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화엄사상과 대행선 사상

        권탄준(금강대 명예교수) 대행선연구원 2021 한마음연구 Vol.6 No.-

        This paper provides a comparison between Huayan (華嚴) thought and Daehaeng Seon thought, focusing on the following six themes: 1) The world views of Huayan and Daehaeng Seon: Both view this world as the realm of reality which unfol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terdependent causality, and both view the world of phenomena as characterized by constant change that manifests truth. 2) The concept of “mind-only” in Huayan and Daehaeng’s Hanmaum thought: Both concepts refer to the mind as the source and originator of all phenomena. However, the concept of Hanmaum expresses this more actively by emphasizing ‘the holistic mind which is common to all forms of life’ and which is endowed with the energy and merit of the entire universe. 3) Huayan’s humanistic view and Daehaeng Seon’s concept of Juingong: Both concepts insist that people are endowed with inherent Buddha-nature. However, Daehaeng Seon uses the term ‘Juingong’, which in the Chan/Seon tradition refers to the principal agent behind all phenomena, and emphasizes that each individual subjectively puts into practice the eternal radiant vital energy inherent in all beings, which is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4) Faith in Huayan and Daehaeng Seon: Both absolutely emphasize the belief that all sentient beings are originally endowed with Buddha-nature, and all of their doctrinal concepts are based on this proposition. However, Daehaeng Seon emphasizes a belief in ‘Juingong’ which shapes everything in one’s daily life. 5) Theory of practice in Huayan and Daehaeng Seon: In both systems, cultivation starts with believing in one’s own inherent Buddha-na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enlightenment is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wondrous practice rooted in innate realization, which signifies that practice is based on one’s own Buddha-nature. However, in Huayan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faith is only the fundamental foundation that leads to awakening. In Daehaeng Seon, faith is not only the fundamental foundation, but also the practice of awakening itself. 6) Huayan’s practice of Samantabhadra (普賢行) and Daehaeng Seon’s practice of compassion: Both practices begin with believing that one’s life is the same as that of the myriad of beings in the universe and that the practitioner is inherently a Buddha. Ultimately, one should aim for a compassionate life together with all sentient beings. These six themes are surprisingly interconnected and display similarities. Huayan thought is also viewed as an ontology or epistemology in which its fundamental tenets are expressed by concepts such as: ‘one is all’, ‘non-obstruction among individual phenomena’, and ‘perfect inter-penetration without obstruction’. However, in Daehaeng Seon, these concepts are more actively expressed and developed as a theory of practice to be implemented subjectively. [Key Words] Huayan, Daehaeng Seon, world view, Mind-only, Hanmaum Thought, Juingong, faith, meditative practice. 이 논문에서 여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화엄과 대행선 사상을 비교해 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엄과 대행선의 세계관: 화엄과 대행선 모두 이 세계는 인연의 법칙에 의해 진리대로 전개되는 법계라고 한다. 둘째, 화엄의 유심사상과 대행선의 한마음사상: 양자 모두 마음이 만법의 근원으로서 만법을 짓는다고 하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대행선의 한마음은 이것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하여 ‘모든 생명에 공통되는 전체적인 마음’으로서, ‘우주 전체의 에너지와 공덕’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 강조한다. 셋째, 화엄의 인간관과 대행선의 주인공관: 양자 모두 인간은 불성을 지닌 존재라고 하는 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대행선에서는 선종에서 만법의 주체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주인공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개개인은 모든 중생의 본래 성품인 영원히 밝은 만물의 생명력을 주체적으로 실천해 가는 존재임을 강조한다. 넷째, 화엄과 대행선에서의 믿음: 양자 모두 일체중생이 본래 부처라고 하는 믿음의 중요성을 절대적으로 강조하고, 모든 사상체계는 이에 바탕을 두고 있다. 다만 대행선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자기의 모든 것을 형성시키는 주인공을 믿고 거기에 맡길 것을 특히 강조한다. 다섯째, 화엄과 대행선의 수증론修證論: 양자의 수행도修行道는 자신 이 본래 부처임을 믿는 데에서 시작되고, 수행과 깨달음의 관련성의 문제는 양자 모두 본질적으로 본증묘수本證妙修로서 수증불이修證不二이다. 여섯째, 화엄의 보현행과 대행선의 자비행: 양자는 만물이 늘 함께 어우러져 끊임없는 상관관계를 이루면서 돌아가는 법계의 실상에 부응하는 진정한 삶의 방식으로서 궁극적으로 일체중생과 함께하며 그들을 위하는 자비로운 삶을 지향한다. 앞에서 살펴본 여섯 가지의 주제는 놀라울 정도로 상통하거나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화엄사상의 연구전통은 일즉일체, 사사무애, 원융무애 등의 관념론적인 논리로 일관하는 존재론 또는 인식론으로 비추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대행선에서는 이들 개념을 보다 실제적으로 표현하여 주체적으로 수행해 나아갈 수 있는 실천이론으로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대행선 사상은 깨달음의 세계를 구현하는 법을 이론체계로 설하는 화엄사상을 보다 실천적인 선사상으로 재해석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선종사에 있어서 대행선의 위상과 의의

