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IT, contents and design fields. First, the composition status of major courses in engineering, UX/UI design classes in smart IT (department) of domestic junior college was analyzed. Second, NCS-based UI design curriculum was analyzed for detailed positioning and effectiveness reflected in smart IT majors. Third, significant implications of UX/UI design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smart IT in specialized universitie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NCS modules and capability unit factors CQI. This study derived the strategy of differentiation of design subjects and the implication of the efficacy of classes while conducting the recent three-year NCS analysis and CQI evaluation of [App Contents Production] subjects. The scope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5-grade-NCS performance among 21 students in 2017, 28 in 2018 and 26 in 2019. When analyzing the CQI of this study, the 2018 analysis was evaluated as the most positive. his shows the highest effectiveness in calculating the number of graduation work portfolios per person, the distribution rate of top achievement, and the highest score in self-practice evaluation. The 2019 CQI, which had many opportunities to calculate portfolios in various fields, also shows a very small variation in the improvement of capacity unit factors. This shows that students are evenly equipped with job skills, but suggests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the newly reorganized curriculum. This study summariz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nd sugges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UX/UI design class of the [App Contents Production] subject of the Smart IT department. First, the application content production subjects should reflect the evaluation items of job competency standards that can be completed based on various planning skills and creativity. Second, the scope of task(Task) should be proposed to learners by connotation categories such as web, mobile apps, game, public data SW, IoT, Chatbot development, etc. Third, it should be operated around a learning curriculum that addresses a variety of content projects and is fully familiar with common UX/UI design guidelines. Fourth, a systematic Road-map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production of smart content linked to convergence design can be effectively calculated in the third grade course.

      • KCI등재

        경증 치매 노인의 소통 향상과 사회성 회복을 위한 미술관 융합교육 가이드라인 모델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본 연구는 경층 치매 노인의 사회성 회복을 위해 미술관에서 필요한 융합 교육 가이드라인의 모델을 설정하는 것이다.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의 문화생활과 삶의 질을 고찰 분석하기 위하여, 코로나19 기준의 노년층 미술관 활동 참여 변화와 이슈를 분석하였으며, 미술관 및 치매안심센터 협력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둘째, 소통 능력 및 사회성 향상 중심 미술관 예술치유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을 위하여, 미술관 방문형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및 지역 치매안심센터 방문형 문화예술치유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미술관 컨소시엄형 노년층 문화예술 융합교육 결과를 평가 분석하였으며, 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 노년층 대상 미술관 융합교육 모델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미술관 큐레이터와 에듀케이터가 활용할 수 있는 경증치매 노년층 대상의 효과적인 융합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guideline necessary in the art museum to restore the sociality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e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nges and issues in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art galleries based on COVID-19 were analyzed, and the necessity of a cooperative culture and arts healing program for art galleries and dementia relief centers was proposed. Second, For the efficiency of operating art healing programs at art galleries focusing o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ity, the case of art healing programs at art museums and culture and arts healing education programs at regional dementia relief cent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rd, the results of culture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were evaluated and analyzed, and a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was proposed. In conclusion, guidelines for convergent education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that can be used by museum curators and educators were proposed.

      • KCI등재

        경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사회성 향상과 재능 발현을 위한 미술관 융합교육 가이드라인 모델 연구

