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감동천지귀신”의 의미와 <제망매가>의 감동

        송지언 ( Ji Eon S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9

        This study is to seek an answer of the question on the famous old song <Ode to the Deceased Sister(「祭亡妹歌」)>. What kinds of factors that the song contains could make such deep impressions on people`s mind through history? In the book of Samgukyusa(『三國遺事』) there is a notable paragraph that ``Songs of Hyang-ga could affect the god of heaven and earth(感動天地鬼神)``. So as the first step toward the answer, this study traced the origin and reviewed the references of that paragraph among the old documents of China and Korea. ``Affecting the god of heaven and earth``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explain the requirements of good literature traditionally in old Asia. And that stands for a deep impression not only as emotional reactions but also as illuminations to the world and universe. <Ode to the Deceased Sister> deepen the impression by its expression and structure. With such impressions the song could relieve people from the fear of death.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반(半)’의 미의식과 감상교육

        송지언 ( Song Ji-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연구는 시조의 특징적인 미의식을 발견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여러 편의 시조에서 반개(半開)한 꽃이 만개(滿開) 꽃보다 더욱 아름답다고 간주하는 표현들이 발견되었다. 시조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인 반개는 ‘반’에 관련된 시조의 미의식의 일면을 보여준다. ‘반’이 등장하는 모든 시조 작품들을 모아서 검토한 결과, ‘반’은 한편으로는 아름다움의 감정을 유발하는 대상에서 발견되는 자질과 관련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아름다움이나 숭고를 바라보는 특정한 관조의 방식과 관련 있었다. 전자의 예로는 ‘반만 핀 꽃’, ‘반만 웃는 미인’, ‘반잔 술’ 등의 관습적 표현이 있는데 이러한 대상들은 그것들이 절대적으로 아름다움의 자질을 가지고 있어서가 아니라 사람들이 문화적으로 특징지어진 태도에 의해 그 것들을 발견하고 선택하기 때문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아름다움의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후자의 예로는 반만 열린 창을 통해서 자연을 관조하는 방식에 대한 묘사를 들 수 있다. 이런 방식의 바라봄은 활짝 열린 창문을 통해서 바라보는 것과 구별되는 정서적 혹은 철학적 태도를 내포한다. 시조를 향유했던 선조들이 아름다움과 숭고를 느꼈던 방식의 경험과 그러한 미의식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시조는 오늘날의 학습자들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고 낯설며 심지어는 이상하기까지 한 텍스트에 머무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조의 고유한 미의식은 감상의 내용을 풍부히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started from finding out a certain uniqu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i-jo. With many examples, Si-jo seems to consider half-opened flowers more beautiful than full blooms in some ways. 'half-opened'(半開), a oft-repeated expression in Si-jo indicat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i-jo in reference to 'half. First of all, all pieces of Si-jo in which the word 'half' is brought out were gathered up and examined. 'Half' was related with the feature of objects that arouse the emotion of beauty on the one hand, and with the special ways of contemplation toward beauty or sublime on the other hand. The examples of the former are idiomatic expressions such as 'a half-opened flower', '(a beauty) smiles a half smile' 'a half-filled cup of liquor'. Such objects arouse the emotion of beauty not because that contain the attribute of beauty unconditionally but because people find and choose them assuming cultural specific attitude. The examples of the latter are the descriptions of contemplating nature through the half-opened window. This way of looking is different from looking out the full-opened window predicating a different attitude of emotion or philosophy. Without experiences how the predecessors who enjoyed Si-jo felt beauty and sublime and comprehensions of such aesthetic consciousness, Si-jo would still remain a unimpressive, unfamiliar and even strange text for students of nowadays. As a resul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i-jo particular could enrich the contents of appreciation.