        김방룡(Kim, Bang-ryong)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3 No.-

        묘공당 대행(1927~2012)은 한국 근현대를 살다간 고승으로서 십 수 년의 철저한 산중고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었으며, 그 깨달음의 바탕을 ‘한마음’과 ‘주인공主人空’이라 정의하였다. 대행은 한마음선원을 중심으로 하여 대중 교화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여 불교의 현대화·생활화·과학화·세계화에 큰 업적을 드러내었다. 본고는 대행이 깨닫고 대중들을 지도하였던 선사상을 ‘대행선’이라 명명하고, 이러한 대행선이 한국 선종사에 있어서 어떠한 위상과 의의를 지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이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의 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대행선이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대행선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구도과정에서 자신의 의문을 밖의 스승이나 학문에서 찾으려고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였다는 점에서 그 독특성이 나타난다. 대행은 특별한 스승이 없이 철저한 구도와 독자적인 체험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었으며, 깨달음의 바탕을 ‘한마음’과 ‘주인공主人空’ 혹은 ‘한마음 주인공’이라 명명하였다. 대행은 ‘믿음’, ‘놓음’, ‘지켜봄’을 특징으로 하는 주인공 관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점은 대행이 기존 선사상을 맹목적으로 답습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특한 색깔을 내고 있는 것으로서, ‘대행선’이라 명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공체共體·공심共心·공생共生·공식共食·공용共用의 오공五共 사상 역시 대행의 독특한 사상이다. 이는 대행의 한마음 사상에서 비롯된 수행론이라 할 수 있고 깨달은 자가 행하는 자비행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현대적 개념으로 말한다면 생명·생태철학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는 독특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둘째는 한국 선종사에 있어서 대행선의 위상은 어떠한가 하는 점이다. 우리가 ‘대행선’이라 명명할 때 거기에는 선의 보편성과 대행만의 독특성이 함께 존재한다. 이러한 대행선의 정체성은 대행의 열반으로 완료된 것이 아닌 그 제자들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대행선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나가는 일이 필요하다. 대행선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어서 과거 한국선의 역사적 전통을 직접적으로 계승한 측면은 크게 발견되지 않아 이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그러나 대행이 활약하였던 1970년 이후 2012년까지 대행은 현대 한국불교의 개혁적 방향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따라서 현대 혁신불교를 이끈 대표적 선사로서의 위상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Myogongdang Daehaeng (1927~2012) was an eminent Korean monk who attained enlightenment after more than ten years of exhaustive practice. She defined the basis of her enlightenment as the concepts of 'Hanmaeum (One Mind)' and 'Juingong (True Self)'. Operating out of her Hanmaeum Seon Center, her superior abilities to teach and educate allowed her to make great progress in modernizing and globalizing Buddhism and in teaching the concept of living practice. Her brand of Seon Buddhism has been labeled 'Daehaeng Seon', and in this paper I want to examine the status and meaning of Daehaeng Seon in Korean Seon history. First, what is Daehaeng Seon? Ven. Daehaeng did not seek answers to her questions from any teacher or texts; she listened to her own 'inner voice' to find truth. That is the uniqueness of Daehaeng Seon. She attained enlightenment by fearlessly seeking the truth and through her own experiences. Ven. Daehaeng's 'Juingong meditation' focused on faith, selflessness and observation. These indicate that Ven. Daehaeng didn't blindly follow existing Seon thought but chose her own unique path. The Five sharings (五共) is also Daehaeng's unique thought. This can be called a kind of practice originated in Daehaeng's Hanmaeum thought and mercy act of Buddha. It is an unique theory that can be also a kind of life·ecology philosophy in modern concept. Secondly, what is the status of Daehaeng Seon in the history of Korean Seon? In 'Daehaeng Seon' we see the universality of Seon as well as the uniqueness of Ven. Daehaeng's thought. The practice of Daehaeng Seon did not end with her passing away but is still being carried on by her pupils. Accordingly, we must properly establish the identity of Daehaeng Seon for the future. I cannot find in the present Daehaeng Seon any trace of the Korean Seon tradition of 'Seon lineage' or 'succession of teachers.' However, Ven. Daehaeng made great achievements in influencing the direction of modern Korean Buddhism during her active working period (1970-2012). Therefore, I regard Ven. Daehaeng as an eminent Seon master who led the modern renovation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후보

