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죽음의 현상학적 의미와 죽음교육

        신교남(Shin, Kyo-Nam),이병승(Lee, Byung-Seung)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death in Heidegger's ontology and seek for its implications on death education. Death and life is one. At least, death is important part of life. So reflection on death is as important as the meaning of life and further more it broaden the dimension of our life. Heidegger said 'the human-beings are the beings toward to Death' in Sein und Zeit. He thought that death is the subject related with the recovery of the individual authenticity, and defined the death not as the biological concepts but as the existential concepts. In short, he understood the death as the unique existing way. Moreover he interpreted death as the important turning point which enriches our life. So Heidegger's understanding on death is existential, ontological and further phenomenological. This phenomenological view of death of Heidegger gives following implications on death education. First, it will broaden the dimension of death understanding. Second, death education as pioneering education of life can be a philosophical base of our positive life. Third,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ical method can be studied as the reflection of the current studies of death education.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study on Death in Heidegger's ontology continuously. As it is said that teaching about death is the teaching about life, the education about the life is more meaningful only with death education. We should think deeply about death and be ready to face death to seek for the answer about the existential questions by Dasein and to recover the authenticity of Dasein.

      • KCI등재

        실존철학의 죽음이해와 죽음교육의 의의

        신교남 ( Shin Kyona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실존 철학자인 니체와 하이데거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고찰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죽음 교육의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니체는 삶의 완성으로서의 죽음을 강조하였고 하이데거는 본래적 삶 회복으로의 죽음을 주장한다. 죽음교육의 의미는 다음 4개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살 예방 교육은 철학적으로 고찰되어야 한다. 실존적 죽음교육은 자살예방교육을 위한 심층적 교육 배경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둘째, 죽음교육은 공존적 실존교육일 수 있으며, 개별적 실존교육의 발전된 형태일 수 있다. 셋째, 죽음교육은 비연속적 교육의 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교육을 받음으로 인하여 궁극적으로 우리가 전인적으로 성장하고 결단과 책임을 통하여 실존교육의 정상으로 인도되기 때문이다. 넷째, 인간은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기 때문에, 죽음은 인간에게 전환점이다. 죽음교육은 일반교육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세상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바탕을 제공해 준다. 결론적으로,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죽음교육은 인간에게, 무엇이 될 것인가 아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적 의미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ential philosophers, Nietzsche’s and Heidegger’s, perspectives of death and discuss the meanings of death educatio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eath. Nietzsche emphasized death as the completion of life, whereas Heidegger insisted that death was the recovery of authentic life. Four topics of death education are discussed. First,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philosophically reviewed. Existential death education is an appropriate starting point for a deeper educational background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econd, death education can be coexistential education, which could realize a higher degree of education than individual existential education. Third, death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education to noncontinuous education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enable people to grow holistically and lead them to the top of existential life through resoluteness and responsibility. Fourth, as human beings reflect on their lives through death, death is undoubtedly a turning point therefore, death educati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r education by opening up new horizons inspiring people to see the worl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conclusion, in terms of existential points of view, death education can teach, a reflective meaning of how to live, not what to be.

