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역노인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전달체계의 실태분석 및 인식비교 연구 - 의정부, 양주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심영미 ( Young Mi Sim ),김종호 ( Jong Ho Kim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社會科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복지서비스의 향상을 위하여 의정부시와 양주시의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실태분석 및 지역의 공무원과 노인들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는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토대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경기북부 지역중 일반시와 도농복합시의 대표적인 의정부시와 양주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조직, 자원, 서비스의 실태 분석 및 인식비교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적 제언은 첫째, 중앙집권적 상의하달식의 사전달체계, 이원화된 집행구조와 비공식체계의 형식적 참여는 전반적인 노인복지서비스 질을 경감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구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전달체계의 일원화 또는 단순화가 요구 된다. 둘째, 노인복지업무의 비효율성을 야기시키는 원인 중에 하나는 과중한 업무와 전문성의 부재로 조사되었다. 의정부시와 양주시 공무원 모두 노인복지분야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일반민원업무까지 담당하고 있어 과중한 업무 부담을 느끼고 있다. 노인복지전담공무원의 증원과 노인복지전담업무만을 수행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전달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노인복지예산이 확충되어야 한다. 의정부시와 양주시의 공무원의 설문결과 중앙정부의 예산지원이 지역실정에 맞지 않게 매우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인복지예산은 노인복지서비스 질 향상, 노인복지인력의 처우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에서 대부분 부담하는 방안과 자원봉사 및 민간시설로 유도하는 방안도 살펴보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lternative for improving of Regional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Uijungbu and Yangju city. This study examined public officials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elderly in idem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Methodology of this study of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earch was utilized SPSS WIN 12.0 Korean version program in analyzing data. And Frequency, Means, and t-test of analysis were enforced to verify differences of recognition among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o improve the delivery system of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① Required of Unified delivery system for providing efficient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② The public officials of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③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elderly welfare budget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 구성원칙의 인식정도가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포천, 양주,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심영미 ( Young Mi Sim ),최경구 ( Gyung Goo Cho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0 사회복지정책 Vol.37 No.3

        본 연구는 포천, 양주, 의정부시 공무원이 인식하는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구성원칙 중 어떠한 원칙이 업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에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표된 논문과 저서 등을 통하여 기존의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구성원칙, 업무만족도에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구성원칙이 공무원의 업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연구에서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평균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성별, 연령, 학력, 현부서경력, 자격증 소지 유무를, 독립변수로는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구성원칙 중 선행연구에서 활용빈도가 가장 높은 5가지 즉, 책임성, 적절성, 전문성, 접근성, 통합성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공무원이 인지하는 업무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포천시 공무원은 적절성, 접근성, 통합성이, 양주시는 접근성이, 의정부시는 적절성, 전문성이 높을수록 업무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포천시, 양주시, 의정부시의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와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lternative for improving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at Uijungbu, Yangju and Poche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which perceptional differences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ha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constituent member of organization. Methodology of this study of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earch was utilized SPSS WIN 12.0 Korean version program in analyzing data. And Frequency, Means,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of analysis were enforced to verify differences of recognition, effect factor, and correlation among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ings. First, Social welfare officers in Pochen and Uijungbu city gave the highest score to accessibility. But Social welfare officers in Yangju city gave the highest score to reasonableness.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asonableness, accessibility and integration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had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in Pochen city. The accessibility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had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in Yangju city. The reasonableness and professionalism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had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in Uijungbu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o improve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 to sure the reasonableness, accessibility, integration and professionalism.

