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량 클러치 드럼 접촉 면압 저감을 위한 스틸 플레이트 스플라인 치 최적 설계

        송지민(Jimin Song),이동윤(Dongyu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0 No.11

        Clutch is a mechanical device designed to connect and disconnect two rotating shafts. The clutch connects driving shaft and driven shaft so that they may spin together with the same speed, or slip with different speeds. Due to repeated countless contact between clutch-drum and steel plates, abrasive wear at spline tooth contact surface can occur, and this wear can reduce torque performance and cause noise problem. Therefore, clutch drum requires tight dimensional accuracy in its inside design, especially at the part that contacts the spline gear teeth. Generally, spline teeth are designed according to ISO standards. However, in this paper, specially designed spline tooth is proposed to reduce surface contact pressure. Spline tooth’s dimensions are described mathematically in terms of its geometric parameters, and two variables are selected as design parameters to formulate the objection function and minimize the surface contact pressure, and the optimal shape of the spline tooth is obtained using the GA algorithm.

      • 멀티모달 데이터 기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의사소통역량 평가 기법

        송지민(Jimin Song),차수정(Soojeong Cha),최유진(Eugene Choi),이유경(You-kyung Lee),박소영(So-Young Park),동서연(Suh-Yeon Do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최근 몇 년간 코로나 19 로 인해 온라인 학습이 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적절한 학생 능력 평가 도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에는 강의를 청취하는 단방향성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집중도를 측정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던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학습자가 참여하는 양방향성 학습 환경에서의 의사소통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5 인이 조별 토론을 수행하는 전공 강의의 화상강의 영상을 수집하여 학습자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수자가 평가한 의사소통역량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영상과 음성 각각에 대하여 추출한 특징 후보들 중에서 의사소통역량 점수와 상관관계가 높은 특징들을 도출할 수 있었고, 향후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자동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효율적인 강의 운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전자빔 용접 수소 균열 가능성 평가와 균열 방지를 위한 용접 조건 최적화

        송지민(Jimin Song),이상훈(Sang hun Lee),박승환(Seunghwan Park),송명의(Myeongeui S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3 No.11

        A hydrogen-induced crack is referred to as a crack that occurs at temperatures blow approximately 100 oC after solidification in welding. The Hydrogen-induced crack initiation is caus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high brittleness of the weld, residual stress (maximum principal stress) and diffusible hydrogen in the weld. The cooling rate affects the content of diffusible hydrogen in weld. It is generally recognized that a high cooling rate causes a higher hydrogen content. In this study, FE analyses and tests in various welding conditions were performed. T8/5 cooling rate and residual stress results are extracted and plotted on the plane coordinate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the hydrogen-induced crack.

      • KCI등재

        객체 영역에 특화된 뎁스 추정 기반의 충돌방지 기술개발

        황규태,송지민,이상준,Gyutae Hwang,Jimin Song,Sang Jun Lee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24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9 No.2

        Collision avoidance system is important to improve the robustness and functional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This paper proposes an object-level distance estimation method to develop a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it is applied to golfcarts utilized in country club environments.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we continually trained an object detection model based on pseudo labels generated by a pre-trained detector. Moreover, we propose object-aware depth estimation (OADE) method which trains a depth model focusing on object regions. In the OADE algorithm, we generated dense depth information for object regions by utilizing detection results and sparse LiDAR points, and it is referred to as object-aware LiDAR projection (OALP). By using the OALP maps, a depth estimation model was trained by backpropagating more gradients of the loss on object regio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our custom dataset, which was collected for the travel distance of 22 km on 54 holes in three country clubs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The precision and recall rate were respectively improved from 70.5% and 49.1% to 95.3% and 92.1% after the continual learning with pseudo labels. Moreover, the OADE algorithm reduces the absolute relative error from 4.76% to 4.27% for estimating distances to obstacles.

      • KCI등재

        작물 수확 자동화를 위한 시각 언어 모델 기반의 환경적응형 과수 검출 기술

        남창우,송지민,진용식,이상준,Changwoo Nam,Jimin Song,Yongsik Jin,Sang Jun Lee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24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9 No.2

        Recently, mobile manipulators have been utilized in agriculture industry for weed removal and harvest automation. This paper proposes a domain adaptive fruit detection method for harvest automation, by utilizing OWL-ViT model which is an open-vocabulary object detection model. The vision-language model can detect objects based on text prompt, and therefore, it can be extended to detect objects of undefined categories. In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models for real-world problems, constructing a large-scale labeled dataset is a time-consuming task and heavily relies on human effort. To reduce the labor-intensive workload, we utilized a large-scale public dataset as a source domain data and employed a domain adaptation method. Adversarial learning was conducted between a domain discriminator and feature extractor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feature vectors from the source domain and our target domain data. We collected a target domain dataset in a real-like environment and conducted experimen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n experiments, the domain adaptation method improved the AP50 metric from 38.88% to 78.59% for detecting objects within the range of 2m, and we achieved 81.7% of manipulation success rate.

