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헌고찰을 통한 김치문화 활성화 방안

        송혜숙(Song, Hyea-su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김치와 김장문화의 기원과 발달배경을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최근 한류열풍과 건강식에 대한 열망으로 김치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김치와 김장 문화를 개발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김치, 김장, 음식문화라는 단어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약 100여편의 발행 논문을 통해 분야별 통합 분석을 하였다. 김치와 음식문화에 대한 설문 연구결과는 학생과 주부, 유학생, 일반인등의 그룹 분석을 통해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김치에 대한 자긍심과 선호도가 과반수 이상 이었다. 또한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면역력 강화, 암발생 예방 등의 기본지식도 과반수이상 높았다. 그러나 김치소비량은 최근 60여년 동안 많이 하락하여, 국민 1인당 김치소비량이 1940년대 20포기에서 2000년 이후 5포기 였고, 가구당 김장량도 1960년대 77포기에서 2000년 이후에는 20포기로 급락하였다. 그러나, 김치 필수 양념인 고춧가루 소비량은 배추 1포기당 1960년대 26g에서 2000년대에는 145g으로 7배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들이 김치는 점점 안먹는데, 김치는 점점 매워졌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설문종합결과 전 연령의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김치에 대한 만족도는 과반수이상 높은데, 일부 기피하는 대상들의 이유는 김치가 맵고, 짜고, 냄새가 싫다는 것 이었다. 또한 내국인 과 외국인 주부들은 김치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김치 만들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약 40% 정도는 직접 담그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치 담는 방법의 교육프로그램이 있으면 적극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이 40%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국내외 김치의 소비량 증대를 위해 덜 맵고, 덜 짜고, 냄새를 줄일 수 있는 맞춤형 김치를 개발하여 한식의 세계화를 꾀하고자 한다. 매운맛 조절을 통해 국내외 김치브랜드의 고급화 및 현지 식사문화와 접목 시킬 수 있는 퓨전요리 등의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background of Kimchi and culture related making Kimchi and to inherit and improve this culture. Foreign people"s interest in Kimchi and demand for Kimchi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latest Korean wave and the interest in heathy food. This studymight be basic to improve the culture related Korean Kimchi. Literature searchwith Kimchi, making Kimchi and food culture was conducted and about 100 paper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 poll about Kimchi and food culture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groups of students, housewives, international students, others and so 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ver 50% of Koreans has pride in Kimchi. Over 50% has information that Kimchi is fermented food and helps enhancement of immunity and prevention of cancer incidence. Nevertheless, consumption of Kimchi has been so decreased for 60 years that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per person has been dropped from20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5 heads of cabbage in 2000"s and the amount of making Kimchi per house also has been dropped from 77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20 heads of cabbage in 2000"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red pepper powder consumption that is essential seasoning to make Kimchi has been increased 7 times, from 26g in 1960"s to 145g in 2000"s. It means that people have eaten less amount of Kimchi but Kimchi has been spicier and spicier. According to the poll analysis, over 50% of Koreans and foreigners in all age group was satisfied with Kimchi but a few people were not satisfied since Kimchi is spicy, salty and smelly. Korean housewives and foreign housewives show high preference to Kimchi but about 40% of themdoes not make Kimchi by themselves because it is hard and takes time tomake Kimchi.Meanwhile, over 40%wants to attend a programthat teaches howtomake Kimchi, if any.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to develop customized Kimchi that is less spicy, less salty and less smelly in order to help more people from more counties be able to enjoy Kimchi.We also need to enhance Kimchi brand and develop newfusion cuisine to gowell with foreign cuisine. 