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가 블록골을 이용한 치조골수평증강술과 임프란트 식립

        안지연,김영균,윤필영,황정원,Ahn, Ji-Yeon,Kim, Young-Kyun,Yun, Pil-Young,Hwang, Jung-Wo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7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9 No.5

        In general, labiolingual or buccolingual widths of residual alveolar bone are insufficient in edentulous area, because of alveolar resorption. Horizontal augmentation is bone graft procedure with a view to reinforcing horizontally insufficient bone quantity for installation of implants. The standard method is taking appropriate amount of block bone from intraoral or extraoral autogenous bone, and solid fixation with screws or mini-plate on labial or buccal side of residual alveolar b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linical usefulness of horizontal augmentation with autogenous block bone by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ourse of 41 implants installed to 12 patients by horizontal augment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uly, 2002 to December, 2005. The mean age of patients is 52.7, from 19 to 70, and the number of men and women is each 2 and 10. Block bone was taken from symphysis, body, ramus of mandible or iliac bone. And 6 types of implants were installed simultaneously or not, the diameters of implants are from 3.3 to 5.5mm, the lengths are from 8 to 15mm. The operator added artificial bone grafting material and optionally covered with membrane. The mean periods of observation after operation and final prosthetics were 28.6 and 17.0 months. As a result, 40 among 41 implants survived, the survival rate was 97.6%. Average 0.9mm crestal resorption was observed at final point of time by periapical view of each patients. Major complication related to the procedure was numbness in 7 patients.

      • KCI등재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TMD Patients based on RDC/TMD Axis I Diagnosis

        안지연,김용우,김영구,이정윤,Ahn, Ji-Yeon,Kim, Yong-Woo,Kim, Young-Ku,Lee, Jeong-Yun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2011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6 No.1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the facial skeletal patterns previously reported to be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in other studies could be consistently observed in the TMD patients diagnosed according to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RDC/TMD) Axis I and evaluate its usability in the orthodontic clinics to examine the patients with TMD related symptoms. The clin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female patients who visited the TMD and Orofacial Pain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were diagnosed as TMD were consecutively filed for this study. Patients were clinically examined and diagnosed according to the revised diagnostic algorithms of RDC/TMD Axis I and the lateral cephalogram, panoramic orthopantomogram, temporomandibular joint (TMJ) orthopantomogram, and transcranial radiograph of each patient were taken and digitalized. The data of patients who were under 18 years of age or had any systemic disease, trauma history involving the TMJ, or skeletal deformity at the time of the first examination were excluded. The remaining data of 96 female patients were finally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RDC I (muscle disorders) diagnostic groups. 2. Only the articular angle of the RDC group IIc (disk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without limited opening) patients was larger than patients of the no diagnosis of RDC II group (disk displacement). 3. Larger articular angle and smaller facial height ratio were observed in RDC IIIc group (osteoarthrosis) compared to IIIa group (arthralgia). Larger articular angle, larger Bjork sum, smaller posterior facial height, and smaller facial height ratio were observed in RDC group IIIc compared to no diagnosis of RDC III group (arthralgia, arthritis, and arthrosis).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ephalometric analysis in simplified RDC groups, smaller overjet was observed in muscle disorders (MD) group. Facial height ratio and IMPA were smaller and articular angle was larger in disk displacements (DD) group than in no diagnosis of DD group. In arthrosis (AR) group, posterior facial height, and facial height ratio were smaller, and articular angle, gonial angle, facial convexity, FMA, Bjork sum, and ANB were larger than in no diagnosis of AR group. In joint pain (JP) group, only posterior facial height was smaller than no diagnosis of JP group. In conclusion, Facial morphologic patterns showing posterior-rotated mandible and lower posterior facial height is related to RDC group II and III diagnosis of the TMJ in female TMD patients. RDC/TMD Axis I diagnosis can provide a good clinical diagnostic tool for the standardized examination of the TMJ in orthodontic clinics.

