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 무용 수업에서 K-POP댄스를 활용한 질적 연구: 무용예술강사를 중심으로

        안창용 영남춤학회 2021 영남춤학회誌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ance educational program by conducting a dance class using K-POP dance in a dance class of middle schools. To this en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art instructor classes were conducted with K-POP dance for 4 months. In particular, by applying the dance literacy mentioned in the 2011 dance education standard development research to this study, it focuses on developing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dancing, reading dance, making dance, and sharing dance through dance experience.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of K-POP dance class as a dance play was derived as a key theme. As a result, sub-themes were derived from active participation in a class through internalization of idols, and recognition, 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a fun play. Second, it was derived the point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K-POP d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ub-themes were statements that demanded the need for a teacher who can professionally guide K-POP d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As mentioned above, K-POP dance has also been confirmed to be useful as a dance education program, but it was believed that a fundamental solution in the environmental aspec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이 연구는 중등학교 무용 예술강사 수업에 K-POP댄스를 활용한 무용 수업을 진행해 봄으로써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 5명을 선정하여 4개월간 K-POP댄스로 예술강사 수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2011년 무용교육표준 개발 연구에서 언급 되었던 댄스 리터러시(Dance literacy)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응용 및 적용하여 춤 체험을 통한 춤추기, 춤 읽기, 춤 만들기, 춤 나누기의 종합적인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K-POP댄스 수업을 무용놀이로 인식하는 것이 핵심주제어로 도출되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아이돌의 내면화를 통한 적극적 수업참여, 재미를 통한 놀이로 인식, 수용 그리고 변형과 창작으로 도출되었다. 즉, 단순히 춤만 모방하는 K-POP댄스가 아닌 댄스 리터러시에 근거하여 춤을 추고, 춤을 만들고, 춤을 읽고, 춤을 나눌 수 있는 능력을 신장 시켜줄 수 있는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K-POP댄스가 무용수업의 동기유발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전반적 무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K-POP댄스 교육을 위한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주제어는 K-POP댄스를 전문적으로 지도해 줄 수 있는 선생님이 필요하다는 점과 열악한 교육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진술내용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무용교육의 수혜자인 연구 참여자들 입장에서 요구했던 내용으로 주로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K-POP댄스전문 강사 배치와 공간제공, 기자재 부족 해결 등 환경적 변화를 제기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K-POP댄스도 무용교육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치가 확인되었으나 지속적인 무용예술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적인 면에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K-POP댄스가 새로운 무용 교육프로그램으로 공론화 되고 나아가 무용수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스트릿 댄스 배틀 져지(judge)의 판정경험과 가치에 관한 질적연구

        안창용 한국무용연구학회 2018 한국무용연구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릿 댄스 배틀문화에서 승패를 결정짓는 져지(judge)들의판정활동 사례를 통해 얻는 경험적 특성과 판정기준을 파악함으로써, 배틀이 가지는가치를 심층적으로 조명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배틀져지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얻은 원자료는 514개였으며, 23개의 세부영역, 10개 핵심주제, 3개 핵심어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 배틀에서 져지의 경험적특성에 대한 핵심어로는 존경의 대상 져지, Judge show, 명예직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배틀판정의 승패를 나누는 판정기준에 대한 핵심어는 먼저 직관적이면서 대동소이한 판정기준을 통해 승패가 좌우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그 다음은 판정의 딜레마로써 판정에 객관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고자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배틀의 가치에 대한 핵심어는 커뮤니티장의 배틀, 배틀문화의 다양한 시도, 배틀의 발전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트릿 댄서들은대중들에게 스트릿 댄스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론 스트릿 댄스 역사와 체계화된이론 확립, 스트릿 댄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도와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는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point for vitalization in the future and the value of a battle as inspecting judgment standards and empirical features which is gained by experiences for judging of judges who decide the issue in the street dance battle culture in depth. According to these purposes, a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ix battle judges who a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have started since December of 2016. The 61 raw materials which was crea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ncluding 23 details, ten main subjects, and three upper categories. First of all, the main keyword on empirical features of judges in street dance battles are the judge as an object of respect, Judge show, and honorary position. Second of all, the main keyword on judgement standards which decide the issue is proved that the victory or defeat is determined by judgement standards which are so intuitive and virtually identical that objectivity and fairness could be considered as the dilemma of the judgement, which needs effort to be specialized in. Last of all, the main keyword on the value and improvement point of the battle was shown as a changing battle culture and the value and improvement point. Accordingly, it resulted that street dancers need efforts to change prejudice and understanding on street dance of the public in the affirmative.

