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하루 일과 분석을 통한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안길훈,이병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일과 분석을 통해 자기표현력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수체제개발모델(ISD Model: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Model)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분석단계에서는 현존자료 분석(Extant Data Analysis), 요구분석(Need Analysis), 직무 및 주제 분석(Job/Task Analysis & Subject Matter Analysis)을 사용하였고, 설계단계에서는 교수-학습의 영역과교육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였다.개발단계에서는 총 34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하였다. 실시단계에서는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검증하기 위해 중학교 1개 반을 선정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효과와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전․후 학생들의표현수준을 비교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체제개발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표현력은 학습을 통해서 신장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교육수요자인 학생을 통해 교육의요구사항을 찾고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을 설계하면 학생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교육과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7차 교육과정에제시된 창의적재량활동의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is that see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xtension of self-expression ability &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became accomplished in compliance with ISD models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Model). The conclusion acquired by 5 step process such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s as follows;Firstly, it is revealed that self-expressive ability can be extended by learning and teaching. Secondly, if the educational programs are developed in compliance with the demand of the students, such programs can be the education course of provoking students' interest. Thirdly, this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xtension of self-expression ability could be operated with educational program of original discretionary activities that is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a.

      • KCI등재

        학생들의 선호-교사상(選好-敎師像)에 대한 내용분석적 연구

        안길훈(Ahn Gill-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학부모나 학생에 의한 교사 폭언, 협박, 폭행 등의 문제 상황과 학생지도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현직 교사들의 목소리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모습을 규명하였다. 현재까지의 교사상에 대한 연구가 주로 교사의 역할 기대라는 당위론적 관점에서 추상적인 모습의 규명에 머무르며 교사 중심의 용어로 진술된 특징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교사의 내면을 가장 잘 바라보는 학생의 경험적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좋은 선생님에 대한 학생들의 글을 분석하는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모습은 첫째, 유머감각을 보유하고 수업을 재미있게 하는 교사, 둘째, 자상하고 너그러운(친절, 친근, 미소)교사, 셋째, 삶의 지혜를 강조하고, 많은 추억을 심어주며, 학교 안에서 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관계의 끈을 놓지 않는 교사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모습을 보이는 것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직 교사들은 교사의 정체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며, 미래의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It is very difficult to define what a ‘good teacher’ is or does. The term ‘good teacher’ sounds very ambiguous and yet, walk into an education setting and you will hear students, and teachers alike make observations as to who is and who is not a good teacher. And so, when someone is called a ‘good teacher’ what is the behavior that fits within such terminology? Are teachers classified based on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or social skills or does a ‘good teacher’ refer to those whose students’ perform well academically? In this study, a definition is made as to what a ‘good teacher’ is. The definition is not derived from analyzing personality types of individual teachers, but rather from a discourse with students and education provid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good teachers’ are primarily defined as those wh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The secondary conditions which define a good teacher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eaching process and teaching methods, good teachers are those who incorporate humor into their lessons. Who make it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at they are learning, and who are very enthusiastic in their teaching. Further, that the teaching process involves using interesting ways of teaching and that the homework given to students is appropriate. Secondly, In terms of teacher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good teachers are generous, very attentive, kind, always smiling, good at giving praise, treat students fairly, give students confidence, don’t punish students, give students good advice, become good friends with their students, don’t show prejudices towards students, put themselves in the shoes of their students, and those who can forgive the wrongdoings of students. Thirdly, Additional factors which define a good teacher include those who dress nicely, talk in a friendly way with a cheerful voice, those who succeed in creating good memories and those who often interact with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學生의 敎師評價에 對한 參與 可能性 硏究

        안길훈(Ahn Gill-Ho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교육계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는 교사평가와 관련하여 학생이 교사평가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가?, 학생이 교사를 평가한다면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가?, 학생이 교사를 평가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그리고 학생에 의한 평가 결과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라는 4개의 질문에 대해 선행 연구 및 실증적 자료들을 근거로 학생의 교사평가 참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학생의 교사평가 참여의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 첫째, 학생은 교사평가자로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설 수 있음을 인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공론화와 함께 학생이 교사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쉽고 간편한 평가도구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에 의한 교사평가의 내용으로는 교사의 수업활동과 교사의 자질과 태도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학생은 수업을 통해 배우는 내용과 함께 수업내용과 관련이 없으면서도 교사의 자질과 특성을 통해 학생들이 영향을 받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셋째, 학생에 의한 교사평가의 목적 및 결과 활용은 우선적으로는 교사의 노력 및 전문적 성장에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교사 개인 간 비교를 통하여 교사를 서열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교사 내부에 공존하는 장점 요인, 단점 요인, 기회 요인, 위협 요인을 인지하도록 하여 단점 요인을 장점으로, 위협 요인을 기회로 바꿀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This study verifies the possibility of teacher evaluations by students by presenting the precedent research works and practical material about following four questions as the basis. Can students be the subject of the teacher evaluations? What should be evaluated if students evaluate teachers? What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teacher evaluations? How can we make efficient use of the evaluation results b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we can regard the major role of students as the appraiser of the teacher. The belief in students' role as the appraiser can be brought on the condition that we make the definite demonst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s negative viewpoint about students, the training of the appraiser, and the efficient use of results. Secondly, the contents of the teacher evaluations should be focused on teacher's qualifications such as ability, attitude, and knowledge. This help the teacher to build up excellent qualifications as well as to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with students, which brings the reinforcement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long run. Thirdly, both the objective of the teacher evaluations and efficient use of this result should place the focus on the teacher's effort and the specialized growth. In the concrete,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not grade the teachers by comparing one another but change many factors, such as weak and intimidatory points, of the teachers' inner part into the strong point and the opport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