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목회적 돌봄

        안유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low income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in Seoul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grandparents over 65–year–old who are nurturing their grand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deducted to 18 lower component factors and 6 comprising factors ultimately. Deducted elements are ‘raising grandchildren by undertaking’, ‘inadequate reality of nurturing’, ‘internal source’, ‘social support’, ‘devoted care’, ‘integration of life.’ The findings suggest that pastoral care is necessary for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grandparents to help arousing interest of Korean church on societally alienate grand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밝혀냄으로써 그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6명의 65세 이상의 조손가족 조부모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고, Giorgi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18개의 하위 구성요소, 최종적으로 6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구성요소는 ‘떠맡겨져 시작된 손자녀 양육’, ‘양육의 열악한 현실’, ‘내적 자원’, ‘사회적 지원’, ‘헌신적 돌봄’, ‘삶의 통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 조부모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사회적으로나 교회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조손가족 조부모들의 삶에 대한 한국교회의 관심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기 유가사의 所知事에 관한 고찰

        안유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In the Śrāvakabhūmi(the thirteenth stage in the Yogācārabhūmi), Early Yogācāra establishes a detailed system of objects of meditation. They define images that appear in meditation as "jñeyavastusabhāgaṃ pratibimbam(所知事同分影像)". This concept is based on the complete realization of non-existence of self(pudgala-nairātmya) and non- substantiality of dharma(dharma-nairātmya). There are four categories of jñeya-vastu(所知事): savikalpamālambana(有分別影像), nirvikalpam- ā lambana(無分別影像), two bhā vikatā (所有性) of the vastu- paryanta(事邊諦), kṛta-karaṇīyatā(所作成辦). Four applications of the y āthavad-bhāvikatā(如所有性) are meditation methods. Yogāc ār a seeks for four applications. They are (1)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dependence(apekṣāyuktiḥ), (2)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performance of an action(kāryakāraṇayuktiḥ), (3)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demonstration of a proof(upapattisādhana-yuktiḥ), and (4)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the nature of things(dharmatāyuktiḥ).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Tathatā(眞如) of the yāthavad-bhāvikatā is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and revealed by Śamatha-Vipaśyanā.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the seven elements are very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Yogācāra. 초기 유가사는 명상의 과정에서 인식되어야 할 대상에 대한 체계를 세운다. 『유가사지론」 「성문지」에서 인식되어야 할 사태(所知事)에 대하여 구체적으로서술하고 있다. 명상의 대상은 사마히타의 단계에 속한 작의의 경험에 의해 그인식되어야 할 사태와 유사한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 이미지를 소지사동분영상(所知事同分影像)이라고 한다. 인식되어야 할 사태는 비파샤나의 방식에 의해서 관찰하거나 또는 샤마타의 방식에 의해 나타나는 삼매의 영상으로서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의 통찰에 토대가 되는 항목이다. 유가행파의 명상과정에서 인식되어야 할 사태는 4종의 변만소연이다. 4종은 유분별영상, 무분별영상, 진소유성과 여소유성의 사변제성(事邊際性), 행해져야 할 것의 완성(所 作成瓣)이다. 여소유성의 4종도리(道理)는 인식의 대상을 심구(尋求)하는 방법으로서 ‘제법이 서로 의존하는 방식(觀待道理)’, ‘그와 같이 의존하는 이유(作用道 理)’, ‘그 자성을 토대로 한 여러 가지 작용(證成道理)’, ‘사물의 실상 그대로를 토대로 한 각각의 법의 자성(法爾道理)’을 의미한다. 『해심밀경』에서 여소유성의진여는 7가지로 나뉘며, 샤마타와 비파샤나에 의해 드러난다.