      • KCI우수등재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과제 개발 연구

        송지언(Song, Ji-eon),조형일(Zo, Hyoung-il)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이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의 한 방법으로 ‘세 문장 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세 문장 쓰기는 학습자가 이어지는 세 개의 문장을 완성하는 학습 과제이다. 이때 과제는 서두나 패턴 등 문장의 일부를 미리 제시해주고 학습자가 문법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적절하게 나머지 부분을 완성하게 하는 형태이다. 기존의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는 한 문장이나 대화를 완성하는 문형 연습 중심의 과제와 문단 쓰기에서 글쓰기로 나아가는 본격적인 쓰기 과제 사이의 징검다리 역할을 할 과제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한국어 교재의 쓰기 과제들을 분석하여 기존의 쓰기 과제를 보완할 수 있는 ‘세 문장 쓰기’ 과제를 제안하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세부 유형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하는 ‘세 문장 쓰기’ 과제의 하위 유형으로는 ‘서두 제시 유형’과 ‘패턴 제시 유형’이 있다. This study will propose the ‘Three Sentence Writing’ task as a method of Korean writing education. Writing three sentences is a kind of the ‘guided writing’ task in which the students complete three successive sentences themselves. This task presents a part of sentences such as a beginning part or a pattern and let the students complete the rest parts of sentences properly, grammatically and contextually. At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tasks of Korean textbooks already developed. Until now Korean writing education lacked the certain tasks acting as a stepping stone between the tasks of grammar practice which completes a sentence or conversation and the full-scale writing tasks that start from writing a paragraph and proceed to writing a text.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the ‘Three Sentence Writing’ task that can complement existing writing tasks and also present detailed types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students. There are two subtypes of the ‘Three Sentence Writing’ tasks : ‘beginning part type’ and ‘pattern type’. The former type shows the beginning part of the first sentence. The beginning parts of the tasks are such as ‘When spring comes ~’, ‘After the graduation ~’, and ‘Looking outside the window ~’. The latter type shows the structure of the three sentences. Examples of such patterns are ‘I Have been in Korea ~. At the first time ~. I will be ~’ or ‘claim, reason, evidence/example’ etc.

      • KCI등재

        해외 교육과정의 유입과 국어교육의 대응 - IBDP 문학 수업이 던지는 화두를 중심으로 -

        송지언 ( Song Ji-e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3

        Interest in International Baccalaureate(IB) education has recently been rising, and attempts to introduce IB programs into public education have been made in several regional education offices. IB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curriculum has operated since 1969 and is currently in place at more than 5,200 schools worldwide. Because it i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curriculum, if you take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which is preparatory university course, you can be granted admission qualifications to more than 2,000 universities worldwide. Japan announced a policy to introduce IBDP to 200 schools nationwide by 2018. There is growing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of IB public education in Korea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ensure fairness in testing. However,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urriculum should be approached carefully because it could cause educational governance problems. Before discussing the introduction of IB public education from a policy point of view, we saw a need for research to underst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B education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IBDP literature classes at Gyeong-gi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which already conducts IB education in Korea. The IBDP literature class, which is a preliminary university course, is modeled on the study of literary works at university. Therefore, it showed differences in many respects from the general Korean high school literature class, which is mainly aimed at the enjoyment of literary works. IBDP literature classes were focused on reading the entire work, holding an “interactive oral” discussion, and producing a critical essay from a substance-based view of lit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courses will be explored through various aspects such as textbooks, lessons, and the evaluation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지역 문학과 문학교육 : 고전시가를 통한 장소 경험과 지역문학교육 -호남지역 원림문학을 중심으로-

