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이 영재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신문승(Moonseung Shi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이 영재학생의 학업성취와 창의성 신장 등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석 · 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관련 연구 53편을 선정하여 189개의 효과크기(ES)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38로 나타났다. 이는 Cohen(1988)의 효과크기 해석 기준으로 보면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이 영재 학생의 학업성취 및 창의성 신장 등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효과 크기의 또다른 해석방법인 U3는 77.04%ile로 나타나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27.04%만큼의 향상을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프로그램 유형별로는 교과 외 주제 프로그램( .8104)과 STEAM 교과( .8089), 창의성 프로그램( .6788)의 크기순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학업성취도(.9755), 자아개념( .8937), 창의적 성향( .8244), 창의적 문제해결력( .8108), 교과흥미/태도(.6470), 과학탐구능력( .6155), 창의적 인지( .5625)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통합 프로그램은 인지발달과 성향발달에 있어서 비동시적 발달 경향을 보이는 영재들의 균형적 발달과 통합적 인격 형성 및 학업성취에 있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ity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were determined. Of the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09 to 2018, 53 related studies were selected to meet the criteria set by this study. The 189 effect size was calculated and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was .7380. According to Cohen s (1988)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size,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has a moderate effect size, which promote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est in subject and creativity, U3 is 77.04%ile, which means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experimental group has 25.49% more improve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theme-centered program ( .8104), the STEAM curriculum ( .8089), and the creativity program ( .6788) showed different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t can be a good alternativ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s who tend to develop asynchronousl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character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을 정하고, 2014년부터 2018년 4월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7편을 선정하여 모두 376개의 효과크기를 산출․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67로 나타났다. 이것은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 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50보다 크고, .80보다 작으므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라 할 수 있고, 효과크기의 신뢰구간 내에 0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라 할 수 있으 며, 비중복 백분위 지수(U 3 )는 77.94%ile로, 초등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27.94%만큼의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초등 협동학습 프로 그램의 종속변인별로는 자기주도학습의 효과크기가 1.689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자아개념 /자아효능감, 교과 기능/능력과 문제해결력의 효과크기 또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유형과 연구의 중재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서, 협동학습 프로그램은 협동학습의 유형이나 중재변인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A total of 376 studies were analyzed from 77 master 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 published from 2014 to April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on students achievement was 0.767. This is a moderate effect size because it is larger than 0.50 and smaller than 0.80 in term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proposed by Cohen(1988). But the effect size is a meaningful size since there is no value of 0 within the confidence interval of the effect size and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 index is 77.94%ile. Th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great effect on the growth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

        신문승(Shin, Moonseung),문정표(Moon, Ju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을 정하고, 융합인재교육(STEAM)정책이 발표된 이후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163편을 선정하여 모두 51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721로 나타났다. 이것은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 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이 초등 학생의 학업성취를 증진시키는 데 있어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비중복 백분위지수(U3)는 76.42%ile로,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26.42%만큼의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 의 종속변인별로는 창의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크기( .851)가 크게 나타났고, 교과 흥미와 태도( .623), 문제해결력( .609), 인성/성향 등의 정의적 영역( .785)과 교과 기능의 신장과 지식정보처리역량( .587) 및 자아개념( .667)은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F=7.940, p= .000),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특히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과 창의성 교육에 있어 큰 효과를 보이는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변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 교과통합 프로그램은 중재변인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on stud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analytical subjects and analysis methods were set up.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STEAM policy, from 2012 to March 2018, 163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set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and 51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was .721. This is a moderate effect size larger than .50 and smaller than .80 in term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proposed by Cohen(1988). That is,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s ar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 index (U3) is 76.42%ile, which means that the group with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has a 26.42%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ffect of creativity improvement program showed the greatest effect by the dependent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progra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gr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showed a great effect especially on students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 KCI등재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설계에 필요한 간학문적 개념 추출 연구

        신문승 ( Moonseung Sh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영재들을 교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영재 통합교육과정의 개발에 필요한 간학문적 개념을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 기준으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통합의 실(curriculum integrating threads)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간학문적 개념 추출을 위해 2009개정 교육과정 5-6학년군의 국어과, 사회과, 수학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을 준거로 내용분석법을 통해 개념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개념들을 교과와 교과의 영역을 표기한 번호로 코드화하였다. 추출한 개념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고자 델파이 전문가 패널(19명)을 구성하여 두 차례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18개의 간학문적 개념을 추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concepts required the integrated curriculum design which can be used as curriculum integrating threads for designing integrated lessons for 5th and 6th grades gifted children. To develop interdisciplinary concepts, concepts were extracted from achievement goals in grade 5-6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Extracted concepts were encoded according to subject areas such as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Two delphi sessions were conducted to validate interdisciplinary concepts related evidence of validity. The 18 interdisciplinary concep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21 interdisciplinary concepts which were clusters of integrative concepts.