      • KCI등재

        소연(所緣)으로서의 진여와 그 증득에 관한 고찰 -『해심밀경』의 「분별유가품」과 「지바라밀다품」을 중심으로-

        안유숙 한국선학회 2023 한국선학 Vol.- No.65

        This study examines Buddhist medit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true suchness(眞如) in early Buddhism and the Yogācāra Buddhism. The essence of Buddhist practice is to cultivate the mind and body, which operate in the material realm,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the Buddhist masters, in order to lead to liberation in the immaterial realm of space and time. If early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Eightfold Path are categorized as meditation practices, then the meditation of the Yogācāra Buddhism can be categorized as the practices of śamathavipaśyanā and the perfection. Thus, Buddhist meditation is significant not only for the healing of the mind and body, but also for the solution to the fundamental bondage of existence, and for the maturation of the samsaric mind, which is shrouded in ignorance in the realm of existence, into the more perfected personality of a Bodhisattva. Saṃdhinirmocana sūtra(『解深密經』), the equality of the Unified Dharma is seen through the true suchness,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objects of the practitioner's meditation. And the three types of hindrances are removed. 본 연구는 유가행의 소연(所緣)으로서의 진여(眞如)와 진여의 증득 과정에 대한 고찰이다. 초기불교의 수행을 사념처(四念處)와 선정(禪定), 팔정도의 정념(正念)과 정정(正定)으로 분류한다면, 유가행파의 수행은 삼승(三乘)의 수행법인 지관(止觀)과 더불어 보살의 수행법인십바라밀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가행의 궁극적인 목적은 존재의 근원적인 속박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존재의 영역에서 무명(無明)으로 덮여있는 유정(有情)을 보살(菩薩)이라는 보다 완성된 인격체로 성숙하게 한다는 점이다. 『해심밀경』과 『유가사지론』에서 기술되는 소연(所緣)으로서의 진여(眞如) 개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점은 정법을 듣고 총체적인 경계를 반연하는 수승한 지관(止觀)에 의해서 현현한 참된 실재는 일체 유정과 법을 평등하게 인식하고, 성문 독각보살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평등함을 알게 하며, 모든 소연(所緣)의 경계가 일미진여(一味眞如)라는 것이다

      • KCI등재

        목회자 아내의 은퇴 적응 경험 연구

        안유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retirement experience for wives of pastors within the Korean socialcultural context and using this as a basis to attempt at discovering a means for retirement adjustment pastoral counseling and care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m in living their post-retirement lives as principal agents of their lives. Participants to this study are wives of pastors between the ages 65 and 78 who have experienced retirement of their spouses.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used and phenomenological methodolog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31 lower component factors and ultimately 9 comprising factors were deduc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deduced are ignorance regarding retirement preparation, retirement stress, feeling of loss from retirement, freedom and liberation, inner resources, marital relationship, social assistance, social adaptation, and coexistence. Such experiential structure appears in the form of experiential stage process. In other words, in the order of pre-retirement stage, awareness stage, organization stage, adjustment stage, and maturation sta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contribute towards the implicit meaning of pastoral counseling and raise awareness of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towards the alienated post-retirement lives of pastors’ wiv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목회자 아내의 은퇴 적응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은퇴 후 삶의 주체로 살아가도록 은퇴적응에 대한 목회상담 및 돌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참여자는 배우자의 은퇴를 경험한 65세에서 78세의 목회자 아내들이다.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심층면접과 참여관찰을 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현상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31개의 하위 구성 요소, 최종적으로 9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구성 요소는 ‘은퇴 준비에 대한 무지’, ‘은퇴 스트레스’, ‘은퇴로 인한 상실’, ‘자유와 해방’, ‘내적 자원’, ‘부부 관계’, ‘사회적 지원’, ‘현실 적응하기’, ‘더불어 살아가기’이다. 이러한 경험의 구조는 구성 요소들 간에 상호작용하며 경험의 단계별 과정, 즉 은퇴 전 단계, 인식 단계, 정리 단계, 적응 단계, 성숙 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목회자 아내의 은퇴 적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소외되어 있는 목회자 아내들의 은퇴 후 삶에 대한 한국교회와 사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목회상담적 함의를 이끌어내는 데 공헌하기를 기대한다.