      • KCI등재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와 그 교육적 함의

        신교남(Shin Kyo Nam),이병승(Lee Byung Se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나타난 '본래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본래성'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하이데거가 존재론에서 밝히고자 한 중요한 과제들 중의 하나는 현존재의 본래성 회복이며 이는 양심과 결단이 요청된다. 현존재는 세계-내-존재로서, 또한 시간의 개념을 가진 존재로서 죽음을 인식하고 이것을 계기로 새로운 결단을 내리며 의지를 가지고 실천하려고 애쓰는 존재이다. 죽음은 형식적인 교육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실존주의자들이 강조한 바 있는 비형식적 혹은 단속적인 교육을 통해 자각되는 대상이다. 삶에서 만나는 위기, 각성, 충고, 만남, 죽음 등을 통해서 인간은 용기 있는 결단을 내리고 강한 의지로 실천한다. 죽음이라는 사건을 통해 양심의 소리를 듣고 결단하여 실천하는, 그리하여 스스로 인생의 주체가 되는 본래성 회복의 과정은 자기교육이라는 교육학적 함의를 담고 있다. 본래성 회복은 지ㆍ정ㆍ의 중 의지적 부분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양심과 결단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죽음이 본래성 회복의 중요한 계기인 동시에 삶 전환의 중요 사건이라면 자기교육의 하나인 죽음교육은 중요한 주제로서 장차 무게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authenticity in the ontology of Heidegger and to sugges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Heidegger understood the usual life of Dasein is inauthentic. Human beings should recover the authenticity by means of conscience and resoluteness. The ways of life of Dasein that lives a life without authenticity are idle talk, curiosity, and ambiguity, and such being-in-the-world lives together with other people without problems. Dasein as an individual recognizes anxieties when he faces death to recover authenticity but this is the turning point to transform his normal life to the authentic one. Death cannot be understood via the formal education but should be accpeted through the non-formal and non-continual education that is emphasized by the ontologist. Crisis, awakening, advice, relationships, death during the life motivate the human being to make decisions and to take actions. If the conscience and the resoluteness through forerunning to death are the methods to recover the authenticity, those recovering process should ha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elf-education for the human beings to be the owner of their life. Will represents the conscience and resoluteness that is needed to recover the authenticity. If death is the important motivation to recover the authenticity as well as the critical event to transform the life, death education as one of self-education methods should be the essential subject for future study.

      • 야스퍼스의 죽음 철학과 그 죽음 교육적 함의

        신교남(Shin, Kyona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야스퍼스의 죽음 사상을 바탕으로 죽음교육의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죽음을 한계상황으로 바라본 야스퍼스는 자신을 파멸시키는 죽음이 인간을 실존에 이르게 한다는 것과 더 나아가 초월의 세계로 지향할 수 있는 계기가 됨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죽음이라는 한계상황은 모든 사람을 실존으로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죽음을 성실히 직면할 때 가능하다. 죽음교육의 함의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죽음을 수용하는 것이다. 둘째, 자기 성찰의 실현이다. 셋째, 이타적 삶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가 본래성을 회복할 수 있는 관점에서 죽음을 성찰할 때, 죽음은 인간의 마지막 성장이 될 수 있다. 죽음교육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삶에도 큰 영향을 끼치며 함께 성숙하고 비약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야스퍼스는, 불가항력의 한계상황에 빠져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한계상황을 자신의 것으로 인수하여 철저히 고뇌하기를 바란다. 죽음의 한계상황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태도는 인간의 자유의지이다. 죽음교육은 죽음의 속박에서 벗어나 우리 삶을 자유롭게 할 것이며 실존적 죽음을 향한 자유를 제시한다. 죽음교육은 인간에 대한 심오한 질문과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담고 있다. 우리는 야스퍼스의 죽음 이해에서 죽음교육의 함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death education based on Jasper s death thoughts. Jaspers, who viewed death as boundary situation, suggested that destructive death brings humans to existence, and that furthermore, it is an opportunity to aim toward a world of transcendence. However, the boundary situation of death does not guide everyone into existence, but existence is only possible when he confronts his own death faithfully. The implications of death educa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it makes us embrace death. Second, it is a realization of self-reflection. Third, it leads us to an altruistic life. When we reflect on death from the perspective of restoring its authenticity, death can be the last human growth. Death educa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lives of not only oneself but also other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very important and meaningful education that can mature and leap together. Jaspers hopes that we should not be buried in the boundary situation, but rather take over the boundary situation as his own thorough anguish. The attitude toward death in the boundary situation is human free will. Death education frees our lives from the bondage of death, offers freedom toward existential death, and contains profound questions about humans and important implications for how to live. We can find the implication of death education in Jaspers’ death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