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동의 지능 구조에 대한 평면성과 위계성의 비교 연구 -Guilford 지능 구조를 중심으로-
송인섭 ( In Sub S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이 연구에서는 다요인적 지능 이론의 대표자인 Guilford 지능 구조 모형을 Guilford(1959, 1966, 1971)의 이론에 근거해서 위계화 시키고, 일반 요인 ``g``의 개념을 도입시킨 모형으로 재 위계화 함으로써 위계적 지능 구조에 대한 논쟁을 통합할 수 있는 탐색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유아에서 나타나는 지능구조에 대한 관심이 중요한 본 연구의 관심이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1994년에 송인섭이 개발한 종합인지능력검사이다. 이 검사는 만 5세부터 만 7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 문항은 대부분 그림으로 제시되어 있다. 본 검사는 언어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창의력, 기억력의 5개 영역을 측정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평면모형과 위계모행 중 위계모형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경쟁적 위계모형들 간의 적합도는 매우 유사해서 그 경쟁모형들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결과적으로 어떤 형태의 위계모형을 형성하던 간에 평면모형보다 적합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예상했던 것처럼 가장 좋은 적합도를 보인 모형은 대집단요인이 2개인 경우였다. 지능의 위계모형들의 경쟁모형을 통한 적합도 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서는 지능의 대집단요인이 언어-기억 요인, 수리-공간-창의 요인의 2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establishing a hierarchical intelligence model and empirically testing it on the assumption that the theories of hierarchical intelligence can best explain about human intelligence. For the scale in validating the hierarchical model, the Multifactorial Cognitive Ability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Song In-Sub in 199 was applied. For data collection, 750 Kindergarten and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Kyongsangnamdo areas were sampled to test. Among them, 699 ones were identified as reliable for this study.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Regarding the validity of the hierarchical model structure for intelligence In other to verify this model structure, planar and hierarchical models were analyzed using the LISREL program. As a consequence, the planar one showed 8.31 of chi-square/df, which means inappropriate to explain structure of intelligence. In contrast, the hierarchical model was found appropriate showing 4.88 of Chi-Square/df. Furthermore, differences of other indices between two models support higher validity of the hierarchical model than to the planar one(.912 and .955 in GFI; .861 and .921 in AGFI, and .058 and .043 in RMSR). Base up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rist, in terms of theory,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tested the new hierarchical intelligence model under the circumstance that recent studies are focused on information processings rather than structured factors of intelligence. Second, in terms of methodology,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at it has verified the effectivencess of the hierarchical model directly using the LISREL program and therely has suggested new approach to te studies of intelligence. Third, in practical terms,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at it has attempted to lest the validity of the hierarchical model which hardly studied and therewith has presented a test case for future studies.
송인섭(Song In-Sub),김효원(Kim Hyo-Won),남궁정(NamKung Je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본 연구는 연령별 진로성숙 수준에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각 단계에서 주어지는 진로문제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준비도인 진로성숙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진로성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관련 도구 분석을 통해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중학생의 진로성숙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crites의 CMI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진로성숙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관련연구들을 토대로 형성된 경쟁모형을 제시하여 최적의 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진로성숙 구조모형을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변량구조분석(AMOS)을 통해 적합도 지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합도 지수인 TLI ,CFI가 .90 이상으로, 절대적합도 지수 RMSEA는 .052로 본 연구모형(모형 Ⅰ)의 적합도 지수가 다른 경쟁모형의 적합도 지수보다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검사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한 연구모형을 개발 경험적으로 타당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재교육의 측면에서도 진로선택 및 결정은 중요한 과업으로 일반학생 뿐만 아니라 영재아들도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된다. 그러므로 적용적 측면에서 일반학생들뿐만 아니라 영재아들의 정밀한 진로성숙도 측정을 통해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그들이 가져야할 정의적, 인지적 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여 진로문제와 생활지도면에서 합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develop an Career Maturity scale for Korean middle-school students and 2)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or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n Career Maturity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areer Maturity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y were included in 2 components of attitude and cognitive abilities for career maturity accordingly in 6 sub-components. 17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at pilot test and 749 students were conducted final test.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94 items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Second, to examine the best fit construct model for career maturity, we assumed conceptual model for career maturity, model Ⅰ, base on CMI model (Crites, 1978) and proposed competing models base on the related studies that included the other components(behavioral) for career maturity.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AMOS), we confirmed 3rd order construct model include 2 components was the best adequate through the indices of best fit(TLI,CFI>.90, RMSEA=.052). Career Maturity scale of this study developed andexamined can be applied future study for the gifted students who haven"t decidedtheir career decision because of their multi potentials and talents.