        대행선 형성의 사상적 배경 - 본래성불사상과 관련하여

        김호귀(Kim, Ho-Gui) 대행선연구원 2018 한마음연구 Vol.1 No.-

        The term ‘Daehaeng Seon’ refers to the Seon (Zen/Chan) style of Ven. Daehaeng. The distinctive flavor seen in the teachings and practice of Ven. Daehaeng is based on her many Dharma talks. The structure of Daehaeng Seon is centered on the principle of Hanmaum (One Mind). It teaches that the inherent Buddhahood within every individual, the Juingong or true self, is the basic substance that seeks the true mind. The practice of the “Five Sharings” is the marvelous function that establishes equality between all sentient beings. Philosophically, the concepts of Hanmaum, Juingong and the Five Sharings are based on the concept of “inherent Buddhahood,” meaning that all sentient beings are inherently buddhas just as they are. This concept is based on the Mahāyāna-sūtras. This concept was also developed and expanded by patriarchal Chan (Seon/Zen) which was first transmitted from Bodhidharma to the sixth patriarch Huineng. Later it was transmitted to the “Five Houses (禪宗 五家)” during the late Tang dynasty in China. According to Ven. Daehaeng, the concept of inherent Buddhahood evolved into various concepts such as: the Buddha of self-nature, the Buddha of inherent self-nature, the Dharma-realm of thusness, the Majestic Voice King Buddha (威音王佛), Not a single thing (無一物 referring to the empty character of existence), and before your parents gave birth to you (父母未生前).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Daehaeng Seon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Hanmaum. Sometimes it is practiced using the contemplation method of Juingong, and sometimes it is practiced using the Five Sharings to establish a spirit of community through the sharing of all things. Accordingly, the concept of inherent Buddhahood functions through the inter-related structure of the three concepts of Hanmaum, Juingong and the Five Shareings as the foundation of Daehaeng Seon for the enlightenment of all sentient beings. In this regard, Daehaeng Seon is the practice of a bodhisattva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inherent Buddhahood which originated in patriarchal Chan and is now applied in daily life through constant affirmation of the individual. 대행선大行禪은 묘공당妙空堂 대행大行의 선풍을 일컫는 개념으로서 대행의 면모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바로 그 대행선은 대행의 숱한 법어에 근거하여 형성되고 전개되며 실천되고 있는 선풍으로서, 그 구조는 한마음의 원리를 종지로 하여 자성본래불自性本來佛 을 보편적이고 근원적으로 지향하고, 주인공主人空의 편재를 본체로 하여 개체적인 본래면목을 추구하며, 오공五共의 실천을 묘용으로 하여 일체중생의 평등성을 실현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행선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한마음과 주인공과 오공은 사상적으로 자성본래불 곧 본래성불의 사상에 바탕하고 있다. 이로써 대행선은 선종의 달마達磨로부터 전승되어 온 조사선풍과 맥락이 닿아 있음을 고찰할 수가 있다. 본래성불의 개념은 여러 대승경전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일체 중생의 본래성을 긍정한 달마의 조사선풍祖師禪風에서 더욱더 확장 되었는데, 달마의 이입二入을 비롯하여 혜가慧可와 승찬僧璨과 도신道信과 홍인弘忍과 혜능慧能 및 이후 선종오가禪宗五家의 조사들에게 전승되면서 더욱더 보편적인 사상으로서 전개되었다. 본래성불의 사상이 대행에게는 자성불, 본래자성불, 자성본래불 등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여법계의 개념인 한마음의 경우 무일물無一物과 위음왕불威音王佛 이전과 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의 근원성으로서 불성佛性과 법성法性과 자성自性의 원리로 전개되었다. 또한 한마음의 구체화이고 개별화로서 출현해 있는 주인공의 경우 무조건의 믿음을 바탕으로 하여 전개되는 관법수행의 근거로 작용하였다. 나아가서 한마음의 원리를 공동체의 방식으로 실현해가는 오공의 경우 부처와 중생의 본체가 다름이 없다는 동체대비의 근거로서 보살행으로 전개되었다. 이처럼 대행선의 사상적인 바탕을 구성하고 있는 본래성불의 사상은 대행의 법어에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 있다. 때로는 근원적인 한마음의 원리로 설명되어 있는가 하면, 때로는 본래적인 주인공의 관법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때로는 평등적인 오공의 공동체 의식으로서 일체중생의 기체로서 실현되고 있다. 따라서 대행선의 사상적인 배경인 본래성불은 한마음과 주인공과 오공의 유기적인 구조로서 일체중생이 수행하고 성불하는 바탕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대행선은 전통적인 조사선의 사상에 계합되어 일상생활에서 개개인에 대한 철저한 긍정을 통하여 평상심으로 전개되었던 보살행에 통한다.

      • KCI등재후보

        대행선 수증관의 구조와 원리 - 묵조선과 관련하여

        김호귀(Kim, Ho-gui)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2 No.-

        대행선의 선풍은 기존의 조사선이 지니고 있는 가풍에 의거한다. 그러면서도 한마음을 종지로 한다는 점에서 특유하다. 이것은 대행선이 나름대로 전통선의 본래성불의 사상을 이어받고 있으면서 달리 한마음의 원리에 따른 사상과 수행과 깨달음과 교화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행선의 수행과 깨달음의 특성과 관계에서 수행으로는 자리적인 관법이 중심이고, 깨달음으로는 이타적인 오공법의 실천이 중심이다. 관법과 오공법의 관계는 관법수행의 경우 단순히 깨달음을 향한 수행보다는 깨달음에 바탕한 믿음과 놓고 맡겨둠과 지켜봄의 행위로 드러나 있고, 오공법 실천은 다섯 가지의 덕목이 보살도의 실천을 담보한 행위로 현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행과 깨달음이 딱히 구별되어 있지 않는 수증불이의 입장이다. 이런 점에서 대행선의 수증관은 구조적으로 자리와 이타의 관계로서 상호 의존적인 입장으로서 관법과 오공법이 호융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원리적으로 본래성불의 사상에 근거한 까닭에 즉 생활적인 작용으로 전개되어 있고, 수증불이의 모습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한마음의 이치가 일체만물에 그대로 현성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대행선은 조사선 전통 가운데 묵조선의 수증관과 밀접하다. 묵조선 수증관의 구조는 수행과 깨달음이 좌선이 드러나 있는 지관타좌, 몸과 마음에 자유를 얻어서 분별과 집착이 없이 초월된 삶인 신심탈락, 본증의 입장에서 본래성을 그대로 자각하는 행위인 본증자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원리는 본래성불의 사상에 근거한 묘수와 본수로서 새로운 깨달음을 추구하지 않고 좌선 그 자체에 수행과 깨달음이 현성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대행선과 묵조선의 접점은 구조의 측면에서는 주인공에 대한 믿음과 놓고 맡겨둠과 지켜봄의 방식이 본증자각과 지관타좌와 신심탈락에서 근접해 있고, 원리적인 측면에서는 수증불이에 근거하고 있다. Daehaengseon is based on the thoughts of traditional Patriarch zen. The Patriarch zen originated from Bodhidharma who the first Patriarch of Zen sect in China Buddhism. All the more, Daehaeng-seon has a faith that is to say Hanmaum. It teachs that the inherent Buddhahood within every individual, true self, is the basic substance that seeks the true mind. Daehaengseon have two face viewpoint about practice and enlightenment in structure. The one is selfism which to observe one's Juingong(it means true self), the other is altruism which Ogong(it means five sharings). These selfism and altruism are depend on each other. Daehaengseon have three face viewpoint about practice and enlightenment in principle. First, based on the concept of inherent, Buddhahood meaning, that all sentient beings are inherently buddhas as they are. The concept is applicable to everyday by everyone. Second, practice and enlightenment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rd, the principle of Hanmaum is appearance at every things. The structure of Silent-Penetration Zen is made of three elements, that is to say, Sitting-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the transcendency of body and mind. Sitting - 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 realization is self - 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There is no gap between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erefore, we must not regard practice as before and enlightenment as after. There is no gap between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erefore, we must not regard practice as before and enlightenment as after. Here we can understand that the relations of Daehaengseon and Silent-Penetration Zen have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identity.