      • KCI등재

        초등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탐색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초등교육 단계에서의 영재교육은 주로 학교 단위의 영재 학급에서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가 영재를 위한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정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초등학교의 영재 학급에서 영재들을 교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초등 영재 교육과정 모형을 살펴보고, 초등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본질적 성격을 만족할 수 있는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탐색하였다. VanTassel-Baska(1986)의 통합교육과정설계모형(ICM; Integrated Curriculum Model)은 정규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하여 수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pullout 형태인 영재학급에서의 영재의 개별화된 학습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고, 능력차가 다양한 학생의 준비도, 흥미, 생활 경험 등의 질적 차이에 따라 학습 내용, 학습 과정, 학습 결과에 대해 다양한 접근 방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일과를 보내는 일반 학급 내에서도 영재들에게 유의미한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이 될 수 있다. Since the gifted and talented(G/T) education from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s carried out in a enrichment class for the G/T children of school unit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design model of appropriate curriculum for G/T education by G/T teache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theoretical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ICM) for the G/T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odel should comfort and suit the identity of national core curriculum and the G/T children so that the G/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an be implemented in its own form and adequacy. Since ICM is meaningful to all G/T children and typical learn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ICM is possible to meet with various approaches about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learning results the VanTassel-Baska(1986) s ICM model can be used not only as a general model for G/T children of the elementary school’s ordinary classroom but also as a differentiated model for G/T children by taking their special needs.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융합인재 소양 및 역량, 교과와 진로 분야의 흥미와 태도 등 학업성취 관련 변인에 미치는 다양한 교육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분석 대상과 방법을 정하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중 본 연구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관련 연구 115편을 선정하여 398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686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 크기의 해석 기준으로 보면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아동과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교과와 진로 관련 흥미를 증진시키고, 융합인재소양 등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비중복 백분위 지수( U 3 )는 75.49%ile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25.49%만큼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유형별로는 전교과/영재교육 프로그램(0.740)이 STEAM 교과(0.661)보다 조금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융합인재소양/역량(0.774), 창의성/문제해결력(0.736), 자기주도적학습능력 (0.635), 진로흥미/태도(0.584), 교과흥미/태도(0.534), 교과관련개념/지식/기능(0.532), 도구활용능력(0.388), 학업성취(0.287)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재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학교급의 경우 중학교(0.807), 대상은 참여희망자(0.854), 연구설계에서는 단일집단설계(0.746)에서 각각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연구대상을 제외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중재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인 재교육 프로그램(STEAM)은 중재변인과 관계없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program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convergent talent literacy and competence, interest and attitude of subjects and career field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were determined. In the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recent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115 selected relevant studies were selected and 398 effect size was calculated and analyze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STEAM education program was 0.686. According to Cohen s (1988)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size, the STEAM education program has a moderate effect size, which promotes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est in subject and career, U3 is 75.49%ile, which means that the STEAM education program group has 25.49% more improvement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STEAM curriculum ( .740) showed a slightly larger effect size than the STEAM curriculum ( .66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titudes toward the subject ( .534), interest/attitude toward the subject ( .534), concepts/knowledge/skills related to the subject ( .774), creativity/problem solving ability ( .736),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532), tool literacy ( .388), and academic achievement ( .287). As a result of examining by intervention variables, middle school ( .807), subject participant ( .854), and single group design ( .746) showed high effect size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EAM education program except for the study subjects. The STEAM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regardless of the intervention variables except the STEAM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초등학교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탐색

        신문승(Shin, Moons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 및 자기주도적학습능력, 학습태도와 정의적 변인 등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 인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대상과 방법을 정하고, 2000년부터 2019년 6월까지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체계적 문헌고찰 흐름도(QUOROM)에 의해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설정 기준에 부합하는 실험연구 38편을 선정하여 242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메타인지와 학업성취 및 정의적 변인 등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664(U3 = 74.54%ile)로, 메타인지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및 정의적변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별로는 자기주도적학습능력과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신장에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재 변인 중 대상 학년은 고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ta-analyze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academic-related variables such as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s and affective variables. And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for the effective program composition of th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target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determined. Master 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July 2019 were selected. From 38 papers, a total of 24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overall average effect of metacognition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metacogni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664 (U3 = 74.54%il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grea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 and attitude development in subjects. In the case of interventional variables, the target grades were higher in older grades.

      • KCI등재

        주요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비교 연구

        신문승(Shin Moonseung),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 프랑스, 독일, 캐나다, 미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를 도입 배경, 도입 목적, 교육지원체제, 수업일 및 교육과정 운영 실태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적ㆍ제도적 차이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주요국의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은 교사를 포함한 학부모들의 주5일제 근무를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 실시에 관한 사항은 이해당사자들의 토론과 오랜 합의 과정을 거쳐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셋째,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을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전망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설정된 전망에 따라 학교가 이를 충실히 실천해야 한다. 넷째, 토요휴업일에 학생들이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지역사회교육시설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학습내용과 양이 적정화되고 증감되어 교과서가 만들어져야 하고, 수업일수는 최대 190일, 1일 수업시수는 최대 6교시 이내로 적정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부모와 지역사회 주민들이 초등학교 주5일 수업제의 도입 목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introduction, purpose of introduction, curriculum, school days,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s of an elementary school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in China, Japan, France, German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spite of differences in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we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have to be discussed on condition of weekly five days work for parent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he matters about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have to be decided carefully through a process of discussion and consensus of stakeholders. Third, expected educational prospects about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have to be clearly decided. Fourth, for the students’ saturday off, educational programs and community educational support structures have to be equipped and established through a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to cooperate and for students to have various experience. Fifth,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contents, and the amount of school days, and also the amount of instruction hours have to be reduced to within 190 school days and properly implemented. Sixth, the various promotional programs have to be developed for parents and community member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purpose of weekly five school day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