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과 “심성”: 초등교육의 성격에 관한 성찰

        신춘호 ( Chun Ho Sh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최근 국내 교육학계에서는 ‘역량’ 및 ‘역량계발’에 관한 논의가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여기에는 OECD의 관련 연구와 제언이라는 외적 계기가 있지만, 종래의 교육에 대한 모종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이 깔려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문제의식을 ‘역량기반 교육’의 원조에 해당하는 보비트(Bobbitt)의 견해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그가 중심이 되어 일어난 이른바 과학적 교육과정운동은 형식도야이론으로 정당화되었던 19세기식 낡은 교육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것이 사실이지만, ‘역량기반 교육’은 형식도야이론의 이론적 오류를 극복한 것이 아니라, 도리어 그것을 더욱 첨예한 방식으로 반복하였다. 이 점에서 형식도야이론의 오류를 극복하는 방법은 ‘역량계발’이 아니라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육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역량계발’과 ‘심성함양’은 교육의 근본문제인 생활과 교과의 관련을 상이한 방식으로 파악하는 대안적 교육관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각각은 초등교육의 성격을 성찰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Recently, the ideas of `competency`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seem to enter into the centre of the discourses 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concept of education which is presupposed in these ideas. The idea of `competency` is not new kind of nowadays but old one,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consequence of `Scientific Curriculum Making`, which was initiated by F. Bobbit and his followers at the early of 20st. His ideas of competency, and the logic of curriculum making are the positive alternatives of the old eduction, which had been supported by formal discipline theory. OECD`s DeSeCo Project tries to revive and reembody these old ideas. But there is the one vital point which we must seriously investigate. Do the ideas of Bobbit and OECD project really overcome the logical fallacy which formal discipline theory committed? This question require some detailed review on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subject-matters which implies in their ideas. Looking at the appearances, their ideas seems to be very different, but they have one determining characteristic. That is to say, they suggest the concept of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ends-means connection. It is not possible at all to discover the idea of totality of the human life and mind in the ideas of `competency`. In there, school subjects are regarded as the effective means to achieve the external ends, i.e. competencies which meet the needs for `successful lif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we, especially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idea of `Cultivation of Mind-and-Heart` as the traditional concept of education.

      • KCI등재

        ‘상상’으로서의 지식: 콜링우드의 관점

        신춘호(Chun-Ho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콜링우드의 「예술의 원리」에 나타난 상상의 성격, 그리고 상상과 지성의 관련에 대한 견해에 함축된 교육학적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통상 상상은 이성에 비하여 열등한 지위를 가지는 마음의 한 가지 능력으로서, 그 자의성으로 인하여 이성에 의하여 통제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통념과는 달리, 콜링우드는 상상을 ‘근본적·원초적 수준의 사고’, 즉 일체의 인간 사고가 발생하는 ‘원천’으로 규정하는 관점을 보여준다. 이 의미에서의 상상은, 결코 지각이나 기억, 추리 등과 같은 수준의 심리 작용이 아니라, 가장 근원적 수준의 인식능력을 가리킨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상상 수준의 인식은 정서나 느낌의 형태를 지니며, 지성의 작용이 가해지더라도, 그것은 여전히 그 기저에 놓여져 있는 ‘토대’로 작용한다. 콜링우드의 이러한 견해는 지식교육의 난점과 가능성, 그리고 지식교육과 정서교육의 관련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imagination and its relation to intelligence of Collingwood’s The Principles of Art. Imagination has been regarded as one faculty of mind that usually has a inferior position to reason, and to be controlled by it, because of its arbitrary and sensuous nature. Contrary to this common belief, Collingwood proposes his peculiar perspective that regards imagination as, not the one faculty, but as the absolutely fundamental and original thought. Imagination in this sense by no means takes the same status such as perception, memory, reasoning, etc., but refers to the most fundamental cognitive ability. At this level of imagination, cognition takes forms of emotions or feelings. Collingwood’s view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intellectual educ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education of knowledge and education of emotion.