      • KCI등재후보

        임제선과 대행선의 비교를 통한 회통성 -대행선, 회귀回歸인가? 회통會通인가?

        이상호 대행선연구원 2022 한마음연구 Vol.9 No.-

        This study emphasizes that Daehaeng Seon is pioneering a new form of Seon by “reconciling traditional Seon” based on its own original, moder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Seon. It does this by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past and present situation, instead of a “simple return to traditional Seon” by following the ways of traditional Seon practice. In order to explore Daehaeng Seon’s originality and identity, this study compares Daehaeng Seon and Linji Chan. In Daehaeng Seon’s teaching of buddha nature, there are three types of reconciliation. First, there is reconcili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In the history of the Seon School,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has in the past been explained in terms of mind, nature, and cause. In Daehaeng Seon,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is taught based on the concepts of “One Mind (Hanmaum)” and “foundation (Juingong).” Second, by using the concept of Juingong ― another term forbuddha nature ― as the medium for the practice of entrusting, buddha nature and the medium of practice are unified. In this way Daehaeng Seon reconciles the concepts of buddha nature and practice. Third, Daehaeng Seon reconciles the concept of wisdom ― attained from awakening to one’s Juingong ― with the concept of compassion ― attained as the result of Juingong’s freedom and virtues. Daehaeng Seon reconciles its doctrine of practice in four ways. First, Daehaeng Seon reconciles, as being in an organic relationship, the practice elements of Linji Chan ― held in common with Daehaeng Seon ― with the practice elements of Daehaeng Seon. Second,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daily life is a part of Buddhist practice, Daehaeng Seon reconciles daily life with practice. Third, by reconciling the concept of faith with the sensation of doubt, Daehaeng Seon reconciles Linji Chan, which emphasizes faith, with Ganhwa Seon, which in turn emphasizes the sensation of doubt. Fourth, Daehaeng Seon employs the use of questions and answers to teach, but also emphasizes answering one’s own questions. In this way Daehaeng Seon reconciles these two ways of using questions and answers. In conclusion, one cannot grasp the full picture of Daehaeng Seon based only on its past. A complete picture is only revealed when one views the present along with the open-ended future, which gives us a novel perspective. Daehaeng Seon gives a refreshing newness to modern Korean Seon based on its own Seon philosophy ― which encompasses both past and present ― with original terminology. Daehaeng Seon’s quality of reconciliation poses for us an important question about what Korean Seon Buddhism should do to prepare for the future without holding on to the practice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hinese Chan Buddhism. KEYWORDS Linji Chan, Daehaeng Seon, One Mind, Juingong, doctrine of buddha nature, doctrine of practice, reconciliation, faith, sensation of doubt 본 논문은 대행선이 전통적인 선禪 수행법을 답습하는 ‘전통선傳統禪으로 회귀’가 아니라 과거와 현재의 시공간을 아울러 독창적이고 현대적인 재해석으로 ‘전통선을 회통’시킴으로써 새로운 선풍을 개척해나가고 있다는데 방점을 둔다. 이에 따라 대행선의 독창성과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대행선과 임제선을 비교 고찰한다. 대행선에서 불성론佛性論의 회통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불성론의 개념상 회통으로서 선종사禪宗史에서 심∙성∙인으로 변천해온 불성의 개념을 ‘한마음’과 ‘주인공主人空’으로 회통시킨다. 둘째, 불성을 의미하는 주인공을 관법수행의 매개로 활용함으로써 불성과 수행 매개를 일원화시켜 불성론과 수행론을 회통시킨다. 셋째, 주인공의 깨달음을 통한 지혜와 주인공의 자재권과 위덕을 통한 자비를 회통시킨다. 수행론의 회통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째, 대행선의 수행 요소들과 공통되는 임제선의 수행 요소들을 유기적인 관계로 회통시킨다. 둘째, 생활이 곧 수행이라는 관점으로 생활과 수행을 회통시킨다. 셋째, 믿음과 의정을 회통시킴으로써 믿음을 중시하는 임제선과 의정을 중시하는 간화선을 회통시킨다. 넷째, 문답법을 활용하면서도 자문자답自問自答을 강조하므로 두 문답법을 회통시킨다. 결론적으로 과거만으로는 대행선의 온전한 모습을 찾기 어렵고, 지금 현재와 열려있는 미래를 함께 바라볼 때, 그의 온전한 모습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신선한 충격을 던지고 있다. 독자적인 언어체계로 과거와 현대를 아우르는 선사상을 구축함으로써 현대 한국 선불교에 새로움을 덧붙인 대행선의 회통성은 앞으로 한국 선불교가 전통적인 중국선불교의 행해行解로 남을 것이 아니라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화두를 던지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중요한가? - 파커 J. 파머의 문제제기에 대한 대행선大行禪의 적용

