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쟁적 주제 ‘차별과 혐오’를 다룬 고등학교 사회현안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안혜정 ( Ahn Hye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2020년 서울시 고등학교에서 진행된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라는 주제의 사회현안 프로젝트 교과 융합 수업을 학생과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논쟁적 사회현안을 다루는 교육과 관련한 시사점과 과제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업에 참여한 학생과 교사를 면담하고, 수업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은 코로나19로 더욱 어려워진 학교 공동체를 혐오로부터 안전하고 행복한 곳으로 만들기 위한 교육활동을 고민하며 시작되었다. 교사들은 교원학습공동체의 공부 모임을 통해 수업을 준비했다. 1학년 수업을 하는 여러 교과(국어, 영어, 사회, 과학, 한국사)가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의 큰 주제에 맞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2∼3개월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평소에 생각해 보지 않았던 ‘미세차별(micro-aggression)’과 같은 차별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가졌으며, 차별과 편견, 혐오에 대해 좀 더 민감함 감수성을 가지게 되었다. 교사들은 동료와 함께 하는 도전을 통해 사회현안을 다루는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 공동체 안에서 논쟁적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안전한 공간이 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논쟁적 사회현안을 다루는 수업을 위해서는 교원학습공동체를 활용한 협력, 토론 외에 프로젝트와 같은 다양한 수업 방법의 적극적 활용, 학생 중심의 학생 주도성 확보,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의 민감성을 고려하는 교사 역량, 민주적 학교 문화, 학교에서 논쟁적 사회현안을 다루기 위한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shown in the project-based classes on controversial issues with the subject of 'Beyond Discrimination and Hate’ conducted by high schools in Seoul in 2020. It aims to know processes of the class and experience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discuss implications of education dealing with controversial issues. To this end,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nducted, and related document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eachers prepared classes through th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practiced classes which correspond with each subject’s curriculums in relation to the topic.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es had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discrimination and hate such as ‘micro-aggression’ and got sharper sensitivity toward discrimination and hate. Teachers became more confident in classes covering controversial issues through cooperation with colleagues. It was found out that to effectively deal with controversial issues in a community, thorough preparation and ways to make the community become a reliable and democratic place are needed.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that cooperation through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ecuring student ownership, teachers’ consideration of sensitivity, democratic school culture, and social consensus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help schools are needed for classes covering controversial issues.

      • KCI등재

        공립유치원의 조직풍토가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안혜정 ( Hyejung Ahn )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립유치원을 단설유치원과 병설유치원으로 구분하여 조직유형에 따른 조직풍토가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소재의 공립유치원 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립유치원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전문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설유치원의 조직풍토 중 동료관계와 원장지원은 교사 전문성에 정적 영향력을, 의사결정은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설유치원의 조직풍토 중 전문성지원과 목표합의는 정적 영향력을, 원장지원은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립유치원의 조직유형에 따른 관리자 교육 및 교사 전문성 개발의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public kindergartens and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Further, it attempted to examine the organizational climate’s influence on professional competence across two types of kindergartens; public detached kindergartens and public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A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from 228 teachers from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ublic kindergartens’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Second, among the sub-factors in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public detached kindergartens, collegiality and supervisor suppor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while decision-making had a negative influence. Third, among the sub-factors in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public elementary school-affiliated kindergarten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growth and goal consensus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while supervisor support had a negative influ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kindergarten, a differentiated idea of policy is suggested to appropriately support managerial learning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전문성 신장 업무의 자율성 및 잡 크래프팅의 관계와 영향

        안혜정 ( Ahn Hye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자율성 및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살펴보고,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변인 중 자율성과 잡 크래프팅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 업무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 교사 527명이었으며,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고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자율성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잡 크래프팅 하위요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자율성 및 잡 크래프팅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자율성은 잡 크래프팅에 유의한 예측력을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수몰입은 잡 크래프팅 하위요인 모두에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인이었고, 자율성의 각 하위요인은 잡 크래프팅 하위요인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 하위요인 중 업무방법은 과업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 하위요인 중 의사결정은 인지 크래프팅과 관계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 업무에서 잡 크래프팅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교수몰입 증진 필요성과 업무 자율성 확대 및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flow, autonomy and job crafting in kindergarten teachers, and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on job crafting. Among the variables, autonomy and job crafting were examined only in the work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527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teaching flow and autonomy for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crafting for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utonomy and job crafting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autonomy emerged as the variables showing a significant prediction for job crafting. It was found that teaching flow was the variable exerting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on all of the subordinate factors to job crafting, while the subordinate factors to autonomy wielded different effects subject to the subordinate factors to job crafting. Work methods under autonomy were shown as a significant predictor which had effect on task crafting. Decision-making under autonom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which had effect on both cognitive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for increasing teachers’ teaching flow, and plans to expand and strengthen work autonomy was discussed in order to enhance job crafting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 및 차이

        안혜정(Ahn, Hyej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수업 관련 직무특성에 대한 전반적 양상과 개인 및 기관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수도권 소재 공립과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565명을 대상으로 수업 관련 직무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Morgeson과 Humphrey(2006)가 개발한 ‘직무설계 설문지’(The Work Design Questionnaire: WDQ) 중 직무특성 부분을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의 하위 요인은 모두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 중 전체성이 가장 높았고 피드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개인 변인인 교직 경력, 교육 정도에 따라 수업 관련 직무특성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의 교직 경력,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수업 관련 직무특성의 모든 하위 요인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의 기관 변인인 기관 유형, 기관 규모, 근무 시간, 월 급여에 따라 수업 관련 직무특성의 하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기관 규모가 작고, 근무 시간이 짧을수록(피드백 제외), 월 급여가 높을수록 수업 관련 직무특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수업 관련 직무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사의 직무수행을 지원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general patterns of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To look at the job characteristics of 565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capital area, the job characteristics part in the ‘The Work Design Questionnaire (WDQ)’ developed by Morgeson and Humphrey (2006) were surveyed. The study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levels of all the sub-variables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have been found to be higher than normal, with identity the highest and feedback the lowest. Second,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variables of their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wo of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i.e., teaching career, and level of education. In other words, longer time of teaching career, and higher levels of education would be linked with higher levels of their perception in all the sub-variables of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Third,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variables of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institutional variables, i.e., type of institution, size of institution, working hours, and salary. That is, working in a public kindergarten, working in a smaller-sized institution, less hours of working (excl. feedback), and higher salary would b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fundamental data would be provided to help understand teaching-related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support their teach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