본 연구는 김치와 김장문화의 기원과 발달배경을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최근 한류열풍과 건강식에 대한 열망으로 김치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김치와 김장 문화를 개발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김치, 김장, 음식문화라는 단어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약 100여편의 발행 논문을 통해 분야별 통합 분석을 하였다. 김치와 음식문화에 대한 설문 연구결과는 학생과 주부, 유학생, 일반인등의 그룹 분석을 통해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김치에 대한 자긍심과 선호도가 과반수 이상 이었다. 또한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면역력 강화, 암발생 예방 등의 기본지식도 과반수이상 높았다. 그러나 김치소비량은 최근 60여년 동안 많이 하락하여, 국민 1인당 김치소비량이 1940년대 20포기에서 2000년 이후 5포기 였고, 가구당 김장량도 1960년대 77포기에서 2000년 이후에는 20포기로 급락하였다. 그러나, 김치 필수 양념인 고춧가루 소비량은 배추 1포기당 1960년대 26g에서 2000년대에는 145g으로 7배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들이 김치는 점점 안먹는데, 김치는 점점 매워졌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설문종합결과 전 연령의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김치에 대한 만족도는 과반수이상 높은데, 일부 기피하는 대상들의 이유는 김치가 맵고, 짜고, 냄새가 싫다는 것 이었다. 또한 내국인 과 외국인 주부들은 김치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김치 만들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약 40% 정도는 직접 담그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치 담는 방법의 교육프로그램이 있으면 적극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이 40%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국내외 김치의 소비량 증대를 위해 덜 맵고, 덜 짜고, 냄새를 줄일 수 있는 맞춤형 김치를 개발하여 한식의 세계화를 꾀하고자 한다. 매운맛 조절을 통해 국내외 김치브랜드의 고급화 및 현지 식사문화와 접목 시킬 수 있는 퓨전요리 등의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background of Kimchi and culture related making Kimchi and to inherit and improve this culture. Foreign people"s interest in Kimchi and demand for Kimchi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latest Korean wave and the interest in heathy food. This studymight be basic to improve the culture related Korean Kimchi. Literature searchwith Kimchi, making Kimchi and food culture was conducted and about 100 paper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 poll about Kimchi and food culture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groups of students, housewives, international students, others and so 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ver 50% of Koreans has pride in Kimchi. Over 50% has information that Kimchi is fermented food and helps enhancement of immunity and prevention of cancer incidence. Nevertheless, consumption of Kimchi has been so decreased for 60 years that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per person has been dropped from20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5 heads of cabbage in 2000"s and the amount of making Kimchi per house also has been dropped from 77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20 heads of cabbage in 2000"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red pepper powder consumption that is essential seasoning to make Kimchi has been increased 7 times, from 26g in 1960"s to 145g in 2000"s. It means that people have eaten less amount of Kimchi but Kimchi has been spicier and spicier. According to the poll analysis, over 50% of Koreans and foreigners in all age group was satisfied with Kimchi but a few people were not satisfied since Kimchi is spicy, salty and smelly. Korean housewives and foreign housewives show high preference to Kimchi but about 40% of themdoes not make Kimchi by themselves because it is hard and takes time tomake Kimchi.Meanwhile, over 40%wants to attend a programthat teaches howtomake Kimchi, if any.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to develop customized Kimchi that is less spicy, less salty and less smelly in order to help more people from more counties be able to enjoy Kimchi.We also need to enhance Kimchi brand and develop newfusion cuisine to gowell with foreign cuisine.