      • 경전 독송(讀誦) 수행의 교학적 함의에 관한 일고

        안유숙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3 No.-

        이 글은 경전 독송(讀誦) 수행의 교학적 함의에 관한 고찰이다. 수행의 관점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받아 지니기 위해 행하는 경전독송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불자들은 그저 불보살님의 위신력에의지하고 가피를 얻기 위해 독송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연유 때문인지 선행연구물은 독송의 영험담을 중심으로 한 연구물들이 다수이다. 본 연구는 경전 독송 수행의 본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기불교에서 대승블교에 이르기까지 경전 독송에 대한 교학적 전거를 찾고, 독송 수행의 목적과 현대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함과 니까야를 비교 ․ 대조하여, ‘독송하다’는 산스크리트어 √dhṛ에서 파생된 동사 ‘dhārehi’에서 비롯된 용어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 단어는 ‘~들고 지니다, ~를 간직하다, ~의미를 명심하다, ~을 호지하다’의 명령형으로 해석되며, ‘受持 ․ 諷 ․ 誦 ․ 讀 ․ 誦’ 으로 한역되기도 한다. 교학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한 아비달마에서는 십이부경을 수지 ․ 독송하고 사유 ․ 관찰하며, 청문한 교법에 대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생각하기 때문에 문혜(聞慧)가 발생한다는 점을 밝힌다. 또한 대승경전에서 사경(寫經)과 경(經)에 대한 공양을 추가하며 붓다의 가르침에 대한 근본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늘날관음신앙의 근거가 된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 천수경, 혹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수지 독송할 때에도 경에 담긴 본래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며 독송 수행해야 함이 마땅하다고 사료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Buddhist doctrine implications of scripture reading (讀誦) practice. The practice of reading the scriptures is a preliminary step of taking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of the Buddha's teachings in order to move on the path of liberation. However, today, the scripture reading practice tends to be accepted as a ritual act that is performed for penance or offering blessings. Also, most Buddhists tend to scripture reading or chanting just to get the Gapi (加被) by relying on the Bodhisattva's prestige. Perhaps due to such reasons,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that focus on the miracle of scripture readin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the Buddhist doctrine basis for the scripture reading practice from early Buddhism to the Mahāyāna Buddhism, and to confirm the purpose and modern significance of the reading to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distorted scripture reading. First, on the basis of contrastive analysis data, Pāli Canon and Chinese Agamas, the conclusion as follows meaning. The etymology of chanting is interpreted as the imperative ‘dhārehi’, derived from the Sanskrit √dhṛ, is interpreted as the imperative of ‘to bear in mind’, ‘recollect’, ‘remember’.And this word is translated as a 受持 ․ 諷 ․ 誦 ․ 讀 ․ 誦. These words have been confirmed by CBETA.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particular focus on 受持 and 讀誦 in order to grasp the viewpoints of Abhidharma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on scripture reading practice. Abhidharma begins to establish a Buddhist doctrinal system of Dharma. Reciting, observing, and thinking about 12 types of sūtra causes 聞慧.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Mahāyāna Buddhism attempted to restore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Buddha's teachings by transcription and offerings for Sūtra. Lastly, it is deemed that it is deserved to properly understand and to do practic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riptures even when reading the scriptures that have been the basis of today's Korean Buddhist faith.