        정재요(Jung, Jae-Yo)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4 No.-

        이 논문은 정치와 민주주의에서 특히 ‘마음’의 중요성을 통찰했던 파커 J. 파머의 사상에 대행선大行禪을 적용·고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파머의 사상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수월한 이해의 지평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본구상에 따라 본 논문은 ‘정치와 민주주의의 마음’과 관련하여 파머가 제시한 두 가지 문제제기를 검토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첫 번째 문제제기는 ‘민주주의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마음에 관한 것이다. 파머에 따르면 민주주의의 인프라는 ‘인간의 마음이 지닌 보이지 않는 역동’과 ‘그 역동이 형성되는 가시적인 삶의 현장들’의 두 가지 층위로 구축된다고 한다. 이에 본문에서는 파머가 제시한 마음의 층위에 대행선을 적용하여 민주주의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마음의 문제를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구체적으로 한마음 주인공, 생활불법, 오공사상, 한마음 공동체를 포함한 대행선의 이론적 자원들을 통해서 ‘민주주의의 인프라’에 관한 파머의 논의를 면밀하게 고찰해 볼 것이다. 두 번째는 ‘정치의 마음’의 틀에서 다루어지는 마음의 부서짐에 관한 것이다. 민주주의에서 정치적인 삶은 모순과 갈등의 연속이라는 점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의 마음은 때때로 부서질 수 있다. 이 때 개인의 마음이 어떻게 부서지는지에 따라서 정치와 민주주의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파머의 주장이다. 그에 따르면 비통함의 경험 속에서 마음이 부서지는 두 가지 경로는 ‘부서져 흩어지는 마음’과 ‘부서져 열린 마음’이라고 한다. 이에 본문에서는 파머가 언급한 두 가지의 마음개념에 ‘중생심’과 ‘평상심’을 내용으로 하는 대행선을 적용·고찰해 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치의 마음에 관한 파머의 사유가 보다 명확하게 이해되고, 파머의 사상적 한계를 보완하는 대행선의 기능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파머의 문제제기를 경유한 대행선의 사회과학적 응용은 마음이 계합된 정치와 민주주의의 화두인 ‘한마음의 정치학’을 제시해준다. 이제 이것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일은 ‘정치적 동물(Homo Politicus)’이면서도 또한 ‘한마음 주인공’을 내면에 굳건히 간직하고 있는 우리 모두의 과제로 남겨져 있다. In this paper I apply Ven. Daehaeng’s Seon philosophy (also called ‘Daehaeng Seon’) to examine ideas presented by Parker J. Palmer which reveal insight into the importance of ‘mind’ in politics and democracy. My hope is to make Palmer’s ideas more clearly and easily understood. Therefore, I examine two problems raised by Palmer in relation to ‘the mind of politics and democracy’. First, Palmer proposes building a ‘democratic infrastructure’. According to him, the infrastructure of democracy is composed of two things: ‘the invisible dynamism of the human mind’ and ‘the visibility of the living places in which the dynamic is formed’. In this article, I will consider the aspect of mind that constitutes the infrastructure of democracy by applying Daehaeng Seon to the idea suggested by Palmer. Specifically, I will examine Palmer’s discussion on the infrastructure of democracy through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Daehaeng Seon, including her thoughts on: hanmaum juingong, Buddhism in daily life, the five sharings, the hanmaum community, etc. Then I will examine the ‘heart break’ that Palmer speaks of regarding ‘the mind of politics’. The heart of a community’s members can sometimes be ‘broken’ because life is often a continual series of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Palmer claims that the level of politics and democracy can vary depending on how an individual’s heart is broken. According to him, through bitter experiences a heart can be either ‘broken apart’ or ‘broken open’. In this paper, I will apply two Daehaeng Seon concepts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nd ‘the ordinary mind’) to concepts proposed by Palmer. In doing this I hope that Palmer’s thoughts on ‘the mind of politics’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and that aspects of Daehaeng Seon that complement Palmer’ s ideas will be revealed. As mentioned above, the social relevance of Daehaeng Seon to issues proposed by Palmer suggests a ‘politics of hanmaum’ which combines politics and the ‘democracy of mind’.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is now remains a challenge for all of us, both as ‘political animals’ (homo politicus) and as Hanmaum Juingong.

      • KCI등재후보

        대행선사의 간화看話와 주인공 관법에 대한 고찰 - 간화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오용석(Oh, Yong-Suk)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4 No.-