송인섭(Song, In sub)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2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영재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론을 형성하여 영재의 개념모형과 측정모형을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영재의 행동관찰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경험적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영재의 개념과 특성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개념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개념모형을 근거로 하여 영재의 행동특성과 판별법에 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행동관찰 평정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통한 타당화 과정과 t검증, 외적타당도 검증을 한 결과 본 도구는 신뢰롭고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방법적으로는 내용타당도와 중다특성-중다방법 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증 과정에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표집의 광역화, 영재의 행동특성에 관한 세분화를 통하여 영역확대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1) analyze various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regarding gifted children and thereby establish some theoretical frameworks defin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2) thereupon design a measurement model and instrument to identify gifted children and 3)verify the rating scale of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were grouped in large into academic, affective and aesthetic areas from multidimensional views ; The first area covers language, mathematics, spacial perception and learning, while the second area embraces creativity, motivation and leadership. And the third area covers visual and performing arts and psychomotor ability. The rating was done by children themselves, parents, teachers and peer group. The result of te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those items which may increase the reliability were remov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from self-ratings. As a consequence, the level of reliability for rating of gifted children was .7102~.9226, while that for rating of ordinary ones was .6122~.9397. 2) Based on the results from self-ratings each item was examined for its validity by factor analysis and content validity. Furthermore, each item was checked if it has a significant independence by using such methods as varimax and oblique rotation. 3) In multitrait-multimethod, the convergent validity was tested comparing the coefficients of same traits which was measured by different methods. Meanwhile,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positively tested in case the correlation between same constructs is higher than that between different constructs. 4) In order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ordinary children, T-tests were done using mean and SD values. As a result, every sub-areas of four rating sca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of P<.001, which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scales. 5) The correlation betwee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IQ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ating scale for gifted children tested positively for their validity.
송인섭(Song In sub),한윤영(Han Yun Yo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6 영재와 영재교육 Vol.5 No.2
본 연구는 중학생용 진로탐색 검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련 문헌과 기존에 개발된 진로검사의 구성요인을 검토하여 자아개념, 진로성숙, 직업인성, 직업선호 4가지 구성요인을 진로탐색의 구성요인으로 가정하였다. 378개의 예비검사 문항을 161명의 중학생들에게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378문항을 246개로 축소하여 본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검사에는 158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확인적 타당화 과정에 의해 3개 문항이 삭제되고 최종 243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진로탐색 검사가 개발되었다. 진로탐색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통해 진로탐색의 위계구조를 확인하였다. 경쟁모형들의 적합도 지수를 통해 진로탐색에 대한 최적모형을 평가해 본 결과, 상대적합도 지수인 NFI, TLI, CFI 가 .90이상으로 잘 부합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RMSEA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2단계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경험적으로 증명되어 진로탐색 구인의 이론적 구조가 위계적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차타당화를 통해서 모형의 일반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ns to develop career exploration scale for Korea middle-school students and to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career exploration scale we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areer exploration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factors. The were included in 4 components of self-concept, career maturity, vocational character, vocational preference for career exploration accordingly in 26 sub-components. 191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hrough 378 items at pilot test. Based on factor analysis, 378 items was reduced into 246 items which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1587 students were conducted final tes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 item was deleted, finally the test of career exploration scale for Korean middle students, which on consisted 243 items, Through analyzing validations of career exploration structure model, we confirmed hypothetical structure of career exploration and branch structure of psychological career exploration.<BR>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AMOS), we confirmed 2nd order construct model of career exploration was the gest adequate through the indices of best fit(TLE, NFI, CFI>.90, RMSEA=.112). In addition, generalizability of this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ross-validation testing which showed that this model was fitted in a corss-validation samples.