      • KCI등재후보

        나툼으로 향하는 수습위修習位—유식의 관점에서 본 대행선의 2단계—

        안유숙(동국대학교) 대행선연구원 2022 한마음연구 Vol.8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the manifestation of Juingong and the teaching of mind-to-mind transmission by comparing them with the stage of “practice,” which is the 4th of five stages in cultivating the Yogâcāra path. Of the five stages to cultivate the Yogâcāra path, the stage of practice is where all bodhisattvas reside in peace; they subdue and sever all remaining afflictions at this stage. In other words, at the stage of practice, one begins to manifest wisdom as they remove their cognitive hindrances and purify their afflictive hindrances. At the stage of completion—the last stage of the Yogâcāra path—one abides peacefully in supreme, perfect enlightenment. Daehaeng Seon emphasizes that all things are equal, and that delusions provide a basis for us to attain buddhahood. Therefore, the practice of observing Juingong is not a practice to sever delusions, but the cultivation of mind without any interruptions or lapses. The second stage of Daehaeng Seon practice is where the completion of manifestation—in which all things and the self are non-dual—is achieved. Here, manifestation is defined as the nirvana realm, the stage of nirvana, or stage of ultimate attainment. In addition, the manifestation of Juingong is also interpreted as the “transformation body” and “response body.” Thus, the meaning of “manifesta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stage of completion of the Yogâcāra path—a stage of attaining all by relinquishing all. Because truth is all interconnected, “manifestation” is understood to be the manifestation of Juingong, emptiness, truth, light and eternity, life and buddhas, bodhisattvas, purity, and affirmation. In addition, “manifestation” transcends time and space; it transforms moment by moment without being fixed, and then vanishes; it bestows compassion unconditionally. Therefore, the second stage of Daehaeng Seon practice is confirmed to be the same sphere as the stage of completion of the Yogâcāra path. However, the practice systems of Yogâcāra and Daehaeng Seon are different. Thus, I suggest following Daehaeng Seon for its simplicity of practice, but what needs further in-depth study is to what extent doctrinal explanations can be applied, which are thought to be applicable to Yogâcāra teachings. KEYWORDS Daehaeng Seon, manifestation, afflictive hindrances, cognitive hindrances, the stage of practice, thusness (tathatā) 이 글은 주인공의 나툼, 이심전심의 도리에 대해서 유식5위 가운데 수습위와 비교하며 그 의미를 고찰한다. 유식 5위에서 수습위는 모든 보살이 안주하는 수도修道로서 나머지 번뇌를 조복하고 단절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해 수습위는 통찰을 반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비로소 소지장이 없어지고, 번뇌장이 정화되면서 지혜가 발현되기 시작한다. 구경위는 최상의 정등정각에 안주하는 것이다. 대행선에서는 모든 것은 평등하므로 망상은 우리가 부처를 이룰 수 있는 근원임을 강조한다. 그러하기에 주인공관법은 망상을 끊어내는 것이 아닌 샐 틈[間斷]이 없는 마음공부이다, 대행선의 2단계는 나와 둘이 아닌 나툼의 구경경지를 이루는 단계이다. 나툼이라는 것은 열반계, 열반각지, 구경각지라고 정의한다. 또한, 주인공의 나툼은 화신化身과 응신應身으로도 해석되기 때문에 유식 5위의 구경위에서 일체를 버려서 일체를 얻는 소식으로서의 ‘나툼’의 의미를 헤아려볼 수 있다. 진리는 흐름이므로, 나툼은 주인공의 나툼이자, 공이고, 진리요, 빛이며 영원이요, 생명이며 부처요, 보살이며, 청정하고, 긍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나툼은 시공을 초월해서 고정됨이 없이 찰나찰나 화化하고 돌아가며, 조건 없이 자비를 베푸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구경위와 한 궤도 안에 놓여있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다. 다만, 두 수행 간의 체계가 다르므로 수행법의 간결함은 대행선을 따르되, 유식 교학적 관점에서 접근할 만한 교리적 설명을 어디까지 부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더욱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기독교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 경험 연구

        안유숙 ( You Sook Ah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기독교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냄으로써 그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데 있으며, 사별위기에 대한 대처로서 종교적 신앙과 의미부여의 역할이 여성노인의 사별 후 적응과정에서 그들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 적응을 위한 목회상담 및 돌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67세에서 80세의 7명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17개의 하위 구성요소, 최종적으로 7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사별의 충격과 고통’, ‘부부관계’, ‘개인내적 자원’, ‘사회적 지지’, ‘상실에 대한 종교적 의미부여 과정’, ‘삶의 변화와 영적 성장’, ‘삶의 만족감’ 7개의 구성요소들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기독교 여성노인들이 사별 후 적응하는 과정에서 종교적 신앙이 의미부여의 중요한 경로임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기독교 여성노인의 배우자 사별적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로서 사별의 위기적 사건을 경험한 후 삶의 변화와 영적 성장에 이르게 된 의미부여 과정을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spousal bereavement adaptation experience of elderly Christian women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 as it is. For the coping strategy for bereavement crisis, this study sets out to explore the role of religious belief and meaning making that affect growth in the process of adapting after loss and uses this as a basis to provide a means of pastoral counseling and care for bereavement adaptation of elderly Christian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even elderly Christian women between the ages of 67 and 80 who have experienced bereavement of their spouse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5 through November 2015.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ologies. Seventeen lower component factors and ultimately 7 comprising factors were deduc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deduced were “shock and pain after loss,” “marital relationship,” “intra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religious meaning making process of loss,” “changes and growth of life,” and “satisfying life.”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elderly Christian women show positive changes and spiritual growth by religious meaning making after the loss of their spouse. They lower the grief and pain in this crisis of life by religious belief.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religious meaning making offers an important path to cope with bereavement of a spouse. This study shows that religious belief and meaning making are effective coping strategies in spousal bereaveme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초기 유가사의 니밋따의 染淨에 관하여