        송지언 ( Ji Eon S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5 No.-

        지역문학교육론은 학습자들이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고 계승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소속감과 지역적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상업과 매체에 의해 균질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를 ‘장소 상실’이라는 개념으로 비판하는 견해에 동의하며, 지역문학교육이 장소 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장소애’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의 중앙 중심의 표준화된 문학교육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지역문학교육은 지역의 특수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지역과 지역사이를 배타적으로 구별하는 방향으로 흐르기 보다는, 지역의 고유성을 바탕으로 다른 지역과 상호 교섭할 수 있는 확장된 안목의 지역적 정체성을 지향해야 한다. 따라서 고정된 지역성을 규정하고 설명하는 교육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문학을 매개로 장소를 경험하고 장소성을 발견하는 경험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 따라 고전시가 교육의 영역에서 지역 간 비교나 지역 내 비교의 방법으로 작품들을 서로 연결 지어 감상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문학적 장소 경험의 실체를 접할 수 있는 사례들을 찾아보았다. 특히 이 논문은 호남지역 원림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인 <소쇄원 48영>과 <어부사시사> 등을 중심으로 문학과 장소 경험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 논문은 마지막으로 고전시가 작품을 매개로 학습자들이 얻을 수 있는 문학적 장소 경험을 세 단계로 구별하였다. 옛 작가의 장소 경험에 대한 간접 경험, 통시적으로 이루어진 ‘기억의 장소’에 대한 간접 경험 그리고 작품과 공간에 대한 감상을 통해 고양되고 창조되는 학습자 자신의 직접 경험이 그 세 단계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 세 단계에 따른 고전시가 교육의 내용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aims to make learners have a sense of belonging to regions and a regional identity by understanding and inheriting regional culture. This paper agrees with the view to criticize modern society which is being homogenized by commerce and media, as a concept of ‘placelessness’ and presumes that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can play a role in restoring ‘topophilia’ by stressing place experience. This approach will be able to be an alternative of existing center-oriented standardized literature education. But regional literature education needs to orient regional identity with an extended view for mutual exchange with other regions, based on local authenticity, rather than exclusive differentiation between regions that only emphasizes local specific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to help learners experience places by the medium of literature and discover placeness themselves, not education to define and explain fixed regionality.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of literary place experience in the scope of classical poetry through an intra- or inter-regional comparison.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ed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place experience,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works of won-lim literature in Ho-nam province, including <Soswaewon 48 Poems> and <Eobusasisa>. Lastly, this study classified literary place experience that learners can obtain by the medium of classical poetry, into three phases; indirect experience in old author’s place experience, indirect experience in ‘place of memory’, which was diachronically formed, and learner’s direct experience that is boosted and created through an appreciation of works and spaces. Further study would be required to put the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into shape depending on these three phases.

      • KCI등재

        평가자에 따른 작문 평가 결과의 비교 연구 -채점(scoring) 및 총평(description)의 양상을 중심으로-

        송지언 ( Ji Eon Song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9

        이 연구는 작문 평가에서 교수자 한 사람의 평가 결과가 얼마나 신뢰할만한 것인가라는 물음에서 시작되었으며, 평가자에 따라서 작문 평가 결과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이 작문 과제로 제출한 다섯 편의 글을 여러 평가자들에게 10점 만점으로 채점하고 총평을 써줄 것을 의뢰하였다. 평가자들은 크게 비전문가 집단과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비전문가집단은 다시 작문 교육에 대해 배운 적이 없는 대학 1학년 학생들과 국어교육과 4학년 학생들도 나누고, 전문가 집단은 중등학교 국어교사 집단과 작문을 지도하는 대학 교수 집단으로 나누어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조사 결과 비전문가 집단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난 반면 전문가 집단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특히 대학 교수들의 평가자간 신뢰도는 매우 낮았다. 이를 통해 작문 교육에 관련된 지식이나 작문 평가의 경험이 많은 집단에서 오히려 평가자간 신뢰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평가자들의 총평을 비교해본 결과 동일한 글의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 상반된 평가를 내리거나, 글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는 경우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양상을 볼 때 평가자 간협의가 채점 결과의 합의를 위해서만 이루어 질 것이 아니라 평가자 사이의 해석의 공유와 충실한 피드백의 산출을 위해서도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The study began in the question of how reliable one teacher’s assessment in student’s writing. To see how writing assessment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evaluator, this research commissioned five articles which have written by college students to several evaluators and ask them to assess these articles on a 10-point scale with description. Evaluators were greatly divided into non-specialists groups and expert groups, non-specialist groups are also divided into the freshman group and fourth grade students whose major are Korean education group. Expert groups includ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and the university professors who teach writing. As a result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non-expert groups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while experts groups appeared relatively low, especially in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university professors is very low. Rather in the group with lots of collectiv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writing assessment, the inter-rater reliability could be lower. In comparison with evaluators’ descriptions, it was disclosed the fact that differing interpretations and conflict assessments could be submitted for the same features in the same article. Considering these aspects, discussion between evaluators required not only for agreement on scoring but also for sharing of interpretation and the faithful feedback.