송인섭 ( In Sub Song ),정미경 ( Mi Kyung Chung ),김효원 ( Hyo Won Kim ),최영미 ( Young Mi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발달계에서 주어지는 진로문제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준비도인 진로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와 진로성숙도에 대한 각종 논문과 이론을 참고하여 진로성숙도를 개념화하고 관련 검사 문항들을 검토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총 78문항을 선정하고 요인분석과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 등을 구하여 검사를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태도검사의 문항들이 .30 이상의 단일요인 부하량을 나타내어 각 척도가 단일성 요인임을 설명해주고 있으며 능력검사의 신뢰도는 Cronbach α계수 .52~.86으로 나타났다. 계획성 요인의 경우 .52로 일반적인 신뢰도 기준에는 낮은 신뢰도로 판단되나 진위형 척도의 특성상 신뢰도가 낮게 추정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이외의 하위용인에서는 적절한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진로성숙도의 내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진로성숙도의 구조는 진로에 대한 능력과 태도로 구성되며, 태도는 결정성, 독립성, 계획성으로, 능력은 직업이해. 직업선택, 그리고 직업성으로 구성된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 Crites의 CMI모형을 근간으로 측정요인을 선정하고 초등학생에 맞는 연구모형을 재정립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특성에 적합한 접근 방법으로 도구를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아동이 진로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정의적 태도와 지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진로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적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career maturity: 2)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of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n career maturity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areer maturity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 were included in 2 components of attitude and cognitive abilities for career maturity accordingly in 6 sub-components 19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at pilot test and 1010 students were conducted final test.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77 items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And this scale was validated through the evidence based on internal structur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영재아를 중심으로 한 학문적 자아개념의 위계성에 대한 타당성 연구
송인섭(In-Sub S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3 영재와 영재교육 Vol.12 No.2
학문적 자아개념의 위계성은 자아개념 연구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본 연구는 일반아동으로 국한된 연구의 한계를 넘어, 영재아동에 관심을 두어 영재아동 자아개념의 다양한 구인 중 학문적 자아개념의 고차원적이고 위계적 특성의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1과 연구2를 수행하였다. 본 주제는 반복연구의 특성을 갖는다. 외국의 다양한 표본에서의 결과가 한국에서도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보고자 한다. 연구1에서는 영재아동 중학생(N=256)을 대상으로 국어자아개념과 외국어의 말하기 자아개념, 읽기자아개념, 쓰기자아개념을 대상으로 학문적 자아개념의 위계적 특성을 경험적으로 검증 확인하였다. 역사성에 근거를 두어 영재아동의 준거는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 135이상에 속하는 아동으로 보았다. 연구2에서는 영재아동 고등학생(N=409)의 영어에서의 말하기자아개념, 읽기자아개념, 쓰기자아개념의 위계적 고차원성을 검증하였다. 이 두 연구를 통하여 영재아동 학문적 자아개념은 위계성의 특성을 갖고 있음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영재 연구의 일반적 판별 준거를 근거로 하여 역시 영재아동의 준거는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 135 이상에 속하는 아동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학문적 특성의 차원성의 분석을 통하여 인간의 심리적 구인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적 상황에 적용하고자 한다. The hierarchy of academic self concept(SC) of gifted children was examined in 2 studies. In study 1, a higher order language SC factor represented middle school students'(N=256)SCs 4 areas. In study 2, high school student'(N=409) perceptions in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foreign language math SC formed 2 distinct higher order factors showing the domain specificity of their SCs in respective areas. In sum, in two studies it was found not only support for the multidimensionality of academic of self concepts demonstrated in previous research in terms of Song(1982), Shavelson & Stanton(2010)Shavelson, but also support for the hierarchy of academic self concept. Furthermore it was contended that seven features can be identified as critical to the construct definition of self-concept. Self-concept may be described as organized, multifaceted, hierarchical, stable, developmental, evaluative, and differentiable from other constructs. In general result for self-concept so far, at the apex of the hierarchy is general academic self-concept. general academic self-concept may be divided into two facets: academic and non-academic self-concepts. In turn, these second-order facets can be subdivided. Academic self-concept of gifted children may be divided into subject matter areas. Non-academic self-concepts may be divided into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self-concepts, and these may be divided into more specific facets.