      • 여과 공정에서 초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제거기작

        서영교 ( Seo Younggyo ),송지민 ( Song Jimin ),황유훈 ( Hwang Yuho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플라스틱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플라스틱은 폐기물의 분포 범위가 넓고, 잠재적 독성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유엔 환경계획의 2011년 연차보고서에서는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전 지구적 환경문제로 선정하였고, 유엔은 2018년 세계 환경의 날 주제를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의 탈출”로 정하고, 플라스틱 제품 남용을 제한하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금지 및 이에 대한 과세를 권고하였다.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1950년 200 만 톤에서 2015년 3억 2200 만 톤으로 무려 160 배 늘어났으며, 지난 수십 년 간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플라스틱은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의 60~80 %를 차지하고 있다.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95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 중에서 미세플라스틱은 약 15~31 %에 달한다. 여기서 미세플라스틱은 길이나 지름이 5 mm 이하의 플라스틱을 말하며, 현재 대부분의 미세플라스틱은 수처리 시설에서 제거된다고 나타난다. 하지만 100 um 이하의 작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은 현재의 수처리 공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않고 있으며, 10 u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의 경우에는 현재 진행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 처리 공정인 여과 공정에서의 10 u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제거 기작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플라스틱 물질로서 PE(Polyethylene)을 이용하였으며, 10 um 이하의 초미세플라스틱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PE 를 계면활성제(Tween 20)가 주입된 초순수에 분산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여재 종류와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입도 분석과 탁도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 여과 공정에서 초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제거기작

        서영교 ( Seo Younggyo ),송지민 ( Song Jimin ),황유훈 ( Hwang Yuho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플라스틱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플라스틱은 폐기물의 분포 범위가 넓고, 잠재적 독성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유엔 환경계획의 2011년 연차보고서에서는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전 지구적 환경문제로 선정하였고, 유엔은 2018년 세계 환경의 날 주제를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의 탈출”로 정하고, 플라스틱 제품 남용을 제한하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금지 및 이에 대한 과세를 권고하였다.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1950년 200 만 톤에서 2015년 3억 2200 만 톤으로 무려 160 배 늘어났으며, 지난 수십 년 간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플라스틱은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의 60~80 %를 차지하고 있다.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95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 중에서 미세플라스틱은 약 15~31 %에 달한다. 여기서 미세플라스틱은 길이나 지름이 5 mm 이하의 플라스틱을 말하며, 현재 대부분의 미세플라스틱은 수처리 시설에서 제거된다고 나타난다. 하지만 100 um 이하의 작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은 현재의 수처리 공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않고 있으며, 10 u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의 경우에는 현재 진행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 처리 공정인 여과 공정에서의 10 u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제거 기작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플라스틱 물질로서 PE(Polyethylene)을 이용하였으며, 10 um 이하의 초미세플라스틱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PE 를 계면활성제(Tween 20)가 주입된 초순수에 분산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여재 종류와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입도 분석과 탁도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 여과 공정에서 초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제거기작

        서영교 ( Seo Younggyo ),송지민 ( Song Jimin ),황유훈 ( Hwang Yuho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플라스틱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플라스틱은 폐기물의 분포 범위가 넓고, 잠재적 독성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유엔 환경계획의 2011년 연차보고서에서는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전 지구적 환경문제로 선정하였고, 유엔은 2018년 세계 환경의 날 주제를 “플라스틱 오염으로부터의 탈출”로 정하고, 플라스틱 제품 남용을 제한하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금지 및 이에 대한 과세를 권고하였다.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1950년 200 만 톤에서 2015년 3억 2200 만 톤으로 무려 160 배 늘어났으며, 지난 수십 년 간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플라스틱은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의 60~80 %를 차지하고 있다. 매년 바다로 유입되는 95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 중에서 미세플라스틱은 약 15~31 %에 달한다. 여기서 미세플라스틱은 길이나 지름이 5 mm 이하의 플라스틱을 말하며, 현재 대부분의 미세플라스틱은 수처리 시설에서 제거된다고 나타난다. 하지만 100 um 이하의 작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은 현재의 수처리 공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않고 있으며, 10 u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의 경우에는 현재 진행된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 처리 공정인 여과 공정에서의 10 um 이하 크기의 초미세플라스틱의 거동 및 제거 기작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플라스틱 물질로서 PE(Polyethylene)을 이용하였으며, 10 um 이하의 초미세플라스틱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PE 를 계면활성제(Tween 20)가 주입된 초순수에 분산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여재 종류와 조건을 변경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입도 분석과 탁도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