      • KCI등재

        미술 감상과 부정적 정서 : 감상자가 경험하는 분노, 혐오, 당혹, 지루함, 혼란을 중심으로

        안지연(Ahn, Ji Youn),김두이(Kim, Doo I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1

        많은 감상자들이 미술 감상 과정에서 다양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감상 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분노, 혐오, 당혹, 지루함, 혼란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고 쟁점을 도출하였다. 기존 연구 고찰 결과 각각의 정서는 현상, 기제와 결과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분노와 혐오, 당혹, 지루함은 모두 작품이 자신의 목표나 가치와 일치하지 않을 때 나타나지만 그것이 의도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분노가, 내적인 쾌가 낮은 경우 혐오가, 문제의 소재가 자기 자신에게서 발생했을 경우 당혹이, 그 경험이 의미 없고 도전적이지 않은 경우 지루함으로 나타났으며 새롭지만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한 경우 혼란이 발생하였다. 부정적 정서는 대체로 거부와 회피 행동을 동반하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미적 경험에서의 특수성, 즉 부정정서가 긍정 반응을 오히려 강화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술 감상과 부정적 정서 연구에 있어서 방법론과 내용 측면에서의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Negative emotions are frequently appeared during the art appreciation, especially from contemporary art. However, the topic of specific negative emotions in art appreciation has often been neglected.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egative emotions in art appreciation by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focusing on anger, disgust, embarrassment, boredom, and confusion. As a result, each emotion was shown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aspect of the phenomenon, mechanism and consequence. For example, anger, disgust, embarrassment, and boredom all appeared when the aesthetic stimuli does not match one s goals or values. However, specific appraisal structure such as intentionality, intrinsic pleasure, or coping potential is separately involved by each emotion. Negative emotions usually entail the action of rejection and avoidance, but some studies have also suggested double side of consequences in the process of aesthetic experience. Based on this review,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하나의 서양미술사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에 대한 소고

        안지연(Ahn Ji Yo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erspective of E. H. Gombrich in The Story of Art,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The analyses i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Gombrich’s perspective in The Story of Art described Art History as a problem-solving procedure, and emphasized representations by perceptual selection and schematization. It also criticized psychoanalysis, relativism and historicism, and provid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interpretation. Gombrich’s work expanded the paradigm of art appreciation by focusing on cognitive process, context, background,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However, his perspective is also limited due to bias in selection of artwork,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humanities and experimental science, and overemphasis in artist’s intention, schema, and representation. Together with appreciator-centered education brought by Post-modern society, a new perspective for future art education seems required. The present article suggested several future directions such as providing multiple interpret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trying to connect to students’ lives, and combining art history with art practice. 본 연구는 미술사 및 미술 감상 교육에 있어 대표적인 저작인 E. H. 곰브리치의 The Story of Art 의 관점을 분석함으로써 곰브리치 저술의 성과와 한계를 알아보고 하나의 개론서를 통한 미술사 교육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The Story of Art』 의 관점을 분석한 결과, 문제 해결 과정으로 미술사를 서술하였고 지각적 선택과 도식화에 의한 재현을 강조하였으며, 정신분석, 상대주의, 역사주의를 비판하고 대안적 설명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점을 주요한 특징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곰브리치의 관점은 미술 감상이 인지적 과정의 산물이며 감상에 있어 맥락과 배경을 강조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와 통합하여 이해를 도모하는 등 미술 감상에 있어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도판 선정의 편향성, 인문학과 실증과학을 결합한 점, 도식, 재현 그리고 작가의 의도를 지나치게 강조한 점 등으로 인한 한계가 있으며 포스트모던 사회에 이르러 감상자 중심 교육의 강조와 함께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안으로써 하나의 작품을 다른 관점으로 서술한 해석을 함께 제시하는 방안, 교육대상자의 삶과 연계시키는 방안, 미술사를 인지적으로만 전달하는 것이 아닌 비인지적 방법, 특히 실기와 결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차원 미술 감상 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Art Appreciation)의 개발 및 타당화