      • KCI등재

        산재보험 수준의 연구실안전보험 보장성강화 방안 - 장해보험금 연금형태 지급을 중심으로 -

        송혜숙 ( H. S. Song ),이난희 ( J. G. Choi ),최재규 ( S. H. Chun ),천성현 ( N. H. Yee ),김재중 ( J. J. Kim ),이병현 ( B. H.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9 한국안전학회지 Vol.34 No.1

        Background: Due to the diversification and advancement of research, researchers have become to deal with a variety of chemical and biological harmful materials in the laboratories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risk has increased as w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safety net for laboratory accidents by strengthening the compensation to the level comparable to that of Korean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when the researchers become physically disabled by laboratory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researchers’ health rights and to create a research environment where researchers can work with confidence by strengthening the compensation to the level comparable to that of Korean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Method: We analyzed the laboratory accidents by year, injury type, severity of accident and disability grade with the 6 year data from 2011 to 2016, provided by Laboratory Safety Insura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we predicted the financial impact on Laboratory Safety Insurance if we introduce a compensation annuity by disability grade which is similar to Injury-Disease Compensation Annuity of Korean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Result :As of 2011, the insured number of Laboratory Safety Insurance was approximately 700,000. The Average premium per insured was KRW 3,339 and there were 158 claims. Total claim amount was KRW 130 million, whereas the premium was about KRW 2.3 billion. The loss ratio was very low at 5.75%. If we introduce a compensation annuity by disability grade similar to Injury-Disease Compensation Annuity of Korean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the expected benefit amount for 1 case of disability grade 1 would be KRW 1.6 billion, assuming 2% of interest rate. Given current premium, the loss ratio, the ratio of premium income to claim payment, is expected 41.4% in 2017 and 151.6% in 2026. The increased loss ratio due to the introduce of the compensation annuity by disability grade is estimated to be 11.0% in 2017 and 40.4% in 2026. Conclusion: Currently, laboratories can purchase insurance companies’ laboratory safety insurance that meets the standards prescribed by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 Laboratory Environment. However, if a compensation annuity is introduced, it would be difficult for insurance companies to operate the laboratory safety insurance due to financial losses from a large-scale acciden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one or designated entities operate laboratory safety insurance. We think that it is more desirable for laboratory safety insurance to be operated by a public entity rather than private entities.

      • 내외적 자원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송혜숙(Hye-Sook Song),김희년(Hee-Nyon Kim) 한국사회서비스학회 2018 사회서비스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내적 자원인 자아통제감과 여가유능감, 그리고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인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그리고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요변수들 각각의 수준을 검증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인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5개의 독립변수와 5개의 통제변수를 모두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F=8.592 p<.001), 종속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을 29.8%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들 중에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의 지지(β=.23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통제감과 여가유능감의 β값이 각각 .237과 .179로 역시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활용 가능한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며, 실제 적용을 위한 사회구성원의 인식 및 행동의 변화, 그리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by analyzing relationships with sense of control, leisure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is composed of supports from family, friend, and significant others. Based on the factors found,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was suggested. To achieve this go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s of all other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vestig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find factors to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5 independent variables and 5 control variables with an dependent variable were used to d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was turned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F=8.592 p<.001), and explained 29.8%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Among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support from family was the most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β=.238), sense of control was second(β=.237), and leisure efficacy was third one(β=.179).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everal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develop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change of people s thoughts and acts, and necessity of implementing effective system were strongly commented.

      • KCI등재

        포괄수가제(DRG) 대상자의 인식과 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송혜숙 ( Hyea Suk Song ),김영순 ( Young Soon Kim ),최효정 ( Hyo Jung Choi ),심상효 ( Sang Hyo Sim ),김윤신 ( Yoon Shin Kim ),조우현 ( Woo Hyun Cho ) 대한보건협회 2013 대한보건연구 Vol.39 No.1