송인섭(In-Sub S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3 영재와 영재교육 Vol.2 No.2
This study is integrated by applying the meta analysis to the established study in this field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 of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ynthetically.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answered to direct the further study.<BR> 〈Problem 1〉 Examine the effect size,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BR> 〈Problem 2〉 Categorize the relationship,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by the sex of person and the grade and then compare the effect size.<BR> 〈Problem 3〉 Compare the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method. In other words, categorize the effect size in keeping with the number of examinees, the region, the mane of the test, and the source of research materials, and inspect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s.<BR> 〈Problem 4〉 Yield the effect sizes of creativity, and compare the effect size of those in compliance with the sex of person and the grade.<BR> In other to inspect the above problems, 84 theses which are based on the variables such as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llected. Out of the 84 theses, six were excluded because they had the problems the application to statistical techniques. Ultimately 78 theses were analysed and 111 effect sizes were yield. The variables analysis was used to inspect to find out if the effect sizes had the meaningful differences,<B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1.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 of creativity, and academic analysis, the average effect size of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1.666(r=429)<BR>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academic the subjects such as Korean, mathematics and science showed different aspects on subjects. In addition, art was affected more by creativity than by intelligence.<BR> 2.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didn"t show.<BR> 3. According to the number if examinees, there was ac meaningful dif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ame out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difference to the effect siz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examinees. In the case of sampling less than 100 persons, the effect size came out failing to reach the whole average effect size to a high degree. As the number of examinees increased, a high effect size was produced.<BR> 4. For theses that were divided into a high level and a low level by the standard of IㆍQ 120 were analysed and yielded the separate effect sizes. As a result of the above, it was found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s of intelligence and creativity were recorded bigger when intelligence is on a higher level than on a lower level. It suggested that there is more meaningful relationship when an IㆍQ is higher than less.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과 학업성취를 변인으로 하는 국내의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의 통합접근 방법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창의성과 학업성취의 관계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알아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효과를 규명하였다.<BR> 위의 연구 목적을 위해 창의성과 학업성취를 변인으로 하는 연구논문을 84편을 수집하여 통계기법의 적용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논문 6편을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78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산출해낸 111개의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BR> 결과는 첫째,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교성과 융통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어, 수학, 과학 등이 주지과목은 지능에 있어 높은 효과의 크기를 보이며 미술과 같은 예체능 과목은 주지과목과 비교해 볼 때 창의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BR> 둘째, 창의력과 학업성취의 효과의 크기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변량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가 여자 집단이나 혼성 집단을 대상으로 했을 때보다 높은 효과의 크기를 보여주고 있다.<BR> 셋째, 연구 대상수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 대상수가 100명 이하이면 효과의 크기가 매우 낮아지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대상수가 많아질수록 높은 효과의 크기를 보이다가 500명 이상에서는 오히려 효과의 크기가 낮아지고 있다.
송인섭(Song In Sub) 한국영재교육학회 2004 영재와 영재교육 Vol.3 No.2
교육에 대한 개념은 교육을 생각하는 개인의 철학과 관점에 따라 다양하고 때로는 상충 된 논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교육의 핵심적 대상은 ‘인간’이라는 점에서는 큰 이의가 없는 것 같다. 또 하나는 그 인간의 ‘변화’에 대한 관심이다. 이 둘의 통합을 ‘인간 자아의 형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자아형성은 개인차의 실현을 통하여 가능하며, 영재교육은 개인차 실현의 대안이 되고 있다. 현재 영재교육은 새로운 인식과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한국의 영재교육은 단일차원에서 분화차원으로, 일반성에서 특수성으로, 뛰어난 IQ에서 다측면으로, 영재의 정서적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접수자에서 자생자로, 단순사고에서 고차원 사고로, 단계별 영재교육 목표의 다양화 등의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In the Korea, We are justly proud of our qualitarianism and our demand for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for all, but we are equally proud of our goal of individualization, to fit the program to each child"s needs. We have moved for ward providing access to education for all, but we are less effective in meeting the differing needs and abilities of individual children. For those children at the extreme- children with special gifts- the commitment to individualization has been halting and incomplete. Failure to help gifted children reach their potential is a societal tragedy, the extent of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but which is surely great. How can we measure the loss of the sonata unwritten, the curative drug undiscovered, or the absence of political insight? These gifted students are sustantial part of the difference between what we are and what we could be as a society.