      • KCI등재

        학습자 질문 중심의 독서 교육 연구 현행 교과서의 관련 단원 검토를 바탕으로

        송지언 ( Ji Eon Song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질문 중심의 독서 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은 독서 영역에서 ‘질문을 생성하며 글을 능동적으로 읽는다’는 성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자가 스스로 생성하는 질문이 독해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서 다루어진 바 있다. 그런데 질문의 교육적 가치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자신이 알지 못하는 것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배움의 자세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질문을 갖는 것은 배움의 출발점인 동시 에 배움을 지속하는 원동력이 된다. 특히 독서 교육은 지속적-주체적 독서 를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는데, 학습자가 독서 과정에서 스스로 생성하는 질문이 이러한 목표를 성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검토한 교과서가 학습자들이 독서를 하면서 여러 가지 유형의 질문을 만들어보는 활동에서 그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읽기 전, 중, 후 단계에 따른 학습자 질문의 발전 모델을 제안하였고, 다양한 종류의 많은 질문을 다루는 것도 중요하지만 텍스트에 관련된 본질적 질문을 충분히 심도 있게 다루는 활동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ontents related to questioning-centered reading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found out the improvement plan. The current curriculum present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question making and passive reading`` in the reading field. The fact that questions which learners make themselves can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has been noted in other studies. However, the educational value of questioning is that learners can recognize what they do not know and have the continuous learning attitude. So, questioning is a starting point of learning and a driving force of continuous learning. Especially, reading education sets continuous and independent reading as an ultimate education goal and questions which learners make themselves in reading situation can help them achieve this goal. In this study, we pointed out that textbooks we reviewed are just encouraging learners to make questions of different types from this point of view. To identify the improvement plan for this, we suggested a development model of learner questioning depending on each stage including a stage before reading, a stage when reading and a stage after reading and emphasized that making many questions of different types are important while reading activities for essential questions related to texts are important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일 서사의 전개와 지향에 대한 고찰 - <광작>, <허생전>, <미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

        송지언 ( Song Ji-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고전문학과 교육 Vol.30 No.-

        이 논문은 인물이 일을 선택하고 지속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갈등과 성취를 주제로 하는 일 서사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이 범주에 속하는 작품들이 공유하는 구조와 그 변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우선 조선 후기의 야담 <광작>, 박지원의 <허생전> 그리고 시대를 뛰어넘어 웹툰 <미생> 세 작품이다. 이 세 작품은 주인공이 처음에 가졌던 이상적인 일을 지속하는 데 실패하고 세속적인 일을 선택하여 일정한 성취를 거두었으나 일을 통한 자아실현에 한계를 경험하기도 하면서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좌절에 도달하는 공통적인 전개를 보여준다. 이 작품들에 그려진 일 서사는 자아와 갈등하는 세계 속에서 어떤 가치를 지향하며 살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세 작품에는 저마다 서로 다른 지향이 나타나고 있다. 일의 선택 차원에서는 주인공이 처한 상황에 따라 이상적인 일과 세속적인 일 사이의 상반된 지향이 문제가 되고, 일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능력과 노력의 양 극단 사이에 서로 다른 양상이 그려진다. 그리고 일의 목적은 사적 이익과 공적 이념 사이에서 차이가 나는데, 이러한 일 서사는 특히 시대적 전환기와 같이 지향이 혼란스러운 시기에 두드러진다. This paper sets the categories of ‘work epic’ hypothetically, and examined the structures and variations of works in this category. Work epic refers the stories that show various conflicts and achievements in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and continuation. The theme of work epic may be the character’s struggles against the world. In this study, three pieces of literature are selected to analyse and that are short story ‘Gwangjak’ written in late Joseon period, ‘Heosaeng-joen’ written by Park jiwon and webtoon ‘Misaeng’ as latest work. All three works were analyzed in six scenes. Common development of the works is as follows. The protagonists have failed to maintain the ideal job and had to transfer to a different job. However, they exhibit the ability in the second job. As a result, they succeeded in some respects, but also were frustrated in another aspect. Literature of the transitional period is responsible for presenting the public ideas and growth motivated characters. Therefor from the past up until today, work epics raises questions how to l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