        본 연구에서는 대행선사의 간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먼저 화두가 가진 의미를 방편과 실상의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 두 개념을 잘못 이해하면 상호모순이 생겨나기 때문에 먼저 이 두 개념이 상호보완적 관계임을 논술하였다. 또한 실상의 입장에서 화두는 ‘한 생각 일어나기 이전’을 가리키기 때문에 이 두 개념을 대립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화두를 실상으로 이해하는 방식을 통해 대행선의 ‘간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의 틀로 삼았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해석의 틀을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우선 전통적 의미의 간화선은 방편의 입장이 강조된 것에 비해 대행선사의 화두에 대한 해석과 이해는 주로 실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둘째, 대행선사의 화두에 대한 이해를 실상의 차원에서 접근하면 선사의 주인공 관법과 화두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두 참구가 화두를 통해 의심을 내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스님의 화두는 자기의 성품으로 마음을 돌리는 ‘관’을 말한다. 스님은 화두와 참선 그리고 관觀을 하나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통적 의미의 간화선과 대행선의 ‘간화’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의미의 간화선이 대신근, 대분지, 대의단의 세 가지 요소를 강조하는 것에 비해 대행 스님의 ‘간화’는 이에 ‘관’을 추가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를 초기∙상좌부 불교의 수행 과정에서 중시하는 오근∙오력의 개념과 비교해보면 전통적인 의미의 간화선과 그 차이점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대행선의 간화에서 신信은 실상을 깨치는 근원적 요소이며 이는 ‘관’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관’은 간화선에서 강조하는 ‘대의단’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대행선에서도 ‘의정’은 존재하지만 전통적 의미의 간화선에서 나타나는 것만큼 중시되지 않는다. In order to understand Daehaeng's practice of ganhwa (看話 observation of a key phrase; koan meditation), I first examined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definition of ‘hwadu’ (話頭 key phrase/koan) in terms of its relevance to ‘true original nature’ (實相 true reality of things as they are) and ‘expedient means’ (方便 Skt. upāya). If we misunderstand these two concepts, it leads to mutual contradictions, so I must explain first the point that the two concepts are complementary. Also, from the standpoint of true original nature, ‘hwadu’ can be interpreted as means 'before a thought arises in an inherently undefiled mind’. Therefore, we should not understand these two concepts to be contradictory or in opposition. In this framework, I tried to explain Ven. Daehaeng’s ganhwa practice in terms of true original nature (the true reality of things as they are). In this paper I examined ganhwa-seon [看話禪 Gong'an (J. kōan) contemplation; a Chan/Seon/Zen meditation method that seeks direct attainment of enlightenment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keyword 話頭'] from three perspectives based on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First of all, I noted tha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ganhwa-seon emphasized ‘expedient means’, whereas Ven. Daehaeng mainly stressed its relationship to ‘true original nature’. Second, if we understand Daehaeng's interpretation of ‘hwadu’ in terms of true original nature,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practice of ‘juingong’ (主人空 one's own pristine inner-self or self-nature) contemplation and traditional hwadu contemplation. If ganhwa-seon is focused on amassing doubt through hwadu contemplation, then Daehaeng's hwadu practice emphasizes the ‘gwan’ (觀 Skt. vipaśyanā, meditative insight, analytical meditation, or observation meditation) aspect more by focusing one’s mind on its own true nature. Ven. Daehaeng understood hwadu practice, seon practice and gwan practice to be one and the same. Lastl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ganhwa-seon and Ven. Daehaeng's version of it. While traditional ganhwa-seon emphasizes the three elements of great faith, great effort, and great doubt, Ven. Daehaeng's ‘ganhwa’ emphasizes ‘gwan' or ’observation’. In particular, when we compare this with the concepts of the ‘five spiritual faculties’ (五根) and ‘five spiritual powers’ (五力), important concepts in Early and Theravada Buddhism, then the differences between Ven. Daehaeng’s ganhwa and traditional ganhwa seon become clear. ‘Great faith’ in Ven. Daehaeng's ganhwa is the fundamental element in realizing one’s true original nature, which leads to 'gwan'. In this context, 'gwan' corresponds to the 'great doubt' emphasized in traditional ganhwa-seon. In ‘Daehaeng seon’, 'great doubt' exists, but it is not as important as it is in traditional ganhwa-seon.