      • KCI등재후보

        루소 아동교육론의 재고찰: 자연의 두 의미

        신춘호 ( Chun Ho Shi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3

        루소의「에밀」은 현대 교육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 교육사상이지만, 그의 교육론의 핵심을 이루는 자연 개념은 난해한 해석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 글은 루소의 아동기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말하는 자연이 2가지 상이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이때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루소가 주장하는 자연을 교육 이전에 ``이미 주어진 것`` 또는 ``일체의 인위성이 배제된 상태``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에밀」후반부의 교육은 물론이거니와 전반부의 아동기 교육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아동기교육의 감각훈련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루소가 말하는 감각훈련은 초보적 수준의 이성훈련 또는 지식교육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할 때, 루소의 자연은 교육 이전에 이미 주어진 것이 아니라, 가정교사인 루소의 인위적 노력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 다시 말하여 교육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It may be correct to say that, among many theories, Rousseau`s educational thoughts have given the most great effect on the modern education. His principles of ``child centered education``, ``education according to nature`` had been inherited by many great philosophers, such as Pestalozzi, Froebel, J. Dewey, and they are the mainstream of today`s education. But It may be also correct to say that his notion of nature, as the core of his thoughts, is the problematic one. It has the many, complex meanings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Educational practice, i.e. teaching and learning, is by nature human practical work. Rousseau`s various tries in Emile, as a teacher, also practical work. It is artificial, purposive, intented one. Regarding this point, the meaning of nature in Emile can be interpreted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given``, something that exist logically prior to education. But this cannot be agree with the child education in Emile, esp, the training of senses. The training of senses is not mere training the use of them but acquisition of various notions of senses, i.e. notions of distance, proportion and numbers, geometrical figures, musical harmony and codes. This notion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enses, they are belong to the understanding or intelligence. They are basic knowledge belonging to cultural achievement. In this perspective, nature can be regarded as the ``the made`` by educational practice. It is not the ``not-yet-educated``, but product of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미적 가상’으로서의 지식 : 쉴러 「미적 교육론」의 인식론적 함의

        신춘호(Chun-Ho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교육론」에 나타난 두 가지 핵심개념, 즉 ‘유희충동’과 ‘미적 가상’에 주목하여, 그의 교육이론이 지니는 시사점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의 ‘상보적 관련’ 또는 ‘조화’로 규정되는 유희충동은 가장 완전한 상태의 인간 본성을 가리키면서, 또한 동시에, 그것은 인간 마음의 핵심부, 즉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이 솟아나오는 ‘원천’에 해당한다. 쉴러는 예술작품에 한정하여 ‘미적 가상’을 논의하고 있지만, 그것은 유희충동(또는 미적 상태)의 현상적 표현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지식 또한 ‘미적 가상’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미적 가상으로서의 지식’은 오늘날 지식교육이 처한 곤경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 곤경으로부터 벗어나는 데에 필요한 방향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n the nature of knowledge of Schiller s ‘aesthetic education’, especially putting focus on two key concepts. i.e., ‘play-drive’ and ‘aesthetic semblance’. In Schiller’s theory, play-drive, defined as the reciprocal action between sense-drive and form-drive, refers to the most complete state of human nature, and at the same time, to the innermost ‘root’ of human mind. The notions of ‘determinability’, ‘nought’ and ‘infinite’ also show that aesthetic state refers to the ‘origin’ of all manifestations of human nature. Although Schiller uses the term of aesthetic semblance only for the works of fine arts,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oncept that can encompasses the all sensible manifestations of ‘beauty as the Idea’. In this interpretation, knowledge as the work of human mind has the nature of an aesthetic semblance. The conception of ‘knowledge as an aesthetic semblance’ implies important significances against the coarse attacks on the knowledge education of today, and suggests the direction necessary to get out of it.

