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관의 수사요소 중요도 인식이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신상화,윤상연 한국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3 No.1

        Profiling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area of ​​domestic criminal psycholog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profiler is firmly established as a profession. However, compared to the social awareness,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within the police is not high.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investigators who request and use profiling from a profiler when a violent incident occur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by investigators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was verified through the path model. As a result of a survey of 340 police investigators, the investigato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 elements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evidence collection and legal judgment, etc.) and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criminal analysis, criminal information system analysis, etc.).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t by mediating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that investigators have about investigation, which is their main work area, plays a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o request profiling as well as attitude towards profil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rategies necessary to activate the use of profiling were discussed. 프로파일링은 국내 범죄심리학의 대표적인 활용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찰청 프로파일러는 확고한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인지도와 비교하면 정작 경찰 내부에서의 인식이나 활용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력사건 발생 시 프로파일러에게 프로파일링을 요청하고 활용하는 수사관의 인식을 파악하여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사관들이 범죄 수사과정에서 고려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가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검증했다. 경찰 수사관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사관의 수사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규범적 수사(증거수집과 법적 판단 등)와 사실적 수사(범죄자 분석, 범죄정보 시스템 분석 등) 중요도의 2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사실적 수사 중요도가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활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적 수사 중요도의 경우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사관이 자신의 주 업무 영역인 수사에 대해 가지는 인식이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뿐 아니라 프로파일링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파일링 이용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쇄 강간범에 대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신상화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9 경찰학논총 Vol.4 No.2

        본 연구는 연쇄강간 사건에 다양한 지리적 프로파일링 방법을 적용시켜 지리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기법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경찰청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과 CrimeStat 3.0을 사용하여 최소 거리 중심, 평균중심, 수학적 거리 감퇴함수 등과 같은 지리적 프로파일링 분석 알고리즘에서 예측된 범인의 거주지와 검거 후 확인된 연쇄 강간범의 실 거주지 위치 값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범죄자의 심리적 완충지역과 범행이 증가할수록 범인의 실 거주지에서 범행 발생 지역 거리가 증가한다는 거리감퇴 모델을 가정하는 로그정교함수와 절삭된 부적지수 함수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범죄자의 완충지역이 상대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로그정규함수를 통한 연쇄 강간범의 거주지 예측 결과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국내 연쇄강간범들이 자신의 주거지 인근 지역을 벗어난 외부 주변지역에서 주로 범행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최근거리평균 등과 같은 공간 통계 방법의 경우 강간범죄의 연쇄 건수에 의존적으로 발생건수가 극단적으로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수학적 함수를 통한 분석 결과에 비해 정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실제 사건 자료를 토대로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위한 공간 통계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완충지역과 거리감퇴 모델이라는 이론적 틀 안에서 적용되는 수학적 함수들과 단순거리 평균값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는 실무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지리적 프로파일링 분석 방법을 선택,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범죄 피해자 연령대에 따른 범죄 현장 행동 특성 비교 연구