        연구목적: 포괄수가제(DRG)에 대하여 국민들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제도의 안정화를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기도 신도시 지역에 위치한 700병상 규모의 2곳의 종합병원에서 7주간 DRG 제도로 퇴원한 환자의 퇴원진료비 수납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인식여부, 만족도, 추천 및 재이용의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DRG 제도 대상임을 75%이상 모르고 입원 후 78%가 퇴원시점에 알게 되었으나 지불방식과 진료비에 대한 만족도는 58%이상 높았고 불만족은 4%미만이었다. 추천 및 재이용의사는 55%이상 높은 지지를 받았고 60%이상이 DRG제도가 확대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제왕절개술이 가장 낮은 추천 재이용의사를 보인 반면 백내장수술은 제왕절개술보다 6배 이상의 추천의사를 보였다. 결론: DRG 제도 대상임을 대다수 국민들은 모르고 입원했으나 만족도는 과반수 이상으로 높았다. 의료계와 국민들의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지원방안 마련 및 홍보활동을 하여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establish stablization of system through study on what people are thinking about DRG payment system. Methods: This survey was done over 7 weeks on 200 people having completed their hospital bill payment through the DRG payment system at 2 general hospitals in the new towns of Gyongido, which provide the DRG payment system. The way of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satisfaction,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of reutilization as well as correlations of each of the variables by self-reported response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more than 75% were unaware of the DRG payment system when being admitted and 78% found out at the time of discharge, but the satisfaction level of payment method and treatment cost was high at over 58% while 4% or less were dissatisfied.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of reutilization had a high support of over 55%, while more than 60% hoped for expansion of the DRG payment system The more caesarean section had lowest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of reutilization. However Cataract surgery had as much as 6 times or more the recommendation than the caesarean section. Conclu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s higher than half of people even though people do not know that they included in DRG payment system. Govement try to establish way of support and advertisement activity in order to promote understanding of general public.

      • KCI등재

        코호트 연구를 통한 악성암의 생존율 및 진료비분석(2004~2016)

        송혜숙 ( Hyeasuk S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상병인 악성신생물(암)의 생존율 및 진료비 분석을 통해 국민의 건강관리와 건강보험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DB 자료를 이용하여 2004년에 암으로 진단받은 후 2016년까지 12년간의 개인별 식별코드를 통계청의 사망자료와 연동하여 생존기간을 추적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암진단을 받은 자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수 약 4,800만명 대비 약 13만 4천명(0.27%)이었고, 2016년을 시점으로 사망자는 약 8천명(51.2%)로 확인되었다. 발병은 남성이 61% 대비 여성은 39%로서 남성이 22% 높았고, 5년 이내 사망률은 76.3%이었다. 입원 1건당 평균 입원일수는 약 10일이었고, 건당 평균 진료비는 본인부담률이 약 15% 수준으로 높았다. 이에 기존 논문들의 단편연구와 달리 본고는 진단시점부터 환자 1명당 12년간의 생존여부를 추적관찰한 코호트 연구로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 점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암의 종류별로는 관찰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며, 향후 순수한 암 비용을 추정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utilize the survival rate and medical expenses of malignant neoplasms (cancer),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Korea, as basic data for public health care and health insurance policies.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s customized DB data, and the survival period was traced by link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for 12 years until 2016 with the death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people diagnosed with cancer was about 134,000 (0.27%) compared to about 48 million people in Korea, and about 8,000 (51.2%) died in 2016. The incidence was 39% for males and 22% for males, and 76.3% for deaths within five years. The average number of days of hospitalization per admission was about 10 days, and the average cost per case was about 15%. Unlike the fragmentary studies of existing papers, this study is a cohort study that traces the survival of 12 years per patient from the time of diagnosi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can not be observed by type of cancer, and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pure cancer cost in the futur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임기 여성의 재혼과 출산 문화