      • KCI등재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성원칙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심영미 ( Yong Mi Sim ),김종호 ( Jong Ho K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본 연구는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의 본청과 주민자치센터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담당공무원과 복지서비스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성원칙이 노인의 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의 경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성원칙 즉 전문성, 접근성, 책임성, 통합성, 지속성 중 어떠한 구성원칙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며,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보다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제공으로 노인의 서비스만족도를 제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계 정립 후, 향후 노인복지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에 정책적 시사점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과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는 노인 각 12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1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실시되었고, SPSS12.0k를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등을, 모형분석에는 AMOS 6.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모형은 노인의 서비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문성은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통해 노인의 서비스만족에 정(+)의 효과를 가져왔으며, 노인의 서비스만족도와는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완전매개의 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책임성은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통해서 노인의 서비스만족에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경로 유의미성 결과, 책임성은 부분 매개의 효과로 노인의 서비스만족도로 가는 경로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and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The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service consists in professionalism, reasonableness, accessibility, integration, accountability. The professionalism, reasonableness, accessibility associated with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5 officials in Goyang, Namyangju, Paju city hall and the aged over 61 who have experiences of receiving in social welfare service across Goyang, Namyangju, Paju city hall.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earch was utilized SPSS WIN 12.0 Korean version program and Amos 6.0 in analyzing data. And Frequency, Means and Crosstabulation, Regression of analysis were enforced to verify differences of recognition among the respon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showed directly correlation significantly on the Job satisfaction of officials. And accountability showed directly correlation significantly on the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welfare officials to secure the expertise of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using the related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s. Second, the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responsibilities should be clear beneficiaries of the limit on the post-management.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스트레스, 내적자원과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 분석 연구

        심영미 ( Young Mi Sim ),박미혜 ( Mee Hye Park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내적자원과 정신건강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모형의 적합도는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측정변수인 우울과 불안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내적자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내적자원이 정신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에는 나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통제감과 자아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통제감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내적자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정책에서의 대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asual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stress, internal resource and mental health. The data of 4th year (the year of 2007)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hich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Young boys and girls Policy examined nationwide middle school second-year grade juveniles in 2003, was used for this study. Considering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y for improving mental health, we select that independent valuable is stress and internal resource, and dependent valuable is mental health.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proposal model was the complete causal relationship model. Second, the study showed stress such as their parents, studying, or friends' stress and internal resource such as self-control, self-esteem had consistently significant effects on mental health. Also it showed that stress and internal resource influence on mental health, stress influence on internal resource, and internal resource influence on mental health again.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internal resource had posi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Also, it showed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internal resource, and internal resource had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공급 자와 수요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심영미 ( Young Mi Sim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의정부, 양주, 포천시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하여 서비스의 공급자인 공무원과 수혜자인 노인들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는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토대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의정부, 양주, 포천은 경기북부 지역 중 대표적인 일반도시 및 도농복합시이며,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곳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성원칙 중 가장 활용빈도가 높은 원칙 즉 접근성, 적절성, 책임성, 통합성, 전문성, 지속성을 비교 변수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과 공무원의 인식을 비교를 하였다. 인식비교 결과, 공무원이 인식하는 만족정도보다 낮은 수준에서 노인이 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확연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구성원칙 중 접근성이 가장 큰 인식차이를 보였고, 다음으로 적절성, 지속성, 전문성, 통합성, 책임성 순이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적 제언은 수요자 중심의 전달체계, 접근성 확보를 위한 지역 방송매체 등 활용, 노인복지전담공무원을 전달체계 내에 확대 배치, 민간네트워크 역할 확대, 다양한 참여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lternative for improving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Uijungbu, Yangju and Pochen city. This study examined public officials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elderly in idem of delivery system in social welfare. Methodology of this study of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 research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earch was utilized SPSS WIN 12.0 Korean version program in analyzing data. And Frequency, Means and Crosstabulation, T-Test, One way ANOVA of analysis were enforced to verify differences of recognition among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o improve the delivery system of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① Using local broadcasting in Uijungbu, Yangju and Pochen city ② The public officials of 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③ The public of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be specialist. ④ The total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 should be establishment).