      • KCI등재후보

        연행노정 영상콘텐츠와 영상 아카이브 구현 모델 연구

        신춘호(Shin, Chun-ho)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6 No.-

        이 논문은 전통시대 해외견문의 공간인 ‘연행노정(燕行路程)을 영상기록(사진 동영상)한 결과물을 영상아카이브로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글이다. 문헌기록인 연행록(燕行錄)의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행록의 내용을 보완할 수 있는 연행노정 영상기록물에 대한 관리와 활용 역시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의 관점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옛길, ‘연행노정’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영상으로 기록해온 성과들을 분석-정리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영상콘텐츠들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연행정보 축적을 위한 영상아카이브 구축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연행노정의 국내구간인 의주대로(한양-임진강)의 노정을 기록한 영상기록물(사진 · 동영상)의 사례를 통하여 영상아카이브구축의 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구체적으로 연행노정전자책(영상전자책 또는 멀티미디어형 전자책)의 제작사례를 제시하였다. 연행노정의 현장에 대한 영상기록물을 생산하고 관리, 보존하는 영상아카이브의 구축 못지않게 콘텐츠를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기록사진집(도록)을 디지털환경에서 구현하는 ‘멀티미디어형전자책’은 연행문화와 연행록의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행노정 영상아카이브의 한 방법론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writing that devises a plan of implementing and utilizing the output with the video record(photo moving image)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which is the space of overseas experience in traditional era, as the video archive. At the point of time that the necessity is raised for being recorded as the world heritage site in Yeonhaengrok(燕行錄), which is a documentary record, there is also a need of managing and applying the video records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vailable for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Yeonhaengrok(燕行錄). This study analyzed and arranged the results, which have continued to observe and record it as video as for an old path, namely, a site of ‘Yeonhaeng-Nojeong’ that is being newly recog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ultural heritage. Additionally with the perception as saying of requiring a plan available for systematically managing and utilizing these video contents, the necessity was proposed for implementing video archive for accumulating information on Yeonhaeng(燕行). For this, it suggested a method of implementing video archive through a case of video records(photo moving image), which recorded a journey of Uijudaero(Hanyang-Imjingang river), which is the domestic section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nd specifically presented a case of producing an electronic book(video electronic book or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s much as implementing video archive that produces, manages and preserves video records on a site of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the contents need to be positively utilized in the aspect of cultural industry. ‘Multimedia-typed electronic book,’ which implements the traditional documentary photograph collection(Dorok, 圖錄) in digital environment, will become one methodology of video archive in Yeonhaeng-Nojeong(燕行路程) available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contemporary Yeonhaeng culture and Yeonhaengrok with diverse methods.