        이난희(Yee, Nan-hee),송혜숙(Song, Hyea-su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본고는 저출산 시대를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소규모 집단인 가정의 측면에서, 가정의 해체와 재혼에서의 출산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우리나라는 재혼자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양적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통계청의 혼인 및 이혼통계와 전국 출산력조사 데이터를 통해 그 관련성의 일부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5~49세 가임기여성의 재혼자 수는 초혼을 포함해서 전체 혼인자의 13.4%에 불과했다. 재혼한 여성은 이혼의 경험을 안고 있어 생애에서 중요한 변화를 겪었으며, 초혼에서부터 재혼하기까지의 기간으로 인해 초혼연령보다 평균연령이 더 높아 고위험산모가 될 가능성뿐만 아니라 산전 산후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추가예정 자녀 수는 1명 이상으로 초혼인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저출산시대에 산모 및 출생아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재혼 여성과 같이 복합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서비스 문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rth of remarriage after divorce in the most small groups at the same time that the foundation of the society. There are not so much in Korea that the study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fter remarriage. Therefore, It was used for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and national fertility survey data of theNational Statistics Offic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birth after remarriage. The number of 15-49 year-old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no more than 13.4% of the total marriage including first marriage. A remarried woman experienced divorce and suffered from a major change in her life, so she is likely to be a high-risk pregnant women due to between first marriage and second marriage. In addition, there are also possibilities of prenatal postpartum depression. However, the number of additional children in the future is not less than compared with the case of first marriage. Therefore, it is needed fragmented and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subjects in a poor situation such as remarriedwomen to be health formothers and newborns in low-fertility Korea. 본고는 저출산 시대를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소규모 집단인 가정의 측면에서, 가정의 해체와 재혼에서의 출산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우리나라는 재혼자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양적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통계청의 혼인 및 이혼통계와 전국 출산력조사 데이터를 통해 그 관련성의 일부만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15~49세 가임기여성의 재혼자 수는 초혼을 포함해서 전체 혼인자의 13.4%에 불과했다. 재혼한 여성은 이혼의 경험을 안고 있어 생애에서 중요한 변화를 겪었으며, 초혼에서부터 재혼하기까지의 기간으로 인해 초혼연령보다 평균연령이 더 높아 고위험산모가 될 가능성뿐만 아니라 산전 산후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추가예정 자녀 수는 1명 이상으로 초혼인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저출산시대에 산모 및 출생아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재혼 여성과 같이 복합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서비스 문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rth of remarriage after divorce in the most small groups at the same time that the foundation of the society. There are not so much in Korea that the study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fter remarriage. Therefore, It was used for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and national fertility survey data of theNational Statistics Offic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birth after remarriage. The number of 15-49 year-old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no more than 13.4% of the total marriage including first marriage. A remarried woman experienced divorce and suffered from a major change in her life, so she is likely to be a high-risk pregnant women due to between first marriage and second marriage. In addition, there are also possibilities of prenatal postpartum depression. However, the number of additional children in the future is not less than compared with the case of first marriage. Therefore, it is needed fragmented and specialized services for the subjects in a poor situation such as remarriedwomen to be health formothers and newborns in low-fertility Korea.

      • KCI등재

        주민센터 건축물의 석면함유 자재 사용 및 위해등급 평가에 관한 연구

        정준식(Joon-sig Jung),송혜숙(Hyea-suk Song),김지흔(Ji-heun Kim),이원정(Won-jeong Lee),김윤신(Yoon-shin Kim),전형진(Hyung-jin Jeon) 한국생활환경학회 2015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2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and risk assessment in Community Service Centes. We investigated 133 CSC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in 2009. We collected presumed 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according to EPA AHERA, and analyzed it by US EPA method 600/R/116. The airborne samples of CSCs were analyz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For the survey on ACM risk assessment, we sed both ASTM rule and Korea ACM risk assessment by the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etection rate of the ACM in CSCs showed that before 1970’s, 1970’s, 1980’s, 1990’s, 2000’s buildings were 40%, 100%, 85.7%, 92.3% and 46.4%, respectively. The miscellaneous materials showed that a high detection rate were gasket (100%), wall cement flat board (96.2%) and ceiling textile (74.9%). Ceiling textiles contained chrysolite/amosite (1 and 6%) and cement flat boards contained chrysolite (6 and 15%), gasket contained chrysolite (5 and 40%).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fiber materials were ranged with 0.003~0.004 f/cc in CSCs by PCM. In this study, ASTM rule of asbestos material showed that 2 materials were “Abatement” grade and 309 materials were “Q&M” grade. And, adjusted Korea ACM risk assessment showed that 36 materials were “Fair” and 278 materials were “Good”.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data of asbestos use and management plane at Community Servic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