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 반영된 매체언어 교육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심유나 ( Yuna S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8 No.-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사용되는 ‘매체’, ‘매체언어’라는 용어 사용의 모호함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교육이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국어교육의 핵심이 텍스트를 통한 의미 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에 있다면, 매체언어 교육 역시 다양한 매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개의 개별 모드를 이해하고, 이들이 결합할 때 생성되는 의미를 구성하고 읽어내는 것이 매체언어 교육의 본질이라고 보았다. 특히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매체언어교육은 디자인과 매체 변환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언어 교육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의 매체언어 교육 내용은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잘 수용된 것이 있는 반면, 개별 매체의 특성을 나열하는 식의 방식이거나 단편적 지식이나 태도 교육으로 치우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매체언어 교육이 보다 분명히 실천되기 위해서는 개별 매체의 특성이나 장르적 특성에 매몰되지 않고, 언어 중심의 의미 구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양식의 결합을 통한 의사소통 방식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구현되어야 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uncertain term; media, media-language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n suggested the perspective of multimodal literacy in accommodating media-language education. As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construct the meaning through text, the purpos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to construct the meaning by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various combined modes on perspective of multimodal literacy. Especially, multimodal literacy focus on designing and transmedi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aspect of media-languag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by the 2011 revision curriculum. As a result, some parts accepted perspective of multimodal literacy, while others was biased fragmentary knowledge and attitude and enumerated properties of each media. So, the content of media-language education on textbook must encompass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various combined modes away from only languag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필자로서 자기인식’에 대한 검사 도구 타당화 연구

        정지은 ( Jung Ji-eun ),심유나 ( Sim Yuna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of one’s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to develop a proper scale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mselves as writers. To validate this scal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ponses of 116 students in elementary grade 6. This resulted in 31 items representing 3 sub-factors: “social expectation and evaluation,” “progress in writing,” and “physiological states.” The total variance for the three factors was 67.269%. Thes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their relationships were then identified. The final three-factor scales were administered to 6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5, and 6. Result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with three factors had a reasonably acceptable applic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Writer Self-Perception Scale (WSPS) with three factors w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metho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students as writers, and to contribute to their writing instruction.

      • KCI등재

        COVID-19 감염병 확산에 따른 일회용 마스크의 적정 관리 방안 연구

        이송현 ( Songhyun Lee ),김병환 ( Byeonghwan Kim ),지승민 ( Seungmin Ji ),장용철 ( Yong-chul Jang ),이어진 ( Eojin Lee ),박미솔 ( Misol Park ),김선용 ( Sunyong Kim ),심유나 ( Yuna Sim ),김동현 ( Donghyeon Kim ),한소영 ( Soyeong Han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8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management and problems of discarded single-use masks in Korea during COVID- 19. Field visi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potential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isposal of single-use face masks. We analyzed a total of 32 discarded single-use face masks and newly made singe-use face masks for mater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study, there were more than 6.7 billion single-use masks manufactured in 2020, indicating that more than six times higher than the production of the masks in 2019 due to COVID-19 pandemic. The average use of single-use face masks per person was found to be 130 masks/yr, which is equivalent to 6.7 billion masks/yr in 2020 in Korea. After the collection of the used masks, the large fraction of discarded masks was incinerated (14,961 ton or 3.8 billion masks) and landfilled (8,056 ton or 2.1 billion masks). Only approximately 1% of the discarded masks from households was improperly disposed on streets, parks, roads, shopping carts, rivers and streams, and other environment. Improper disposal of such masks may pose a threat to humans, animals, and other ecological receptors because of potential spread of virus, the occurrence of microplastics and their non-biodegradable characteristics. Technical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face masks has been made from scientific community to reduce plastic pollution from single-use face masks. However, more research is still needed to warrant the safety, biodegradability, waste management, and economic factors of the eco-friendly face masks. Waste minimization and prevention of single-use face masks is a challenging task due to the preference of the mask to consumers over the COVID-19 pandemic.

      • COVID-19 감염병으로 인한 일회용 마스크의 처리 흐름도와 특성 분석

        김병환 ( Byeong-hwan Kim ),장용철 ( Yong-chul Jang ),이송현 ( Songhyun Lee ),지승민 ( Seungmin Ji ),이어진 ( Eojin Lee ),박미솔 ( Misol Park ),김선용 ( Sunyong Kim ),심유나 ( Yuna Sim ),김동현 ( Donghyeon Kim ),한소영 ( Soyoung Ha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WHO가 2020년 3월 COVID-19를 전 세계적인 전염병으로 선포한 이후, 진단, 격리, 치료 행위 과정에서 각종 의료폐기물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 이외에 COVID-19 감염 예방을 위해 일반 시민의 일회용 마스크 사용이 또한 급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회용 폐마스크의 관리 문제점과 폐기처리 과정과 적정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회용 폐마스크 처리의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 조사를 하였다. 총 9개 지점에서 32개의 일회용 폐마스크를 수거하였고,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일회용 마스크의 생산량은 약 67억 개 이상으로 나타났고, 2019년 마스크 생산량 보다 약 6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1인당 평균 일회용 마스크 사용량은 연간 약 130개로 2020년 국내의 일회용 마스크 소비는 약 67억 개로 나타났다. 일회용 폐마스크의 주요 처리는 크게 생활폐기물과 의료폐기물로 배출되어 처리되고 있으며, 생활폐기물로 유입된 일회용 폐마스크는 소각(38억개, 약 14,961톤)과 매립(21억개, 8,056톤)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의료폐기물로 유입된 마스크는 전량 소각 처리(5억개, 약 1,825톤) 되고 있다. 한편, 일반 국민이 배출하는 일회용 폐마스크 중 약 1%는 거리, 공원, 도로, 쇼핑카트, 강, 하천 등 불법 투기 되고 있다. 불법 투기 된 일회용 폐마스크는 바이러스의 확산, 미세 플라스틱 발생 및 난분해성 때문에 인간, 동물 및 생태계에 잠재적 위협을 줄 수 있다. 일회용 폐마스크로 인한 플라스틱 오염과 생태계 영향을 줄이기 위해 다회용 마스크 사용과 친환경 마스크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일회용 폐마스크의 수거 후 재활용 또는 재사용은 2차 감염 우려, 안전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지양되어야 한다. 향후 지속 가능한 탈 플라스틱 사회 구축을 위해 국가 차원의 친환경 마스크 개발 보급과 정책지원, 일회용 폐마스크의 적정 관리 방안 마련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