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크(chunk) 중심 영어 수입에 대한 EFL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연구

        신창옥 ( Chang Ok Shin ),정동완 ( Dong Wan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3 외국어교육연구 Vol.27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청크 중심 영어 수업에 대해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경남에 위치한 모 외국 어 고등학교 3학년의 143명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어휘시험,끊어 읽기,학생 토의,교사 설명 등의 순서로 청크 중심 영어 수업이 진행되었다. 청크 중심 영어 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가 연구 자료 수집의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참여한 외국어 고등학교 학 생들이 수업구조,어휘시험,끊어 읽기,요지 찾기 등에서 만족함을 보여 주었다.3월과 7월 설문내용을 t-test 분석한 갈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학생 들은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l학기 내내 꾸준하게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 에 자유롭게 쓰는 의견란을 통해서도 학생들은 청크 중심 영어 수업에 대한 긍정 적인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게다가,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청크 중심 영어 수 업을 통해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고취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연구 는 청크 중심 영어교수법이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과 같은 상위권 학생들에게도 영어 능력뿐만 아니라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L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chunk-focused instruction. The chunk-focused instruction consists of word-tests, reading by meaningful units, discussions, and teacher explanation. One hundred and forty three third grade students from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in Gyeo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for collecting the data.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demonstrated that the students showed more than average satisfaction in the areas of class structure, word-test, reading by meaningful units, and getting the gist of texts. T-test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rch and July, which means that the students showed continuous satisfaction during the semester. Additionally, the students gained confidence from the chunk-focused instru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unk-focused instruction has benefits for advanced students lik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 KCI등재

        초등학생 영어 학습 참여 연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신창옥 ( Shin Chang-ok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EFL students’ English learning engage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Vygostky’s(1978) sociocultural perspective in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students’ engagement in English learning in terms of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play, and shared activiti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elementary students lack independent performance from ZPD, play, and shared activities in learning English. This study pedagogically suggests that students should be given enough time to reach the level of independent performance, the facilitation of game activities to motivate English learning, 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ve learning to reduce stress and concern from competitiv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Changwon Hogye Middle School)

      • KCI등재후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평가 연구

        신창옥 ( Chang Ok S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2 외국어교육연구 Vol.2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수업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중학교저학년 학생들(1학년)과 중학교 고학년 학생들(3학년)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영어로 가르치는 영어(TEE) 평가도구를 수정하여 평가도구로 사용하여 연구대상인 경남의 한 중학교 학생들에게 배부하였다. 또한, 1학년 33명, 3학년 18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418명의 1학년 학생들과 395명의 3학년학생들이 설문자료에 응답하였다. 설문지 자료 분석 결과 1학년 학생들은 학습자발화에 대한 피드백, 학습자 행동관리, 학생관리 기법 영역에서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그 외 항목에서는 보통이라고 평가하였다. 반면, 3학년 학생들은 모든 영역에서 보통이라고 평가하였다. 면접 자료 분석을 토대로 학년별 평가가 차이가 나는 이유를 살펴보면, 전 원어민 영어보조교사와 비교하여, 게임 없는 재미없는 영어수업이라는 인식과 원어민영어보조교사가 학생들에게 가한 제재가 3학년 학생들이 부정적으로 수업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평가 가능성과 중학교 학년별 수준을 고려한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 수업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grade students and the third grade students` assessment process for a native English assistant teacher`s class in a Korean middle school. The assessment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EE(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evaluation tool.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survey,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nalysis of the data has showed that the first grade students assessed superior in the areas of feedback and student management skills. Meanwhile, the third grade students assessed the class normal, in every aspect. The third grade students displayed a level of frustration, due to their expectations for fun English classes, which were delivered by their previous native English assistant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tudents` assessment an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levels in co-teaching class with a native English assistant teacher.