        양연경(Yeon Kyoung Y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본 연구는 효과적인 미술관 융합교육 가이드와 모델 설정을 위해, 첫째, 자폐성 발달장애인의 미술관 참여 활동의 기회를 넓히는 미술관의 지역적, 사회적 역할 재정립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 가족 보호자들의 미술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예술 향유, 문화 소비 기회의 확대, 마음 회복, 자아탐색 등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미술관 전시연계 교육의 사회적 융합 플랫폼 확장의 다양한 시도와 새로운 역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미술관 융합교육 가이드라인에서 소통·치유·공감·나눔·지지 등의 영향력이 반영된 통합 모델 유형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교육에 집중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관 현장 수업 리빙랩과 감상 활동의 진행을 통해 ICOM 뮤지엄위크 주제에 맞추어 드림캐쳐 공예수업, 리본자수 가족액자 협업수업 2개 커리큘럼 운영을 분석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본 연구는 미술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물리적, 사회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인 돌봄의 공백이 미술관 교육으로 연계될 수 있는 이중 강점의 필요성도 제안하였다. 특히, 미술관과 장애인 단체, 공공기관이 거버넌스로 협치하는 방안도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적극적인 참여와 능동적 탐색을 돕는 미술관 액티브 러닝의 필요성을 연구하여 뮤지엄 현장에 적용되는 통합형 미술관 융합교육 가이드라인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museum convergence education guide and model, this study first sought ways to redefine the local and social role of art museums for the people with autism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art enjoyment, mental recovery, and self-exploration were analyzed, an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family guardians in art museum programs. Third, various attempts and new role implications were derived to expand the social convergence platform of art museum exhibition-linked education. Fourth, an integrated model such as communication, healing, empathy, sharing, and support was established in the guidelines for convergence education at the Museum of Art for the Disabled in the Autism Spectrum.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by analyzing the operation of two curriculums, Dreamcatcher Craft Class and Ribbon Embroidery Family Frame Collaboration Class, in line with the theme of ICOM Museum Week.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study presented physical and social solution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art museums. I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a dual strength that can lead to art museum education. In particular, it emphasized the need for art museum,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and public institutions to cooperate with governance. In addition, by studying the necessity of active learning in art museums, the needs to expand guidelines for integrated art museum convergence education was suggested.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서비스의 효과적인 융합 다이내믹스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본 연구는 2020년 ‘팬데믹’ 상황 이후 뉴노멀 시대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예술감상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특히 시각예술 영역에 초점을 두어 효과적인 전시 감상을 위한 예술감상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비대면 소통 중심의 예술 공감대를 만족시키는 전시 감상 융합 다이내믹스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온라인 전시 감상 사례 연구는 “Cave-Simulation”, “2020 미술주간”, “찾아가는 예술처방전”, “같이 있는 가치”, 등, 4개의 감상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신진작가 및 예비 작가들의 전시 공간 문제, 비대면 기반의 온라인 미술관 전시 현황과 실태, 코로나 우울감(Corona Blues)을 극복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예술치유 활동,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연출한 온라인 전시 콘텐츠와 동영상 오픈 포럼 서비스 등은 문화 접근성 취약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문화 접근성 취약계층을 위한 온라인 전시 감상 융합 다이내믹스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유연한 감상 활동을 돕는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리터러시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 확산에 따른 예술감상 채널를 고도화 해야 한다. 셋째, SNS를 통한 공감대 형성과 에듀테인먼트 방식의 전시 감상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넷째, 배리어 프리의 개념을 인지하고, ‘치유’와 ‘위로’의 예술감상 서비스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해야 한다. 전시 감상 융합 다이내믹스 모델은 접근성, 감상 분야, 공유와 확산, 예술의 치유 등에 집중하는 예술감상의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studied the user experience design of online art appreciation for the vulnerable class of culture accessibility in the New Normal era after the "Pandemic" situation in 2020. In particular, it sought an art appreciation service for effective exhibition appreciation by focusing on the field of visual arts, and implemented the exhibition appreciation Conversion Dynamics to satisfy the artistic consensus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case study in this study identified each characteristic by analyzing four appreciation services: "Cave-Simulation", "2020 Art Week", "Visiting Art Prescription" and "We are linked".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services and video open forum services provide various examples of cultural accessibility vulnerabilities: These examples present various examples of cultural accessibility, including exhibition space problems for young and prospective artists, non-face-to-face online art museum exhibition and exhibition contents and video open forum services for people who want to overcome Corona Blues. Th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convergence dynamics for the cultural accessibility vulnerable clas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iteracy of smart media is essentially needed to help with flexible appreciation activities. Second, art appreciation channels should be enhanced due to the proliferation of video content platforms. Third,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to form a consensus through SNS and to appreciate the exhibition of the edutainment method. Fourth, recognize the Barrier-Free concept and discover the new value of "healing" and "comfort" art appreciation services. The exhibition appreciation convergence dynamic model will present the direction of art appreciation focusing on accessibility, field of appreciation, sharing and diffusion, and healing of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