      • KCI등재후보

        생활참선 수행도량, 한마음선원의 포교현황과 미래의 방향

        혜선 대행선연구원 2022 한마음연구 Vol.9 No.-

        한마음선원 창건주인 비구니 묘공당 대행(1927-2012)은 어릴 적의 험난하고 처절한 삶에서부터 ‘나는 누구인가, 세상이 왜 부자와 가난한 자가 있느냐’ 등의 의문을 가지고 내면으로 침잠하고 사유하였다. 10수년간 산속에서 위법망구의 난행과 고행으로 무사독오한 묘공은 마침내 일체 우주 만물만생이 한마음이라는 진리를 자내증한 것이다. 그 후 대중들에게 불법을 일깨워주고 바른 삶의 길 즉, 고苦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행복하고 싱그럽게 살길 발원하면서, 산중이 아닌 도심에 세운 포교 사찰이 바로 생활참선 수행도량인 한마음선원이다. 묘공은 ‘불교의 생활화, 현대화, 세계화’라는 기치 아래, 대중들과 함께 울고 웃으면서 동체대비심의 무애자재한 실천행을 하였다. 묘공의 종지이자 핵심사상인 “한마음”은 한마음선원의 근간이고 토대이자 전체이다. 또한 생활참선의 실천원리가 한마음이고, 이 한마음을 체득하기 위한 수행요체가 바로 ‘주인공관법主人空觀法’이다. 이는 대행선에 대한 확고한 수행법의 실천을 위한 방편이자, 대행선의 체계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 내지는 기본이다. 주인공관법이란 생활 중에 닥쳐오는 경계나 내면의 문제를, 자신의 주인공에다 믿고 맡겨놓고 관하라는 것이다. 선원 포교현장의 지침이 바로 주인공관법이다. 한마음선원의 포교활동과 현황은 신행회 활동, 합창단과 선법가, 언론과 미디어포교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며, 여러 분야에서 꾸준히 포교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한마음선원은 안양본원 및 국내지원 15곳, 미국 독일 등 해외지원 10곳에서 비구 법제자, 비구니 제자 150여 명이 수행과 포교가 둘이 아니게 일로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한마음선원의 포교현황을 바탕으로 선원이 향후 나아갈 방향을 크게 학교설립, 대행선연구의 체계화, 대행선의 국제화 3가지로 제시한다. 한마음선원은 ‘생활불교, 현대불교, 세계불교’를 기치로 설립되어, 이를 성취하고 발전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직접적인 미래포교 방법의 일환으로서 대행선사상을 확장시키기 위해 유치원이나 청소년 대안학교, 대학 또는 대학원대학교와 같은 공인교육기관이 필요하다. 또한 대행선의 국제화를 위한 국제선센터 건립과 영어학술지 발간이 필요하며, 대행선 연구의 체계화 및 대중화를 위해 대행선연구원의 학술적 역할이 중요하다. 각자 인연따라 자신에게 주어진 삶 속에서, 마음공부의 한걸음씩을 걸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이 지구상에는 평화와 조화 그리고 행복이 깃든 세상 즉 불국토가 실현될 것이다. 그리고 자리이타의 마음으로 한생각을 한다면 만물만생이 두루 이롭게 따뜻하고 행복한 세상이 될 것이다. The life of Myogong Daehaeng (1927-2012) began in heartbreakingly wretched and harsh conditions, but she eventually began searching within herself, contemplating questions such as: “Who am I? Why are there rich and poor in the world?” She practiced religious austeritiesfor over a decade in the mountains without any teacher, and ultimately attained the realization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originated from and reside in the One Mind or “Hanmaum.” Later, in order to teach Buddha dharma to the public and guide them to a more wholesome path of life, she established a temple in the heart of the city of Anyang, which she called Hanmaum Seon Center; it is a monastery dedicated to promoting “Seon meditation in daily life.” Applying three basic principles (Buddhism in daily life, modern Buddhism, and global Buddhism), she taught and laughed and cried along with her followers. She practiced great compassion in unhindered total freedom based on the spirit that all beings are one. The concept of Hanmaum ― the principal tenet and core philosophy of Myogong Daehaeng ― is the groundwork, foundation, and essence of her Hanmaum Seon Center. The philosophy of Hanmaum is the principle of applying Seon meditation in daily life, and the core practice to attain the state of Hanmaum is practicing to entrust all things to Juingong, which is our true foundation. This practice is a skillful means to better implement the practice of Daehaeng Seon, and is the basis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Daehaeng Seon. The core practice to become a truly free person in daily life is the practice of “entrusting all things to Juingong.” This consists of having a firm belief in the Juingong of the One Mind, and entrusting matters at hand, both internal and external, to one’s Juingong, and observing objectively. The basic and foundational practice at the Dharma propagation venues of Hanmaum Seon Center is the practice of entrusting all things to Juingong. Dharma propagation is performed continually at diverse venues, including the Center’s Faith and Practice Association, Hanmaum Chorus, Seon Dharma music, journalism and mass media. At present, Hanmaum Seon Center has 15 centers in Korea, including its headquarters in Anyang, and 10 overseas centers, including America and Germany, where 150 monastic disciples, both monks and nuns, work diligentl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inseparable oneness of personal practice and Dharma propag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Dharma propagation, I make thre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Hanmaum Seon Center: establishing schools, the system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research into Daehaeng Seon, and the globalization of Daehaeng Seon. Hanmaum Seon Center operates under the basic guidelines of “Buddhism in daily life, modern Buddhism, and global Buddhism,” and it strives continually to advance its mission. And as part of future Dharma propagation efforts and to expand the philosophy of Daehaeng Seon, certifie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eeded, such as kindergartens, alternative schools for adolescents, and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In addition, an international Seon center and the regular publication of an English academic journal are required to globalize Daehaeng Seon. To make research into Daehaeng Seon more systematic and accessible, the academic roles of the Daehaeng Seon Institute are important. When more individuals take the valuable first step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conditions they find themselves in, the Earth will come closer to manifesting the “Buddha realm” of peace, harmony, and happiness. When all people arouse a single aspiration based on the compassionate mindset of benefitting both self and others, all sentient beings will be healed, and warmth and happiness will reign. KEYWORDS Myogong Daehaeng, Hanmaum, Juingong, “entrusting things to Juingong,” Seon meditation in daily life, Daehaeng Seon, “Life is a venue for study and cultivation,” “Suffering in life is no suffering”