      • KCI등재

        K-POP댄스 안무가들의 안무창작 방법에 관한 경험적 특징

        안창용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K-POP댄스를 창작하는 안무가들의 창작과정과 경험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K-POP댄스 안무가로 활동 중인 연구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 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안무창작 과정과 경험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TV방송을 통해 춤을 접하고 입문하게 되었으며, 이후 댄스팀 결성과 댄스트 레이너로 활동 중 아티스트들에게 춤을 가르치게 되면서 점차 안무가와 강사로서 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기획사로부터 안무의뢰를 받게 되면 전략적 창작 방법으 로 가장 먼저 음악에 대한 ‘청각적 관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으로 음악 들으면서 곡의 분위기나 멜 로디 가사 등을 효과적이고 독창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모티브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안무 창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안무자의 성향에 따라 은둔창작방법과, 협업창작방법으로 나뉘어져 안무를 창작하고 있으며, 창작된 안무를 시현하기 위해 주변 동료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안무를 수정해 가면서 창작해 가는 과정을 알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창작과정을 거치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창작 된 안무가 실현하는 것에 대한 성취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작 게나마 K-POP댄스에 대한 학문적 담론을 형성하고 무용장르로서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process of creation and experiential features of choreographers who create K-POP da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4 research participants who work as a current K-POP choreographer were interviewed. Two points of view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choreograph have been concluded. Frist, the research participants encountered dance with TV broadcast in common, and after forming of dance team of their own and working as a dance trainer who teaches artists dance, their complex roles of both choreographer and instructor had been started. Secon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create choreograph by a management company, auditory observation was preceded as strategical creative methods. A variety of motivated sources from moods or lyrics of a song which were used to express effectively and originatively through listening the music repetitively, were verified to comprehend the process to create choreograph. Finally, according to a choreographer’s tendency, a choreograph was proceeded with either reclusive creation method or collaborative creation method. And a process was created and modifi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for demonstration of original choreograph. By going through these processes,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steem of being realizing original choreograph were showed by research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n academic discourse on K-POP dance and its spread to the dance genre.

      • KCI등재

        K-POP댄스를 활용한 교육적 가치에 관한연구

        안창용 ( An¸ Chang-yong ) 한국무용교육학회 202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2 No.3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K-POP dance, a cultural asset of Korea, and suggests definitions and concepts for terms that are currently used interchangeably. In addi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proposed to focus on educational value. Above all, a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K-pop dance changed to visual music over time, the role of dance became very important, and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change through overseas dance materials could be found. Three characteristics of K-POP dance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had a ‘compositional feature’ to maximize the visual image as a constituent feature of the dance. Second, it has a “reflection characteristics”, the code of public arts in Korea, which is reflected in the dance are represented. Third, with the advent of YouTube, access to K-POP dance has become more convenien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spreading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is way, based on the developmen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POP dance,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use the term ‘K-POP dance’ as an independent dance genre. In addit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K-POP dance was confirmed to have value as cultural art education, value as communication and healing, and educational value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a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all generations can enjoy and learn, it was able to prove as a ‘total package dance performance’.