      • KCI등재

        증강현실 콘텐츠 산업기술의 스마트폰 환경 모바일 아트 활용 가능성

        김희영(Hee-Young Kim),신창옥(Chang-Ok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스마트폰은 소통과 정보공유의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모바일 기술과 모바일 아트 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증강현실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스마트폰 기술관련 연구는 박차를 더해가고 있으나, 증강현실콘텐츠 산업에 핵심적인 사용자 참여 유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런 특징이 이미 발달한 모바일 아트 영역에서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모바일 아트를 피처 폰 활용과 스마트폰 활용으로 분류하고 각각 가장 많이 사용된 세 가지 방식을 중심으로 작품 사례를 분석한다. 모바일 기기의 사운드와 이미지를 이용한 피처 폰 활용은 설치와 공연 방식, 싱글채널 비디오 아트 방식과 오감소통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센서, 카메라, GPS와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폰 활용은 위치기반 AR, 마커인식 AR과 무마커식 AR로 분류된다. 또한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산업별 활용기술을 살펴본 결과 관광과 게임관련은 위치기반 AR, 교육과 의료관련은 마커인식 AR, 쇼핑관련은 무마커식 AR 등을 중심으로 혼합방식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증강현실 콘텐츠 산업의 발달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소통방식과 혼합기술방식을 활용하는 모바일 아트의 참조로 더욱 가속화될 것 으로 예상된다. 향후 모바일 증강현실 산업기술의 발전 방향은 HMD(Head Mounted Display)의 소형화, 홀로그램기술과 인공지능의 접목을 예측하고 있으며 빅데이터와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증강현실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martphones provide users with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play an important role of mobile technology and mobile art development. Smartphone technology-related researches are being accelerated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mobile Augmented Reality(AR) age, but the studies on user participation that is essential for AR content industry were insufficient. In that regard, the assistance from mobile art area that has already developed these characteristics is essential. Thus, this article is to classify mobile art that has not been studied a lot domestically into feature phone usage and smartphone usage and to analyze each example case with the three most used methods. The usage of feature phones which use the sound and images of mobile devices can be divided into three: installation and performing methods, single channel video art method and five senses communic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usage of smartphones that use sensors, cameras, GPS and AR can be divided into location-based AR, marker-based AR and markerless AR.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mobile AR content utilization technology by industries, combined methods are utilized; tourism and game-related industries use location-based AR, education and medicine-related industries use marker-based AR, and shopping-related industries use markerless AR. The development of AR content industry is expected to be accelerated with mobile art that makes use of combined technology method and constant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mobile AR industry is predicted to have minimized HMD, integration of hologram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ke the most of big data and social network so that we could overcome the technological limitation of AR.

      • KCI등재

        "교사인가 도우미인가?"

        김정인(Kim Jung In),신창옥(Shin Chang Ok)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4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1 No.4

        This study delves into the temporary English teachers' identities through at their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grounded on Norton's (2000, 2013) and Wenger's (1998) conceptions of identity. In taking second/foreign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rse at a TESOL MA program, 16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for emergent themes, in terms of the three modes of belonging in identity formation (Wenger, 1998).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represented the identities of the controller, the diverse teaching program participant. the teaching activity sharer, the negative future dreamer, and the language expert. Moreover, most of the participants, as non-regular teachers, concerned themselves about their future career as part-timer. To empower non-regular teachers' voices, this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how to strengthen temporary teachers' identity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실감미디어 아트 분석을 통한 3D 입체영상의 미래 조망