        안유숙(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7 No.-

        본 논문은 『유가사지론』의 「삼마희다지」를 중심으로 초기 유가사의 니밋따(nimitta)의 염정(kliṣṭākliṣṭa)에 관하여 다룬다. 니밋따는 유가사들이 사마디 수행을 통해서 인식대상의 비실재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중시했던 개념이다. 유가사들은 자아의식은 과거의 경험을 수반한 이미지들(nimitta)을 인식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니밋따의 비실재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삼마희다지」에서 나타나는 4종류의 근본 니밋따 가운데 제 1본질인 소연으로서의 니밋따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삼마희다지」는 유가수행자가 ‘알아야 할 사태로서 분별을 일으키는 토대’라고 정의하는 것에 비해서 「성문지」는 ‘알아야 할 사태와 유사한 영상’이라고 정의하며 용어의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유가사는 ‘jñeyavastu’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사마디의 인식대상에 집중한다. 사마디에서 나타나는 니밋따는 감관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아의식은 감관을 통하여 대상을 포착하고 신체에서는 감각작용이 일어난다. 이 감각작용을 이끌었던 오염된 니밋따는 다시 현재의 의식 속에 투사되어 고통을 유발한다. 이러한 점에서 오염된 니밋따는 탐욕의 세계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반면에 청정한 니밋따는 사마디 수행을 통하여 성장하며, 수행자의 심일경(cittaikāgratā)상태가 깊어지도록 인도한다. 니밋따가 존재하는 한 수행자가 멸진정(nirodasamāpattiḥ)에 도달하기 전까지 미세한 인식작용이 남아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마디 수행은 감관의 제어를 중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니밋따의 염정(kliṣṭākliṣṭa)에 대하여 감관율의(indryasamvaraḥ)의 문맥에서 살펴보았다. 유가수행을 통해서 명료하게 나타난 청정한 니밋따의 상태는 빛과 같은 이미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하지만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니밋따는 무상사마디(animittasamādhi)에서 반야에 의해 마음 속에 비추인 이미지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니밋따’는 삼계(trīloka)를 발생시키는 원인이고, 열반의 원인이며, 무량(apramāṇa)의 원인이다. 동시에 대승보살의 선교방편이므로 초기 유가사의 사마디 수행에서 중시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This article deals with kliṣṭākliṣṭa(染淨) of Nimitta(相) of the Early Yogācāra Buddhism based on the Samāhitā Bhūmiḥ of Yogācārabhūmi. Nimitta is an important concept to prove the nonexistence of recognized objects through Samādhi practice by the Yogācāra. Yogācāra tried to prove the nonexistence of Nimitta by insisting that self-consciousness perceived the images which involved experiences of the past. It says in the Samāhitā Bhūmiḥ that there are four kinds of Sāmadhi’s recognized objects. Among them, concentrating on the first item, ālambananimitta, it is defined as ‘jñeyasya vastuno yad vikalpaśarīram’ in the Samāhitā Bhūmiḥ. As compared to Samāhitā Bhūmiḥ, Sravaka Bhūmi deals with jñeyavastu specifically and ālambananimitta is defined as ‘jñeyavastu sabhāgaṃ pratibimbam’ in it. Yogācāra choose their own nimitta and treat it as Sāmadhi’s recognized objects. Thus I think that Yogācāra need to thoroughly understand ‘jñeyavastu’ for Sāmadhi’s practice. Nimitta appeared in Samādhi is closely related to the flow of sense organs. Self-consciousness catches objects through sense organs and occurs sensory actions in bodies. Contaminated Nimitta which led the sensory actions before appears currently in the consciousness and causes suffering. In this sense, contaminated Nimitta causes a world of greed. On the other hand, pure Nimitta develops through the Samādhi practice and leads in condition of Cittaikāgratā(心一境) more deeply as a guide. Subtle cognition remains as long as Nimitta exists until a performer gets to Nirodasamāpattiḥ(滅盡定). For this reason, controlling flow of a sense organ is very important in Samādhi practice. Consequently, I checked out through the contexts of indryasamvaraḥ about Nimittta’s kliṣṭākliṣṭa in this paper. State of pure Nimitta appears through Samādhi practice depicted images of light. But it can’t be caught in the naked eyes. Nimitta includes the meaning of the reflected images in mind by Prjñā in the animittasamādhi and it can’t affect sense organ at all. In conclusion, Nimitta implies the cause of Apramāṇa, Nirvana(涅槃) and generating Trīloka(三界). At the same time, it is regarded very seriously as Bodhisattva’s good way at Samādhi practice of the Early Yogācāra Buddhism.