      • KCI등재

        매입임대주택의 공급 및 관리 개선방안 연구

        오정석(Oh, Jung Seok),심영미(Sim, Young Mi),김연순(Kim, Yeon Soon) 한국지적학회 2015 한국지적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매입임대주택의 공급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횽ㄹ적이고 체계적인 공급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매입임대주택은 서울시 A공사가 관리하는 주택으로 한정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공급, 물리적, 사회적 부문을 구분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급부문에서 주택 매입후 리모델링할 수 있는 제도 개선, 입주자 선정에서 2순위자에게 기회부여, 매입임대주택 공급체계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둘째, 물리적 측면에서 매입임대주택에서도 특별수선충당금의 법제도화, 중앙과 지방정부의 지원,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안전점검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회적 부문에서 주거복지상담사의 배치, 지역사회와 협력,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supply and management of purchased rental properties, and is to find an efficient and systematic supply and management plan. Purchased Rental Housing in this study was limited to Housing that Seoul A corporation management. Through previous studies, Management division was separated supply sector, the physical sector, the social sector. Then, the obtaine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propos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e need the improved system that can be remodeled after the purchase, to give the opportunity to second ranking in the resident’s selection, to be unified supply system, in the supply sector. Second, we suppos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eserve for special repairs on the physical side, the suppor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and the safety inspection system. Third, we proposed housing welfare counselors, community and cooperation, and the composition community space on social sector.

      • KCI등재

        노인복지관 서비스품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Taeyoung Kim),심영미(YoungMi Sim) 한국지방행정학회 2020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elderly welfare centers on use satisfaction and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elderly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levance and responsiveness, which are the quality of service use, are the main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us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and economic level was also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u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 was made. First, the elderly who use the elderly welfare center should be able to propose or direct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ey want. Second, the elderly welfare center operator should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economic and social needs of users. Third, various human resources from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ties should be involv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이용서비스품질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노인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서비스 이용 품질인 적절성 및 대응성이 이용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용서비스품질과 이용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및 경제적 수준의 매개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안을 하였다. 첫째,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에게 스스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제안 또는 개발에 직접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노인복지관 운영자는 이용자의 경제・사회학적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내외부의 다양한 지역사회 인적자원들을 참여시켜야 한다. 넷째, 노인복지관은가족 결속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극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변화를 인지하고 노인복지관을 적극 지원하며, 새로운 평가방식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이 인식하는 기초연금제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종승 ( Jongseung Yang ),심영미 ( Youngmi S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는 노인이 인식하는 기초연금제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초연금제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운용 전문성과 안내 및 홍보가 긍정적 현재 인식에, 접근 가능성과 수령 정책이 긍정적 미래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제언으로 기초연금관련 업무처리와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및 전반적인 교육체계 마련과 기초연금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pension system an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basic pension syst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operational expertise, guidance, accessibility, and receiving policies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s a policy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handle basic pension-related task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to prepare an overall education system, to promote the basic pension.

      • KCI등재후보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복지서비스 향상에 관한 연구

        오정석(Oh, Jung Seok),심영미(Sim, Young Mi) 한국부동산학회 2010 不動産學報 Vol.41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lternative for improving of housing welfare service for public rental housing's residents. The focus for this study is to enhance of independent will and create job of permanent rental housing's residents in Seoul. And it is certain that the policy will be continued for the residential stabilization of the low-income. Permanent rental housing in Seoul was supplied from 1989 to 1993 in order to solve out the residential problems of low-income bracket. Now permanent rental housing in Seoul has 45,998 units. Most of residents consist of low income bracket and old people (from 40 to 70 ages). But to supply permanent rental housing brought residents to other problems. This problem is that resident's haven't work will and dependent will. Therefore, we propose that ① housing welfare coordinator ② support of rental fee ③ social enterprise ④ volunteer mileage. (2) RESEARCH METHO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to collect the real cases of trials from manager of public rental apartment and literatures and show its measure to cope with possible future happenings.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in Seoul are improving housing welfare service. To achieve this aim, we proposed that ① housing welfare coordinator ② support of rental fee ③ social enterprise ④ volunteer mileage. 2.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ituation of permanent rental housing's residents and proposed how to solve thes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