        신상화,김지호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sex offences based on crime scene actions by different ages of victims. For performing this study, the 143 sex crimes were gathered, and then coded into 25 crime scene actions belonged to the 4 behavior themes(hostility, control, involvement, theft) based on advanced research by Canter et al(2003). Next, ANOVA, and Multi Correspondence Analysis were used for exploring the differences and interrelation of sex crime scene actions between age groups of victim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eme of 4 sex crime scene actions by each group of victims. Especially, in the case of hostility, control, involvement, the frequency of crime scene actions were highest in younger victims and the frequency of crime scene actions related to thefts were highest in middle aged victims. And, 2 dimensions were produced between 25 crime scene actions and 5 age groups of victims by multi correspondence analysis,one is psychological stability to avoiding the threat of arrest, the other is sexual-anger to the degree of offenders’sexual needs directly and indirectly. These findings would suggest that as younger victims are treated as a reactive individual for sex, sex offenders become more absorbed in doing sexual behavior with them, but victims of other ages are treated as a vehicle of sex, sex offenders are more using both the additional behaviors not just for the direct satisfaction of the rape. These findings are useful in understanding different motives and behavior for the sex crime and helpful for investigation of sex offenders. 본 연구의 목적은 성범죄 피해자들이 경험한 범죄 현장 행동 특성 차이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성범죄 사건 143건을 선행연구(Canter, Bennell, Alison, Reddy, 2003)에서 사용된 적대성, 통제성, 관여성, 절도 등의 행동 주제 하의 25가지 범죄 현장 행동으로 구분, 일원변량분석과 다중대응분석을 통해 아동, 청소년, 청장년, 중년, 노인 여성 피해자 연령대 별 범죄 현장 행동의 차이 및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성범죄 행동 주제 각각은 피해자 연령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적대성, 통제성, 관여성 관련 범죄 현장 행동은 청장년 피해자 집단에서, 절도와 관련된 행동은 중년 피해자 집단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25가지 범죄 행동과 피해자 연령대별 5집단과의 다중대응분석 결과, 범행 후 검거 위협과 관련된 심리적 안정성 차원과 성적 욕구를 직접적, 간접적으로 표현한 행동과 관련된 성적-분노 차원으로 구분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성범죄자들은 청장년 피해자들을 성적 파트너로 인식하여 성적 행위에 더욱 몰입하는데 반해, 이외 연령대의 피해자들은 성적 도구로 인식, 즉각적인 성적만족을 위한 행동 이외의 부가적인 행동들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특정 피해자에게 고착된 성범죄자의 범행 동기 및 행동 특성 차이에 대한 이해 및 성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년협동조합을 통한 지역상설시장 재생방안 연구- 진주 천전시장을 대상으로 -

        신상화,정창호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Currently, there is a Special Law on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nd support (enacted on June 4th 2013) and according to the law, a lo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revitalizing the old downtowns are in progress. Urban regeneration must be based on a stereoscopic method, which considers all of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addition to physical aspects, such as facility improvement. Also,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s needed, not temporary regeneration.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e projects should be led by local residents, not by an one-sided intervention of public institution. Urban regeneration necessarily leads to gentrification. There are already a variety of papers regarding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and each local government is carrying forward differ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Jinju, Gyeongsannam-do, there are many deteriorated regions and there is an absence of specific and voluntary regeneration project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particular, Cheonjeon Market in Jinju absolutely requires urban regeneration for market revital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revitalization plans for stagnant local permanent markets by considering improvement in software and hardware, such as youth cooperatives that consist of local young people. 현재 우리나라는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13.06.04)이 제정되고 그에 따라 원도심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많은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단순히 시설개선 등의 물리적인 측면만의 재생이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모두 고려한 입체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일시적인 재생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이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공공의 일방적인 개입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 도시재생은 필연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문제가 발생된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전통시장의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이미 다양한 논문들이 존재하고 있고, 지자체 별로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다. 경상남도 진주시의 경우, 낙후화 된 지역이 많으며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자발적인 재생사업이 구체적으로 추진되고 있지는 않는 상황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진주시 천전시장의 경우 시장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하드웨어적 재생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젊은이들로 구성된 청년협동조합과 같은 소프트웨어적, 휴먼웨어적 부분에서의 개선 방안을 통해 침체된 지역 상설시장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

        EITC 확대 개편이 가구소득 분포에 미치는 영향

        신상화 국회예산정책처 2019 예산정책연구 Vol.8 No.1

        Recent tax reform includes a drastic expansion of EITC. As all three of key requirements in the EITC has been eased, the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s expected to be alleviate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ITC reform on household income distribution by applying the new scheme to the latest data of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2018년 세법개정안은 EITC 제도의 급격한 확대를 담고 있다. 단독가구주 연령요건에서부터 소득요건과 재산요건에 이르기까지 EITC 제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이 완화됨에 따라 2019년에는 보다 많은 저소득 근로가구가 수급 대상이 되고 그 결과 가구 소득 불평등도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ITC 제도 확대가 기존 수급가구와 신규 수급가구의 경상소득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가구소득 분위별 평균 수급액 변화를 제도 변화 전후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EITC 제도 확대 개편에 따른 가구소득 불평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