        안지연(Ahn Ji Youn),민경환(Min Kyoung Hwan),김민희(Kim Min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미술 작품 감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미술 감상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우선 감상자와의 개방형 인터뷰를 바탕으로 미술 감상에 관한 경험을 수집, 정리하여 미술 감상의 4차원인 인지, 정서, 깊이, 폭을 추출하였다. 이를 측정하는 척도로 20문항의 다차원 미술 감상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Art Appreciation: MSAA)를 제작하였으며 두 개의 독립된 표본으로 각각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와 2차 표본에서 인지, 정서, 깊이, 폭 차원의 Cronbach α값은 .747 ~ .925로 적절하였다. 마지막으로 MSAA로 측정된 미술 감상 점수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 미술 지식, 성장기 문화자본, 문화자본, 미적 가치, 미술관 관람횟수와 정적상관을 보여 MSAA가 미술 감상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the art appreciation scale based on appreciators' experiences and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By analyzing interviews on art appreciation experiences, 4 dimensions of art appreciation, cognition, emotion, depth, and width were found, comprising 20-item Multidimensional Scale of Art Appreciation(MSAA).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tested with two independent samples. In the first sample, Cronbach’s αs were respectively cognition .791, emotion .747, depth .817, and width .894 and in the second sample, they were again consistently high as .810, .902, .837, .910 in order. By exhibiti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openness to experience, art knowledge, childhood cultural capital, current cultural capital, aesthetic value, and number of art museum visits, MSAA can be confirmed as a reliable and valid scale measuring art appreci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 탐색: ‘즐거운 상상의 축제’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안지연(Ahn, Ji Youn),김귀옥(Kim, Kwi Ok),류희선(Ryu, Heui Sun),이은진(Lee, Eun Jin),최성희(Choi, Sung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 및 예비시행을 거쳐 평가하는 단계를 통해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과의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현재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은 읽기·쓰기·셈하기 및 학습부진학생의 심리 정서적 측면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특히 미술과 프로그램은 심리 정서적 측면의 지원을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어 미술 교과의 교수·학습방법론을 적용한 지도 방법은 아직 실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 영역 특정적 지식을 기반으로 학습부진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미술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부진학생지원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술 감상을 기반으로,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의 교수 및 미술과 조작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즐거운 상상의 축제’라는 미술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즐거운 상상의 축제’는 선재, 면재, 양재를 활용한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주요 미술 개념을 학습하고 재료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시된 조작 활동을 수행하며 ‘즐거운 나의 방’, ‘상상의 집’, ‘축제의 정원’을 완성하여 미술과 역량을 기르는 동시에 성취감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예비시행 결과 분석을 통해 수업 환경 및 교실 문화 조성, 작지만 명확한 학습 목표 설정과 반복적 훈련을 통한 성취, 학생들의 잠재적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민감성 및 대응 능력 함양, 과업 분석에 기반한 교수법 지원 등을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art education-supporting program for the underachievers who struggle in academic areas in elementary schools, focusing more on the search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rt subject for them. So far, the studies have concerned providing underachievers with academic support through implementing reading, writing, and arithmetic content knowledge, while focus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 particular, art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exploited as a mere means of back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light which underachieving students might fall. In these reason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art subject which might help underachievers improve their abilities and skills while cultivating art knowledge have not been yet actively stud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rt education programs which support underachievers for better academic performance, while activating and cultivating art education-specific knowledge, abilities, and skill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art, art teaching workbook called ‘Joyful Imaginary Festival’ were developed to build the motor skill of hands and hands-eyes coordination and teaching of the art elements and principles. Through analysis of the preliminary implementation results of the program, the creation of class environment and classroom culture, achievement through small but clear setting of learning goals and repetitive training, development of teacher sensitivity and ability to respond to students potential difficulties, and support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ask analysis were derived as art and teaching methods for underachiever.

      • KCI등재

        작품 앞에 멈추어 선 사람들의 이야기

        안지연(Ji-Youn Ahn)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3

        본 연구는 미술 작품 앞에 멈추어 선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면담하여 작품 앞에 멈추어 서는 행동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자는 현대 미술을 전시하고 있는 미술관에서 관람자를 관찰하고 한 작품 앞에 정면으로 멈추어 서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관람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70여 명의 면담을 분석한 결과 작품 앞에 멈추어선 관람자의 행동이 가지는 현상학적 의미는 의미, 상상, 기억, 초대, 압도, 학습, 휴식, 교훈, 희망, 괴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으며 달리 분류되지 않는 반응들도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면담자 중 작품 앞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거나 면담 도중 해당 경험을 보고하는 관람자 4명을 심층 면담한 결과, 이들은 앞서 분류된 체험들을 더 깊고 다양하게 경험하는 동시에 재방문, 탐구, 소유, 기여 등의 행동적 반응을 추가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discover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observing and interviewing people who stopped in front of an artwork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behaviors in front of the artwork.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audiences at the modern art museums and held interviews with them who stay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front of one particular artwork.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of about 270 people in total,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the audiences were classified into meaning, imagination, memory, invitation, overwhelming, learning, rest, lesson, hope, gap, and so on.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visitors who took more hours in front of the artwork, it is observed that they were able to have above classified experiences more deeply and diverse and had moreover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revisit, inquiry, ownership, and contribution.