        김희영(Hee-Young Kim),신창옥(Chang-Ok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오늘날 문화산업은 전반적으로 예술에 대한 관심보다 상업적 경제적 가치에 치중해 왔으나, 본 연구는 예술적?문화적 의미가 궁극적으로 상업적?경제적 가치를 포괄하여 뛰어넘을 수 있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실감미디어 아트의 사례분석과 실감미디어 현황살피기를 통하여 3D 입체영상이 나아갈 바를 예측하고 제시한다. 먼저 기술개발과 소비환경의 변화를 살펴보면, SF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온 모션인식기술이 현재 실현가능한 기술이다. 3D 입체영상은 테마파크와 체험관에서 단체 상영되었지만 오늘날 3D TV와 3D 모니터 개발은 개별적인 소비환경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실감미디어 아트를 크게 세 분류로 나누어 분석한다. 그 결과는 첫째, CAVE방식에서 관람자들이 자유롭게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거나 관람자의 직접적인 움직임에 따라 연동할 수 있는 관람자의 영향력 확대를 예상한다. 둘째, HMD방식과 센서슈트 혹은 통신장비를 통해 관람자의 지각확장과 상호 네트워크적인 형태를 예측한다. 셋째, HMD와 모션트래킹 재킷의 활용도 예견된다. 이 세 가지 특징의 융합적 활용을 통해 관람자의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기기 착용으로 3D 입체영상을 체감하고 개입할 수 있는 능동적 4D의 가능성을 전망한다. Generally todays culture and the arts industry has been focusing more on economic value than the arts. Therefore this paper will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culture and the arts can be a break though which can only include commercial and economic values but transcend its values ultimately.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suggest an advanced 3D stereoscopic images by analysis of examples and environments of realistic media arts. Looking into the changes of related technologies and market environments, the motion-recognition technology, as seem in SF film Minority report, has become a feasible technology. In the past, 3D stereoscopic images were shown in the theme park theatre and exhibition halls for group viewing. but recent 3D TV and display devices have changed those environments to personal. Since domestic researches of realistic media art has been little, this paper will analyze them respecting to three broad classifications. The results are : Firstly, in CAVE method, more impact capabilities of spectators are expected that they can manipulate interactive interfaces freely and the physical movements of spectators can operate interactively. Secondly, inter-network communications and expansion of viewers perceptions are predicted by way of HMD method, sensor suites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Thirdly, combinations of HMD and motion tracking utilization is foreseen. With the convergent usages of these three features, we can prospect the possibilities of interactive 4D that spectators wearing 3D stereoscopic display devices can experience and make their own 3D stereoscopic images actively at the point of their views.

      • KCI등재

        청크 중심 학습이 초등 학생의 영어 기능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

        정동완(Jung, Dong-Wan),신창옥(Shin, Chang-Ok)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3 초등영어교육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unk-focused learning based on the lexical approach(Lewis, 1993, 2000) b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54 students(15 fourth graders, 11 fifth graders, and 28 sixth graders) participated in after-school activities at 7 libraries in a city of Gyeongsangnamdo Province from January 2012 to September 2012. Thes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out loud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from the chunk-focused text and to write journals about their activities.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the students' journals showed that chunk-focused learning increased the students’ English skills, self-esteem, and interest in learning. Furthermore, chunk-focused learning, which improves a speaking skill as well as a reading skill, see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lexical approach since lexis “refers to only one component[vocabulary] of communicative competence” (Richards & Rodgers, 2001, p. 138).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hunk-focused learning in improving English skills, encouraging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boosting autonomous learning to the young learners.

      • KCI등재

        목포 , 과거로부터의 메아리들 . . .

        신창옥 한국사진학회 2001 AURA Vol.8 No.1

        When I went to Mokpo, I saw with my own eyes the present and the past coexisting at the same time. Cleary, tames and places like these are nearly extinct. For the most part they exist only in the memorise of our own long before computer games and the Internet. Most of us can still remember when we, as kids, used to have to go outside to find things to do! What with all the rushing about for new, modern millennium-ready societies, it's nice to see that there are still small pockets of communities where simpler people still hold to uncomplicated lifestyles. Old structures and faded colors reminds me of a set studio collected with a lot of rememberance gone in the past. Mokpo is situated in the south-western sea in Korea. Mokpo is a quiet port city. Where we can get away from daily routine. The city is so small that we can go around by car and see ail the sights within an hour. But, In that city which is small, we can still smell strong history with passion. Walking through the allies I felt as though I was looking at old times. The street looks neat, where it is quiet and adjacent to the sea. The capsule which is jammed with rememberance. Place where we ride on a timemachine for a while and dream about getting away from the world. At the appearance of the bartender who behaved himself attractively at the tiny nar, I smiled quietly. After comming back to the daily routine, I still have feelings for Mokpo. I wish it stays in my heart the fe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