      • KCI등재

        『瑜伽師地論』에 나타난 禪定과 作意에 관한 고찰

        안유숙(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본 논문은 『유가사지론』에서 나타난 선정(禪定)과 작의(作意)에 관하여 고찰한다. 『유가사지론』은 성문승과 보살승의 수행체계가 어떻게 결합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이다. 선정(禪定)의 다양한 범위는 「삼마희다지」에서 확인되며, 오직 선정 상태에 국한된 유심위(有心位)와 무심위(無心位)의 선정을 포괄적으로 설명한다. 그들이 선정 상태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들을 「삼마희다지」를 통해 밝히는 연유는 철저히 선정 수행에 입각하여 의식의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고, 부파불교의 번쇄한 이론 체계들을 유가행, 즉 실천적 관점에서 보완하고 수정하며 대승의 관점에서 수행도를 체계적으로 완성하고자 했던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성문지」에서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수습을 통하여 얻게 된다는 ‘경안(輕安)’의 개념에 대하여 「보살지」에서 ‘붓다의 자재력[vaśavartitā]’이라는 개념을 등장시키며, 전의(轉依) 사상을 전통적인 해탈 이론이 아닌 대승의 이익(利益) 사상 가운데 위치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유가사지론』은 대승 유가사들이 성문계와 보살계 수행체계를 연결하기 위해 어떤 개념들을 중시했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문헌이기도 하다. 『유가사지론』에서는 깊은 선정 상태에서 유가 작의(作意)를 닦기 때문에 추중과 함께 하는 여섯 감각기관인 의지처가 점차 소멸하고, 경안과 함께하는 의지처는 차츰 변화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작의는 삼승(三乘)의 자량방편이 되고, 바라밀다를 이끌어내는 방편이기 때문에 여리 작의를 건립한다는 점을 밝힌다. 결국 대승 유가사의 선정 수행은 종래 성문계 수행체계와 「보살지」의 핵심 개념들을 융합하며 모든 중생의 이로움에 그 의의와 목적을 두고자 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Samādhi(禪定) and Manaskāra(作意) of Yogācārabhūmi.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spiritual states, practices and fruits incurred in the course of the seventeen stages leading to Buddhahood, the text delves deeply into discussions of fundamental Yogācāra concepts. The text has five major divisions: the first division, which comprises about half the treatise is called the "main stages division" 本地分 and contains seventeen sections, each describing one of the successive seventeen stages, or bhūmis. The various ranges of meditation are found in Samāhita-bhūmi. Throughout dealing with Śamatha(止) and Vipaśyanā(觀), we would acquire a light body and mind(輕安praśrabdhi), so expand and grow the state assembling minds for specific object. The state getting together and the lightness of body and mind depend on each other and expand more and more so the wisdom of Pratyakṣa(現量) generates by acquiring Āśraya-parivṛtti(轉依). On the other hand, Bodhisattva-bhūmi"s idea of Āśraya-parivṛtti(轉依) is not the traditional theory of liberati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positioned in the idea of Benefit of Mahayana Buddhism by Vaśa-vartitā(自在而轉) concept. Manaskāra(作意)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the mind fixating upon an object. The yoniśomanaskāra(如理作意) that focuses on the reasoning that leads to pure Nimitta also guides the thinker into the deeper world of samādhi. Within the samādhi practices in Yogācāra, manaskāra are key actualizing principles to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truth of the world and leads paramita. Consequently, Yogācāra"s objective of Samādhi practice is to Benefiting of Self and Other.