      • KCI등재

        대학 교양 미술 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방향 탐색

        안지연(Ahn, Ji Youn),박태정(Park, Tae Jung),홍선주(Hong, Sun Joo)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3

        본 연구는 최근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급격히 확대된 인공지능 활용 사례 검토를 바탕으로 대학 교양 미술 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은 학생 교육, 학생 지원, 교사 지원 등의 영역에서 시스템 개발을 비롯하여 각종 기술과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개별화/맞춤형 학습의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미술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은 창작, 감상, 제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일부 미술 교육에 도입되었으며 기개발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경우와, 인공지능 기술을 도구로 활용하여 각 영역에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는 경우를 동시에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 교양 미술 교육의 목표 분석을 토대로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시스템을 대학 교양 미술 교육 사례에 대입하여 대학 교양 미술 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였다. 향후 가속화될 미술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은 미술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한 플랫폼 및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방안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appear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based art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case reviews of AI-based education and AI-based art that have been rapidly expanded with the recent breakthroughs of AI. To begin with, the use of AI in education has diverse technologies and approaches, including system development, in areas of student education, student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has significant advantages for personalized education. Furthermore, the use of AI in art has been studied in a variety of contexts such as creation, appreciation, and institution, and has been introduced into some art education. There have been cases of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AI and also cases of expanding the area of art with AI technology as a tool. Lastly, In accordance with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objective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AI-based system design for art curriculum was suggested to explore ways to utilize AI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n AI-based art education, which will be accelerated furthe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se platforms and content that meet the direction of higher art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안지연(Ahn, Ji Youn),최정순(Choi, Jung Soon)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을 미술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누리과정 및 초등학교 3~4학년과의 비교를 통해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구조를 파악하고 교과서의 설계방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통합 교과서 내에서 ‘즐거운 생활’의 분포와 ‘즐거운 생활’ 내 음악적 요소, 조형적 요소, 신체적 요소의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교수·학습 활동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 교과서에는 ‘즐거운 생활’ 교과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즐거운 생활’ 교과 내에서도 조형적 요소가 포함된 활동의 비율이 높았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교과서 구현 양상을 보면 참고작품이나 예시 이미지에서 같은 재료와 표현을 반복하는 경우, 학생 활동이 단조로운 경우, 또한 자료나 학생의 수준에 맞지 않는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무엇보다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학습 내용 선정이 필요하며, 교과서에서도 학생들이 사고 및 감각을 자극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정교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well textbook contents reflect curriculums focused on ‘Pleasant Life’ which is the subject for the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curriculum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and students’ activities in textbook. The findings indicate the ratio of art-related content is comparatively high in the Pleasant Life curriculum. In particular, modeling element takes a large proportion out of musical, physical, and art-related elements. The textbook includes monotonous and repetitive examples of students activities and some of them are les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textbook should deal with various examples to enable students to use their multiple intelligences and curriculum should consider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background.

      • KCI등재

        공간정보를 이용한 옥상녹화 가용면적 추정

        안지연 ( Ahn Ji-yeon ),정태웅 ( Jung Tae-woong ),구지희 ( Koo Jee-hee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9 No.5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stimate area of greenable roof and to monitor maintaining of green roofs using World-View 2 image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development of World-View 2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estimation of green roof area and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maintaining of green roofs using World-View 2 images. The available green roof areas in Gwangjin-gu Seoul, a case for this study, were estimated using digital maps and World-View 2 images. The available green roof area is approximately 12.17% (2,153,700㎡) of the total area, and the roof vegetation accounts for 0.46% (80,660㎡) of the total area. For verification of the extracted roof vegetation, Vworld 3D Desktop map service was appli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decision-making tool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determining the feasibility of green roof projects. In addition, the project implementer may periodically monitor to see whether roof greening has maintain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projects, and a vast amount of World-View 2 images may be regularly used before and after the projects to contribute to sharing of satellite images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