      • KCI등재

        ‘소현세자빈 강씨’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고

        신춘호(Shin Chun-ho)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영회원’은 광명의 역사인물인 소현세자 빈 강씨(민회빈, 1611~1646)가 묻힌 왕실 능원이다. 본고는 역사소재인 영회원의 공간적 특징과 강빈의 인물성, 당대의 역사성이 잘 드러날 수 있는 방향에서 ‘영회원 종합정비계획’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전제로 강빈 주제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작성한 글이다. 최근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강빈의 여성CEO적 면모와 세자를 도와 새로운 조선의 구현을 꿈꾸었던 그녀의 행적들을 살펴봄으로써 영회원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이 가능한 단초를 찾아보려하였다. 광명시가 강빈을 광명의 역사인물로 부각시키고자 하는 이유는 강빈이 심양볼모생활 중에 고난을 헤쳐 나가는 과정에서 보여준 국제적 경영감각, 선각자적 면모 등이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해진 우리시대에 새로운 여성상의 구현이라는 상징성 갖고 있고, 이러한 점이 바로 광명을 대표하는 역사인물로서 부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역사소재에 스토리텔링기법이 도입되어 새로운 역사문화콘텐츠로 재생산되거나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자주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회원을 중심으로 한 역사주제공원 조성 및 관련 콘텐츠개발 역시 가능성이 엿보인다고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소현세자빈 강씨와 영회원을 중심으로 한 구체적인 콘텐츠개발 방안으로서 영회원 역사주제공원-‘강빈 야판전(姜嬪野坂田)’ 조성을 제안하였다. ‘강빈 야판전’은 강빈의 여성선각자적 이미지를 구체화 시킨 ‘심양조선관-농장경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모티프로 삼아, 이를 현대적으로 재현하고 재평가해 보자는 의미로 제안하는 콘텐츠 방안이다. 영회원과 애기능저수지라는 ‘공간(역사주제공원)’이 소현세자빈 강씨라는 ‘이야기(스토리텔링)’와 결합되어 향후 역사문화콘텐츠로 개발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강빈 야판전’은 영회원 종합정비과정에서 구체적인 조성 및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 여부에 따라 강빈의 긍정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광명시의 대표적 역사 주제공원으로 개발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고는 이러한 영회원 종합정비과정에서 대두되는 역사문화콘텐츠개발 방안과 활용에 관한 제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Yeonghoewon(永懷園)’ is the loyal family’s grave in which Mrs. Gang(Minhoebin, 1611∼1646),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who is the historical figure in Gwangmyeong, is buried. This study was prepared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plans for develop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with having the theme as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昭顯世子嬪 姜氏), with premising a point that ‘Yeonghoewon general maintenance planning’ needs to be driven in the direction that can be well reveal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Yeonghoewon, which is historical material, the human nature in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and the historicity at that time. The aim was to seek for a key available for developing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in Yeonghoewon, by examining about female CEO-based aspect in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whom is being newly illuminated recently through diverse routes, and about her achievements, which had dreamt of implementing new Joseon by helping the prince. As for a reason that Gwangmyeong city aims to highlight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as historical figure in Gwangmyeong,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sense and pioneer-based aspect that Gangbin showed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overcoming hardships during the hostage life in Simyang are regarded as being not irrelevant to atmosphere of being newly illuminated as symbolic figure who implements new image of women in our era that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came to be active. In a sense that can often face a case of being reproduced or utilized as new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by being introduced storytelling technique to the historical material, the possibility can be said to be observed even for forming the historical theme park and developing relevant contents centering on Yeonghoewon. The opinions are being raised through the authorities about which “let us make it as regional character of standing for Gwangmyeong city by highlighting the pioneer-based aspect in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and “let us make the sphere of including Yeonghoewon and Aegineung reservoir as historical park with having the theme as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In light of this, even the development into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which symbolize Gangbin and Yeonghoewon, is expected to be probably carried out side by side in the process of restoring Yeonghoewon and maintaining the grave hereaft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construction of Yeonghoewon historical theme park-‘Gangbinyapanjeon’〉 as a plan for developing the specific contents with the center on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and Yeonghoewon, with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region is desired to be loved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heme park of standing for Gwangmyeong city, by which ‘space(historical theme park)’ called Yeonghoewon and Aegineung reservoir is developed and utilized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which are combined with ‘storytelling’ called Mrs. Gang, a wife of Prince Sohyeonseja. This study seems to become probably a starting point of all the discussions about a plan and application of the development 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which are being emerged in this general maintenance process of Yeonghoewon.

      • KCI등재

        성리학의 심신론 : ‘상징’으로서의 몸

        신춘호(Chun-Ho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20 道德敎育硏究 Vol.32 No.1