Guilford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유아 학습능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송인섭 ( In Sub S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2
이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Guilford의 지능이론을 근거로 지능에 대한 이론적 ``개념 틀``을 구안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표집을 통해 우리나라 아동에 적용 가능한 다면적 지능구조모형을 설정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구조모형을 경험적 확인과정 후 유아의 학습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하고 도구의 타당화 과정을 거처 유아의 학습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제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항의 반응분포와 신뢰도 검증방법인 Cronbach-α계수를 사용하여 문항 선별과정을 거쳤으며 제작된 측정도구에 대해서도 문항 변별도와 곤란도 분석을 통해 각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신뢰도 검증에서는 Cronbach-α계수와 채점자간 상관을 산출함으로써 도구의 특성에 맞는 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문항들이 의미있는 독립성을 가진 요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의 방법인 직교회전(Varimax rotation)방법 등을 사용하여 차원의 타당성을 높였다. 특히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의 기초가 되는 Meeker의 SOI-LA검사들은 각 하위능력별 진단과 평가가 가능하고 피험자의 각 영역에 대한 강, 약점을 파악하여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 Program 활동을 통해 학생의 능력을 개발시킬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면적 지능검사의 개발을 통해 진학 전 유아의 학습능력을 평가, 개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지능의 다면적 접근을 통해 유아용 학습능력 검사를 개발하려는 본 연구의 시도는 지능의 다면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이론적 수준에서 실제적, 경험적 수준으로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다면적 지능에 관련된 후속 연구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the study attempted to formulated a conceptual framework concerning the multifaceted intelligence make of learning abilities test instrument of young child. Second, the study attempted to make instrument and to select factors measurable multifaceted intelligence based on its conceptual framework and experimental study result. Finally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was aimed at establishing the construct validity regarding the instrument assessing the multifaceted intelligence. Instrument for assessing young children`s multifaceted intelligence was designed from Meeker`s SOI-LA Test based on Guillford`s SOI Model & Tested various analysis & various validation procedure for exploratory procedure and confirmatory test procedures, Especially the confirmatory test procedure included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In order to select items, items analysis was performed. 1) item whose item response analysis were 100% 2) negative items in an item-total correlation were deleted. The main study was carried out to 225 male and female kindergarten children. The results g their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tem difficulty index of the test ranged from 49.28 to 88.73 and item discrimination index ranged from .23 to .62. 2) Reliability coefficent the 5 sub tests ranged from .5048 to .7942. 3) In factor analysis, most items were more them .20 of factor loading. It showed that there was empirical evidence for considering the subsale of the instruct as unifactorial. The result indicated that multifaceted intelligence scale designed in this study was an valid tool th confirm multifaceted intelligence for young children.
송인섭(In-Sub Song),문은식(Ehun-Shik Moon),하주현(Ju-Hyun Hah),김누리(Noo-Ree Kim),성은현(Eun-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1
그동안 우리의 영재교육은 수ˑ과학영재교육에 치중해왔고 인문사회적 소양을 기르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삶의 본질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는 인문사회적 소양은 모든 영재교육의 기본이고 모든 분야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영재교육의 철학과 목표가 되는 핵심능력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 인문사회영재교육의 기본 철학을 지적인 통찰(프로네시스 : phronesis)로 정하고, 융합, 창의, 리더십을 핵심목표능력으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문학작품과 역사, 철학, 경제, 지리, 윤리, 사회 등 인간과 인간세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기반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각 주제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영재의 기본 능력인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통합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등을 강화하고, 협동심과 능동적 자기주도성을 배양하며, 차별화된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각 개인에 맞는 영재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Gifted education in Korea has been excessively focusing on mathematics and science while neglecting the humanities. Nurturing a child’s humanistic insight is essential for developing the potential of gifted children and increas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basis and purpose of humanities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and suggests its future direction.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is study is drawn from precedent research that suggests phronesis, mentioned by Socrates as the supremacy virtue. The consilience, creativity and leadership skills are targeted as the core abilities. We propose that unit subjects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cover important social issues and topics. Educators in Korea can integrate the humanities into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individual learning needs. The integration of the humanities in gifted education is suggested in order to reinforce creative,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skills and to improve on the cooperative and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gifte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