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SNS(Social Network Services) 이용동기가 무용전공대학생들의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

        심현화 ( Hyun Hwa Shim ),이지연 ( Ji Yeon Lee ),양주희 ( Joo Hee Yang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에서는 무용전공대학생의 SNS이용동기가 관계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무용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 238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SNS접속시간), 이용동기(자기확인, 대인지향, 정보탐색, 엔터테인먼트), 관계형성(관심보이기, 놀이하기, 공유하기, 관계맺기)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이용동기(자기확인, 대인지향, 정보탐색,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에서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계형성(관심보이기, 놀이하기, 공유하기, 관계맺기)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SNS접속시간)에서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이용동기가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자기확인은 관계형성의 하위변인인 관심보이기, 놀이하기, 공유하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대인지향은 관계형성의 하위변인인 관계맺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정보탐색은 관계형성의 하위변인인 관심보이기, 놀이하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동기의 하위변인 중 엔터테인먼트는 관계형성의 하위변인 중 관심보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is to establish what effect SNS usage motivation has on relationship building of dance majors. The selected 238 dance major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age, grade and SNS connect hours), usage motivation(self-affirmation, interpersonal orientation, information search and entertainment) and relationship building(showing interest, playing, sharing and making relationship).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usage motivation(self-affirmation, interpersonal orientation, information search, entertainment) by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age and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uilding(showing interest, playing, sharing and making relationship) by personal characteristic(gender, age, grade and SNS connect hou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r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NS usage motivation on relationship building showed that self-affirmation, a sub-variable of usage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howing interest, playing and sharing, sub-variables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on making relationship. Information sear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howing interest and playing, and entertainment on showing interest.

      • KCI등재

        무용공연 관객의 관람특성이 플로우(Flow)에 미치는 영향

        심현화(Hyun Hwa Shim),박노현(No Hyun Park),전태유(Tae Yoo Chun)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1 No.-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 관객의 관람특성이 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5개 공연장에서 무용공연 관람객을 대상으로 280명을 표집 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특성 중 지식수준, 관여도, 관람동기, 상호작용성, 플로우(Flow) 요인들은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특성 중 관람동기와 상호작용성 요인은 플로우에 대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인구 통계적 특성 중 무용경험, 관람횟수, 무용장르는 플로우에 대해 집단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용경험이 있는 집단이 무용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플로우가 크며, 관람횟수가 적은 집단보다 많은 집단에서 플로우가 크고 또한 무용장르에서는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순으로 플로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iewing characteristics and flow experie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viewing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of each other. Second, motivation of viewing and communication belongs to viewing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low experience, while knowledge level and participation belongs to viewing characteristics had not a significantly effect on flow experience. Third, experience of dance, frequency of viewing and genre of dance belongs to statistics of population had a significantly difference on flow experience.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무용심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 및 심리기술 효과

        최청자(Chung Ja Choi),김형남(Hyung Nam Kim),심현화(Hyun Hwa Shim)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6 No.-

        이 연구는 심리기술의 향상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용심리프로그램은 심리기술의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미국의 행동심리학자인 Jim Loehr가 개발한 모델을 적용하고, 심리기술훈련과 즉흥무용훈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개발된 무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목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3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무용전공대학생 26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심리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자기관리의 하위영역인 정신관리, 대인관리, 공연관리, 체력관리의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심리 프로그램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자기관리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각 하위 요인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심리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심리기술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심리기술의 각 하위영역인 사고조절, 신체이완, 심상의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심리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심리기술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각 하위영역인 신체이완, 심상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무용심리 프로그램은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기술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6 of University Dancers with more than 3-year dance career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ing purpose-driven sampling mean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s based on Dance Psychology Program in University Dancers. In the study, flow model developed by a behavioristic psychologist in the US, Jim Loehr, was applied to the dance program, and psychological technique and improvisation dance training was composed and applied to it. Questionnaires were used as inquiry tools and the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manageme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sycholog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of those who did not. But, daily life man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amination of Self-management at each lower area produced, mental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performing management, physical strength management, daily life management,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each groups.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Dance Psychology Program made greater improvement on Self-management in general,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Dance Psychology Program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Psychological Skills. The analysed results of pre/post tests on the experiment group were thought body relaxation, imagery of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 compared to those in pre-test. In sum, the study indicated that Dance Psychology Program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s and the effect is positive across the achievement.

      • KCI등재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 후 감정과 행동 분석

        최청자(Chung-Ja Choi),김형남(Hyung-Nam Kim),심현화(Hyun-Hwa Sh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람후 감정과 행동의 차이가 어떠한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무용공연장을 이용하고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참여자 280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 관람 후 감정(관람감정, 만족도),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 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감정(긍정적 감정, 만족도)의 차이가 관람횟수 변인에서 관람횟수가 높을수록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차이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경험이 있는 집단, 관람횟수가 많은집단, 예술가집단, 현대무용과 한국무용관람 집단에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post-viewing emotion and behavior of the audience at a dance performa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e audience of dance performance located in Seoul and Kyoungki-Do was set as a collected group. The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inally drew out and analyzed 280 people in total.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SPSS 18.0 program.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s above, we ha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job, viewing frequency, dance experience, and genre), had significantly effect on the post-viewing emotion(positive emotion,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job, viewing frequency, dance experience, and genre), all the factor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post-viewing behaviors(researching, respectating intention).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청자 ( Chung Ja Choi ),김형남 ( Hyung Nam Kim ),심현화 ( Hyun Hwa Shim )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5 No.-

        이 연구는 몰입 향상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된 무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목적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3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무용전공대학생 26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들의 무용몰입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무용몰입의 각 하위영역인 자기목적적 경험, 최면과 유사상태, 활동과 인식의 통합에, 고도의 주의집중, 성취감과 자신감에서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사전·사후 무용몰입을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자기목적적경험, 최면과 유사상태, 활동과 인식의 통합, 고도의 주의집중, 성취감과 자신감 요인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은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무용몰입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6 of University Dancers with more than 3-year dance career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ing purpose-driven sampling mean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on University Dancers` Flow. Questionnaires were used as inquiry tools and the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low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and the control group of those who did not. The examination of Flow at each lower area produced, autotelic experience, hypnosis and analogue state, merging of action and awareness, heightened concentra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each groups.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made greater improvement on Flow in general,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Flow. The analysed results of pre/post tests on the experiment group were autotelic experience, hypnosis and analogue state, merging of action and awareness, heightened concentration,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all of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 compared to those in pre-test. In sum, the study indicated that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Flow and the effect is positive across the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