        이 글은 주희의 성리학에 나타난 심신론의 고찰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몸과 마음의 개념 및 그 양자의 관련에 관한 주희의 진술들을 분석해보면, 그가 심신에 관한 ‘형이상학적 일원론’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른바 주희의 자연학에 의하면 몸과 마음은 모두 ‘氣의 작용’이라는 관점에서 규정되며, 그 점에서 몸과 마음은 하나로 통일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주희의 심성론과 수양론의 관점에서 보면, 몸과 마음은 ‘理의 작용’이라는 관점에서 규정될 수 있고, 이 경우 몸은 ‘理의 상징’으로, 마음은 理의 실현주체로 각각 규정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양자는 불가분의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주희의 이와 같은 견해는, 플라톤과 데카르트로 대표되는 서구의 ‘이원론적 전통’과는 다른 견해를 보여주며, 나아가 과학적 물질주의에 기초한 현대의 물리주의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견해를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주희의 견해는 현세적 삶의 한복판에서 초월적 기준을 갈구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며, 그 점에서 그의 견해는 성격상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심신론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conceptions of mind and body of the Neo-Confucianism, especially of the philosophy of Chu Hsi. Investigating of his statements on the mind and body, we can know that his ideas are based on the metaphysical monism; metaphysical theory, based on the concepts of Li(理) and Ch’i(氣), and Monism, on the logical relation between them. In respect of the Ch’i, both are explained as the functions or results of it. But focusing on the statements on the contexts of the mind cultivation, another point of view can be found. In this viewpoint, human mind is the subject or ego which try to realization of Li, and body is also the symbol of the Li. Chu Hsi’s ideas of mind and body are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unterparts, especially, dualism of Plato and Descartes, monism of Dewey, and also several types of physicalism. Plato and Descartes’s Dualism may be based on the reflections of human predicament, i.e., longing to transcendental world in the sensible world, which also can be found in Chu Hsi’s thoughts. Considering the realization of Li as the transcendental world is the fundamental meaning of life and education, Chu Hsi’s ideas can be the exemplar of the educational theory of the mind-body.

      • KCI등재

        ‘실천의 실천’으로서의 교육철학

        신춘호(Chun-Ho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3

        최근 교육철학계의 일각에서는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한 가지 견해, 즉 ‘교육철학은 실천철학이어야 한다’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이론철학’이 아닌 ‘실천철학’을 주장하는 이 견해는, 종래의 ‘이론 중심의 교육철학’을 ‘교육현장과 괴리된’ 철학이라고 비판하면서, 교육철학은 교육실천 안에서의 반성과 실천으로서 마땅히 교육실천의 개선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론과 실천의 구분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기반하고 있는 이 견해에서 ‘실천철학’은 ‘실천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철학’으로 규정되지만, 그 ‘직접적 기여’가 무엇인가 하는 점은 그다지 분명하지 않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그 구분 역시 이론과 실천의 ‘관련’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중용」에 나타나 있는 교육에 관한 견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구분이 안고 있는 난점을 극복하는 관점을 보여주며, 이 관점은, 교육철학은 명백히 이론적 탐구활동이지만 동시에 ‘실천의 실천’(메타프락시스)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Recently, one view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philosophy has been raised. According to which the educational philosophy should be a practical philosophy. This view advocates ‘practice philosophy’ rather than ‘theoretical philosophy’, criticizes the conventional ‘philosophy of theory centered on education’ as ‘philosophy that is distant from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argues education philosophy should be the reflection within educational practice,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In this view, which is based on Aristotle’s view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practice philosophy’ is defined as ‘philosophy directly contributing to practice’, but it is not so clear what its ‘direct contribution’ . The division of Aristotle also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show the ‘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view of education shown in Zhongyong(「中庸」) shows a viewpoint overcoming the difficulties that Aristotle distinguishes. This view is that education philosophy is clearly a theoretical inquiry activity, but at the same time, has the nature of the practice as practice(metapraxis).