      • KCI등재후보

        유식관법과 한마음 주인공 관법의 비교 고찰

        안유숙(Ahn, Yusook)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5 No.-

        The practice of early Yogācāra basically involves the contemplation methods of śamatha (止 transliterated as 奢摩他) and vipaśyanā (觀 transliterated as 毘婆舍那). It is the contemplation method of 'representation-only' (or consciousness-only 唯識). This practice focuses on observing images that surface in our mind. In this practice, the observation (or contempla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one-pointedness of the mind (心一境性 Skt.cittaikāgratā: meditative concentration; fixing oneʼs mind on one object.) where both śamatha and vipaśyanā united. Here we can observe the True Suchness (眞如 Tathatā) and ultimately attain Buddha-hood. The distinct stages of Yogâcāra practice accommodate the three vehicles (三乘: śrāvaka 聲聞, pratyekabuddha 緣覺 and bodhisattva 菩薩) in terms of Mahāyāna‘s spirit, "improving oneself and bringing benefit to others (自利利他). Furthermore, these stages are divided into five sub-stages as follows: 1. the stage of preparation (資糧位), 2. the stage of application (加行位), 3. the stage of proficiency (通達位), 4. the stage of practice (修習位) and 5. the stage of completion (究竟位). Daehaeng's Juingong (主人公) thought is based on the Buddhist traditional central doctrine of True suchness (眞如), Buddha's nature (佛性), and Original true self (本來面目). Thus, Juningong is our true nature, our true essence and the master within that is always changing and manifesting, without a fixed form or shape. Juingong meditation focuses on faith, selflessness and observation or contempla-tion. That is the way to discover your true self. So, first of all "I" must die. The practice of Juingong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abandon the concept of self. The habits and thoughts of "I", "me", and "mine" still remain. So the second stage is to get everything that includes the true self. The third stage is to throw everything I got. At this stage, you will be able to manifest such that "you" become "me" and "I" become "you". If we compare the contemplation methods between the two practices, the stage of accumulation (資糧位 Saṃhāra-mārga), preparation (加行位 Prayoga-mārga) and insight (通達位 Darśana-mārga) of Yogācāra's Five Stages can be found in the first stage of Daehaeng's Juingong Thought the path of cultivation (修習位 Bhāvanā-mārga) is found in the second stage, and the path of consummation (究竟位 Niṣṭā-mārga) is found in the third stage. 유가행파의 수행은 기본적으로 사마타와 위빠사나행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유가행의 ‘유식’관법은 마음 안에 현현한 영상이 오직 표상임을 자각하고, 나아가 사마타와 위빠사나가 함께 이루어진 심일경성 가운데 진여의 성품을 관하여 궁극에는 구경을 성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유가행의 계위는 자리이타의 대승적 관점에서 삼승三乘을 포섭하며, 자량위∙가행위∙견도위∙수도위∙구경위로 나뉜다. 대행선사는 참 나로서의 주인공을 진여, 불성, 본래면목 등의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며, 한마음 주인공 관법을 ‘1단계 나를 버려서 나를 얻는 소식’, ‘2단계 나와 더불어 일체를 얻는 소식’, ‘3단계 나와 더불어 일체를 버려서 일체를 얻는 소식’으로 구분한다. 대행선사의 관법은 자신의 보리와 열반뿐만 아니라 공생共生∙공심共心∙공용共用∙공체共體∙공식共食이라는 무심無心의 보살행으로 귀결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유가행 유식관법에서 지향하는 바와 유사한 측면들이 발견된다. 비록 초기 유가행 유식관법과 한마음 주인공 관법이 명료하게 연결되지 않지만, 유가5위의 자량∙가행∙견도 중 견도는 대행선사의 1단계 주인공 관법과, 수도는 2단계 주인공 관법과, 구경위는 3단계 주인공 관법과 배대하며 대행선사의 주인공 관법을 조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