      • KCI등재

        저스트 절크(Just Jerk) 창작 작품 ‘화랑’ 동작에 나타난 상징성사례 연구 - 2016 Body Rock Dance 대회를 중심으로 -

        안창용 ( An Chang-yo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2016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Body Rock Dance Competition에서 한국 최초로 우승한 ‘화랑’ 작품에서 동작들의 상징성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해보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무용 상징성에 관한 문헌 연구와 100회 이상 화랑작품을 시청하며 의미 있는 동작을 초단위로 나눈 뒤 상징성과 관련된 무용 영상을 비교해서 보는 영상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화랑’의 총25개 하위주제와 5개의 핵심 상징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상위주제인 상징적 동작을 구분한 결과 첫째, 신라시대의 화랑도의 기백을 표현 한 동작 둘째, 우리나라의 전통 요괴인 도깨비를 표현한 도깨비 난장 동작 셋째, 조선의 임금 즉 ‘왕의 춤’을 표현한 동작, 넷째, 우리전통의 신명나는 농악놀이를 표현한 동작 다섯째, 한민족의 무예 태권도를 표현한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그 밖에 저스트 절크의 작품 ‘화랑’ 에는 춤동작뿐만 아니라 분장, 의상, 음악에도 한국의 전통문화를 온고지신의 정신에 바탕 하여 상징적으로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강독을 통해 얼반(Urban)스타일의 춤 속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를 파악해봄으로써 무용해석의 다양성을 넓혀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figure out what are the symbolical meanings of movements in ‘Hwarang’ which won first priz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t ‘Body Rock Dance Competition’ which was taken place in San Diego, the U.S. in 2016. For study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on symbolism of dance and image analysis method comparing meaningful movements divided in seconds to the dance videos related to symbolism were used through watching ‘Hwarang’ more than 100 times. From these methods, a total of 25 sub themes and 5 types of main symbolism were emerged. Symbolical movements as the representative themes which were sorted are as follows. First expresses the spirit of Silla Hwarangdo. Second presents Najang of goblin characterized as Korean traditional goblin. Third indicates the dance of king of the Joseon Dinasty. Fourth shows Nong-ak known as a high-spirited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Fifth demonstrates taekwondo, the martial arts of the Korean race. Besides dance movements , in ‘Hwarang’ of Just Jerk’s performance, make up, costume and music symbolize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he practice of gaining knowledge of new things by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Through translation, diversity of dance analysis is expected to be extended by grasping symbolical meaning underlain in Urban dances.

      • KCI등재

        프리랜서 무용 강사들의 SNS 활용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안창용 ( Chang Yong An ) 대한무용학회 2021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9 No.4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 depth how freelance dance instructors, who are non-regular workers, are creat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career by responding to their professional reality through the use of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social media). First, the concepts and categories for SNS use of freelance dance instructors were defined, and 89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7 super-categories were derived by open coding. Second, the structure of how freelance dance instructors form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the use of SNS was derived, and based on this, a paradigm model could be produced. Specifically, in deriving a paradigm model for freelance dance instructors' SNS utilization, 'restriction of activity due to covid19' was defined as a central phenomenon, and the causal situation that caused it was interpreted as 'multiple motive for usage'. And as a context situation between the central phenomenon and the causal situation, it was shown as ‘strategic image making’. In addition, the interaction strategy to solve the central phenomenon is 'the maintenance of career as the maintenance of the identity of a dancer', and the mediating situations between the central phenomenon and the mutual strategy are derived as 'means for public relation for a job seeking activity, confirmation of on-line presence, and withdrawal symptoms'. Through these experiences and processes, the existence of an SNS account was revealed as a result of 'another identity as an owner-operator'.

      • 댄스리터리시 함양을 위한 K-POP댄스 활용 경험에 관한 고찰

        안창용(An Chang-Yong)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의 대표 문화자본으로 손꼽히고 있는 K-POP댄스의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가 10년 가까이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무용 예술강사 교육현장에서 댄스리터러시의 함양을 위한 K-POP댄스를 활용해 보았다. 대표적으로 댄스리터러시의 네 가지 영역인 춤 읽기, 춤추기, 춤 나누기, 춤 만들기로 나누어 각 영역에 K-POP댄스가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해 10개월간 질적연구 방법으로 경험의 현상들을 관찰해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춤 읽기는 가사의 서사적 스토리를 춤으로 구연, 춤추기는 K-POP댄스는 즐거운 시간으로 인식, 춤 만들기는 모두가 주인공이 되어 만들어 가는 춤, 춤 나누기는 플립러닝을 통한 수평적 정보 공유를 관찰해 볼 수 있었다. 이렇듯 순수무용뿐만 아니라 K-POP댄스는 처음으로 춤이라는 움직임을 배우고 이해하는 초등학교 교육에서 시대가 요구하는 무용교육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뒷받침해 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value of K-POP dance, which is regarded as Korea's representative cultural capital. In order to achieve that goal, I used K-POP dance for the cultivation of dance literacy in the elementary school which the researcher has been working for as a dance instructor in an education field for nearly 10 years. Representatively, it is divided into four areas of dance literacy: dance G2reading, dancing, dance sharing, and dance making, and the phenomenon of experience was observe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10 months to see what kind of experience K-POP dance has in each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dance reading is ‘narrating the narrative story of lyrics through dance’, recognizing K-POP dance as fun time’, sharing a dance is a ‘dance which everyone becomes the main character in and is made by everyone’, as for dance making, it was observed 'horizontal information sharing through flip-learning'.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pure dance but also K-POP dance can support the basis for the necessity of dance education required by the times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o learn and understand the movement of dance for the firs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