      • KCI등재

        칸트 미학(美學)에 나타난 교육적 경험의 성격

        신춘호 ( Chun Ho Sh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교육학은 사물과 현상에 대한 지적 탐구로서의 교육적 경험의 성격을 해명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그 경험이 지니는 심리적 측면, 인식론적 측면, 가치론적 측면을 총체적으로 조명할 필요가 있다. 칸트의 美學은, 그의 인식론과 윤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개념`에서 `이념`에로 나아가는 마음의 역동적 양상과 기제를 해명하고 있다. `반성적 판단`, `취미`, `상상력`, `합목적성` 등과 같은 칸트 미학의 핵심개념들은 모두 탐구의 사태에서 의식에 포착되는 `미지의 것`(이념)의 역동적 양상과 그것을 지향하는 마음의 작용을 해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그의 미학은 탐구와 이해로서의 교육적 경험의 총체성을 온전히 존중하는 해명을 제시하고 있으며, 지적 탐구의 사태는 심성함양의 사태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칸트의 해명은, 초등교사는 욕망과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의 인간이 짊어질 수 있는 가장 어렵고, 동시에 가장 고귀한 과업을 지닌 존재라는 점을 보여준다. The main task of educational theory is to present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experience as the enquiry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To fulfill this task, three aspects of educational experience, i.e. psychological, epistemological and normative aspect, should be explicated coherently and concretely. Kant`s aesthetics, the main body of his last Critique, Critique of Judgement, can be interpreted as the exemplar of this kind of theory. In terms of Kant`s aesthetics, to try to enquire and understand of world is to try to transit from `Concept`(or Sensible world) to `Idea`(or The Supersensible). This transition is the movement or orientation of human mind which happens in the contex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His aesthetics reveals not only the logical possibility and but also the dynamics of this transition. As the theoretical explication of enquiry and understanding, Kant`s aesthetics can be interpreted as the educational theory which has, in itself and by itself, epistemological, psychological and normative implications. Especially his aesthetics reveals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knowledge(or understanding)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y. The transition from `Concept` to `Idea` is to recognize or aware of the supersensible vocation of human being. According to Kant`s aesthetics, the task of teacher, as the leader of enquiry and understanding of student, should be regarded as the most supreme and noble one of all the tasks we, as mortal being, can undertake.

      • KCI등재

        「樂記」에 나타난 ‘樂’의 의미 : ‘상징을 통한 심성함양’

        신춘호(Chun-Ho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1

        『예기』의 한 권인 「악기」는 선진시대의 유가의 예술철학을 대표하는 저작이다. 「악기」에서 樂은 좁은 의미에서의 음악에 국한된다기보다는 그것을 한 부분으로 포함하는 종합예술에 해당한다. 「악기」는 『여씨춘추』와 순자의 「악론」으로 계승되는 악에 관한 전통적 견해, 즉 ‘악은 도의 표현’이라는 견해를 계승하면서도, 악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그것이 예와 대등한 지위를 가진다는 견해를 명확하게 표명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악기」는 악의 성격과 기능을 ‘악의 상징론’으로 상세화하고 있다. 이 상징론에 의하면, 악은 인간의 자연적 본성과 문화적 본성간의 조화 또는 일치를 추구함으로써, 교육과 정치에 있어서 유가적 삶의 이상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악기」의 견해는 ‘상징을 통한 심성함양’의 전형적 사례를 보여주며, 또한 오늘날 서구의 이른바 ‘순수예술’과는 달리, 예술의 가치는 근본적으로 심성함양과 그것을 통한 이상적 사회의 실현에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Record of Music’ in Li Ki[禮記] has been regarded as the work representing the philosophy of art of confucianism. In this work, music[樂] refers to not the music of narrow sense but the comprehensive art that includes music as a part of it.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view of music, which is inherited in Lu-shih Ch’un-ch’iu[呂氏春秋] and ‘on music’ of Xun Zi [荀子], ‘Record of Music’ clearly presents the correlation of Ritual[禮] and Music. Above all, It reveals the nature and function of music by means of symbolism of music. According to this symbolism, The meanings of five notes, melodies and harmonies, which are basic components of music, have the symbolic relations to the emotions and feelings of mind, and further, to the political realities of society. In these complex symbolic relation, music is aimed at pursuing the ideals of confucianism in both spheres of education and politics, by seeking harmony or unity between human nature and cultural nature, which is called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This view of Record of Music shows a typical example of cultivating a mind through symbolism . In contrast to today s notion of pure arts , it reveals the art is not for itself, it is not the end in itself, but the symbol for the cultivating mind, and for realizing of ideal society. This is the most notable point of ‘Record of Music’, i.e., music or art is by nature the pedagogical symbo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