      • KCI등재후보

        대행선 사상의 문화치유명상 응용방안 연구(1) –대행선의 치유명상 원리–

        김응철(Kim, Eung-chual)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3 No.-

        본 연구는 대행선의 핵심 개념과 치유명상의 원리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대행선의 핵심 개념은 주인공主人空, 한마음, 오공五共 등이다. 대행선에서 강조하는 주인공은 자성불自性佛이며 불이사상을 깨우치는 화두로 기능하고 있다. 주인공의 내면적 실천은 한마음으로, 사회적 실천은 오공으로 세분화되었다. 대행스님의 가르침인 한마음은 불성佛性 그 자체를 의미한다. 그것에는 다른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데, 일념一念, 우주처럼 큰마음, 삶의 전체, 하나로 연결된 마음 등이다. 오공은 주인공의 다섯 가지 실천원리로서 공생共生, 공심共心, 공용共用, 공체共體, 공식共食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공사상을 십바라밀과 연계하여 설명하였다. 대행선에서는 괴로움의 치유를 “마음의 집을 새로 짓는 과정”으로 비유하였다. 그리고 마음 치유의 원리는 “괴로움의 참된 원인을 관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마음 치유의 방법은 광명의 지혜를 체득하고, 주인공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갖는 것을 제시했다. 이 수행법에서는 자신이 직면한 괴로움을 벗어나기 위해서 주인공의 지혜로운 관찰, 한마음의 자각, 확고한 신념과 바라밀의 실천 등의 방법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행선의 치유방법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체계화 했다. 즉, 주인공을 관찰하는 주체적 치유, 한마음을 체득하는 화합적 치유, 오공을 실천하는 바라밀 치유 등이다. 오공五共은 공업중생임을 강조하는 공생共生, 공통된 목적을 공유하는 공심共心, 일심동체의 공체共體, 함께 나누는 공용共用, 함께 먹고 마시는 공식共食 등이다. 대행선의 수행방법은 주인공을 관찰하는 관법 명상, 일상의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생활 명상, 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는 동적 명상 등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명상법은 대행선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e concepts of Daehaeng Seon and the principles of therapeutic meditation. The core concepts of Daehaeng Seon are: 'Juingong (True self)', 'Hanmaeum (One Mind)' and 'the Five Sharings.' The concept of Juingong, which is emphasized in Daehaeng Seon, is the Buddha of human nature, and it serves as the subject of meditation that promotes the concept of 'non-dualistic monism (不二思想)'. In Daehaeng Seon, the mental practice of Juingong focuses on the concept of Hanmaeum and social practice on the Five Sharings. In Daehaeng Seon, the healing aspect of suffering is likened to "the process of building a new house in the mind," and the mind healing is accomplished by "observing the true cause of suffering." This method of healing also involves learning the "wisdom of the light" and having a firm belief in one's own Juingong (True self). In order to escape our suffering, this meditation practice has three steps: wise observation of one's Juingong, a self-awareness of Hanmaeum (One Mind), and firm belief and practice of the Paramittas. In this study, Daehaeng Seon's method of therapeutic meditation was organized into three steps or aspects: the self-healing of observing the Juingong, the harmonious healing of learning about the One Mind, and the Paramitta healing of practicing the Five Sharings. The five aspects of Paramitta practice are: a life of symbiosis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 life of unity sharing a common purpose, a life of oneness of body and spirit, a life of sharing activities together, and a life of sharing food together. Daehaeng Seon meditation involves: meditation on one's Juingong, meditation on daily life, and dynamic meditation. It also requires practicing the "Ten Paramittas". These characteristics are thought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popularizing the teachings of Ven. Daehaeng.

      • KCI등재후보

        대행선의 주인공 화두명상

        인경(김형록, In Kyung: Hyung Rok Kim) 대행선연구원 2020 한마음연구 Vol.5 No.-

        본고는 대행선의 성격을 주인공 화두명상으로 규정한다. 그것은 요약하면 세 가지가 그 중심을 이룬다. 첫째는 주인공 화두이다. 둘째는 의정이다. 셋째는 지켜보는 관법이다. 먼저 주인공 화두는 대행스님의 핵심사상으로 화두명상의 사상적, 심성론의 근간을 이룬다. 두 번째 의정은 주인공을 체득하는 과정이고, 세 번째 지켜보는 관법은 구체적인 화두명상기술이다. 대행선에 대한 기존 연구가 관법 중심이고 간화선과는 무관하다는 주장이 많다. 그러나 본고는 이것과 다른 관점에서 대행선이 전통적인 간화선과 같은 계열로 본다. 물론 차이점도 있지만, 그 차이점이라는 것도 간화선이란 전체 흐름에 속한 것으로 파악한다. 대행선은 간화선이란 풍토에서 태어났다. 만약에 차이점이 있다면, 그것은 대행선이 가지는 간화선의 특징으로 본 것이다. 이 점을 논증하기 위해서 필자는 대행선에 나타난 중요한 개념들을 중국선종사와 한국간화선의 전통과 비교하면서 주인공 개념, 주인공 화두와 의정의 사용용례, 간화선 수행단계, 사량 분별과 내려놓음, 간화와 지켜봄 등 간화선과 관련된 핵심 의제들을 하나씩 비교하면서 기존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대행선의 성격을 ‘주인空 관법’으로 보지 않고 ‘주인공 화두’명상 계열로 정의를 하고, 기존의 간화선 전통의 맥을 계승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단지 화두 참구의 스타일이 전통 간화선은 의정/의단을 강조한 번뇌에 대한 배타적이고 투쟁적 집중[憤心]이라면, 반면에 대행선 역시 의정을 중시하지만 상대적으로 번뇌의 내려놓음과 주인공에게 맡김으로서 헌신과 봉사를 강조한 점에서 독자적인 영역을 가진다고 평가한다. Daehaeng-seon (大行禪)'s main form of Buddhist practice is a kind of meditation on a hwadu (話頭). Daehaeng-seon promotes three primary concepts: ‘Juingong’ (主人公 / one's own pristine inner-self or self-nature); ‘uijeong’ (疑情 / the mental sensation of doubt; ‘gwanbeop’ (觀法 / method of contemplation). ‘Juingong’ is the core concept that forms the basis of Daehaeng-seon’s ideological mentalism. ‘Uijeong’ is the process of attaining the realization of ‘Juingong by stopping all thought, and ’gwanbeop’ is a concrete topical meditation technique. There are many arguments that Daehaeng-seon's main character is the rule of vipassana watching method. This is not unrelated to the Hwadu meditation of the ganhwa-seon (看話禪, phrase-observing medit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Juingong Hwadu character, the use of the Juingong topic and the mental sensation of doubt, the stage of execution of the ganhwa, the discernment and laying down, and the uijong (sense of doubt). As a result, this paper does not regard the personality of the practice as the main character 'Juingong vipassana meditation (觀法)', but defines the main character as the 'Hwadu (話頭)’ meditation lineage, and evaluates it as inheriting the traditional vein of the traditional ganhwa-seon lineage. The style of the traditional Ganhwa meditation put an exclusive and combative focus on the defilement [憤心 Great indignation: One of the three pillars of meditation practice to attain enlightenment], while Daehaeng-seon also emphasizes the dedication, but the devotion to the protagonist. It has its own area. So I concluded that Daehaeng-seon has its own area in Seo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