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레이터 기반 VR 콘텐츠 산업의 규제 혁신 방안

        송승근,Song, Seu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 등장한 4차 산업혁명과 융합신산업의 핵심인 VR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해 VR 콘텐츠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요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VR 시뮬레이터의 콘텐츠 변경 시 심의 간소화, 게임산업법 내에 'VR 시뮬레이터' 규제 법령을 신설, 투입금액 다양화 등이었다. 심의 간소화는 신규 플랫폼 사업을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신규법령 신설은 VR 콘텐츠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고 기존 법규에 의한 불필요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다양한 투입방식의 도입은 신규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시장 확대를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법제도가 신규산업의 발전에 방해를 주는 요소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 써 신규 산업을 안전한 생태계에서 발전할 토양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the VR content industry, which is the core of the newly emerg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nvergence new industry, and to find alternatives to solve th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e collected elements that impeded the development of VR content industry. As a result, the simplification of the VR simulator's content changes, the regulation of the VR simulator was newly established within the Game Industry Act,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input amount were the reasons. Simplification of deliberation provides the basis for new platform business. The new law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R content properly and to avoid unnecessary regulation by existing laws. The adoption of various input methods is intended to actively expand the market for new industr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he safe ecosystem by reviewing the factors that impede the development of the new industry as suggesting alternatives.

      • KCI등재

        성인용 아케이드게임물의 등급분류 핵심요소 : 황금(黃金) 포커성(城), 성인용 비경품 아케이드게임물을 중심으로

        송승근,Song, Seu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성인용 아케이드 게임물의 심의에서 게임물의 그래픽적인 외관을 심의의 중요요소로 고려하는 입장과 게임물의 시스템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입장간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지난해 3년간에 걸친 '황금포커성' 게임물에 대한 대법원의 판례는 게임물을 심의 할 때 게임물의 그래픽적인 측면만 고려 할 것인지, 게임물의 시스템적인 측면까지 함께 고려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성인용 아케이드 게임물에 대한 사행성 게임물 확인에 대한 사항을 어디까지 고려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게임물의 등급분류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여 줄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등급분류를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ame graphics which considers key elements and game systems which do them in the rating classification of adult arcade games during reviews.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about 'The Golden Porker Castle' last year for 3 years presents the basis whether considers the game graphics or the game system during the review for the game. It implies to identify the gambling game device for the adult arcade game. This research try to find the direction for the scientific, systematic rating classification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in it.

      • KCI등재

        게임플레이의 생태학적 심리학 : 스마트폰 앱 게임을 중심으로

        송승근,Song, Seu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6

        HCI 측면에서 게임플레이는 게이머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새로운 규칙을 떠올리거나 발견하여 현재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제해결관점에서의 게임플레이가 아닌 생태학적 심리학에서 유래가 된 행동유도성 입장에서 게임플레이를 이해하고 그 구조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의 App 게임을 중심으로 전문 게임플레이어의 게임플레이 전 과정을 비디오 오디오 기기를 활용하여 녹취를 실시하였다. 본 자료를 토대로 질적 연구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행동유도성 기반의 게임플레이는 선택과 관계로 구성되며 한 번에 한 가지만 선택하고 주의를 집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탐색적 측면의 행동과 절차적 측면의 행동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탐색, 행동, 변형의 양상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게임을 개발할 때 게임플레이 설계를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디자인 방법론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aspect of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gameplay is the procedure to solve the problem that gamers encounter in order to generate or discover a new rule to achieve gamers' goal.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understand the gameplay in aspect of affordance from ecological psycholog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problem solving theory. This research selects App. game based on smart phone. Expert gamer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 record all gameplay using audio and video device. We conducted protocol analysis as qualitative method based on the verbal report and action protocol during game playing. As result, gameplay based on affordance includes selection and relation. We found that subjects selected one thing at once with attention. Moreover, we found that there were two behaviors : exploratory action and performatory action. We believe that exploration, action, and transformation for affordance appea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mply to suggest design guideline for game design methodology when designers develop game.

      • KCI등재

        VR 테마파크 규제개선방안

        송승근,Song, Seu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VR 영업장에서 발생된 규제 개선을 위해 국내 VR 테마파크 규제 개선 사례를 분석하고 법적 분쟁이 된 지점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해결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유원시설업에서 단일공간에 VR 시뮬레이터와 VR 게임이 동시에 설치될 경우 다중이용업소법에 따라 공간을 구획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해결책으로 유원시설업에 게임산업법 적용을 받는 청소년 게임장 또는 PC 방의 일정 면적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관광진흥법 시행규칙을 개정해야 하며 다중이용업소법에서도 칸막이 같은 공간 구획을 하지 않는 법령 개정도 동시에 진행해야한다. 이는 업종별 공간구획을 제거함으로써 제한된 공간 내에서 적용하던 안전기준을 통합된 안전 기준으로 총괄 관리함으로써 훨씬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는 기타유원시설업과 같은 소규모의 유원시설업에도 VR 시뮬레이터와 VR 게임이 동일 영업장에서 운영될 수 있는 법률 개정이다. 본 규제개선안은 소규모의 VR 테마파크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s of VR space to improve the regulations. The spac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multi-use business act when the VR simulator and the VR game are simultaneously installed in a single space.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ules of the Tourism Promotion Act so that it can operate at a certain area of the youth game room subject to the Game Industry Law. Amendments that do not compartmentalize a space partition in the Multi-use Business Act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This is safer alternative by collective management rather than by the safety applied within a limited space by eliminating the compartment by industry. This is a legal amendment that allows VR simulator and VR game to be operated in the same space even in small sized amusement facilities such as other amusement facilities. This regulatory improvement plan is expected to help the activation of small sized VR theme parks.

      • KCI등재

        책임게임시스템 기반 소셜 카지노 게임 정책 제언

        송승근,Song, Seung-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afety instrument to prepare the policy alternative for social web-board game which will be developed to base on social network in the future although social casino game is not available in Korea now. We reviewed several literature about responsible game system applied to especially U.S. New Jersey, responsible gambling system acted in the being advanced all countries. Game experts built up user protection model as previous work to prepare the law and policy which such a responsible game system will apply for current web-board gaem and future social casino game. As a resul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standard of judgement which can identify four kind of addiction danger user group are raised. We expect to help this user protection alternative to provide the law and policy instrument for future social casino game and complement the problem of current web-board enforcement. 소셜 카지노 게임은 현재 국내에서 허용되지는 않지만 향후 사회관계망을 기반으로 발전할 소셜웹보드 게임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필요한 안전장치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세계 선진 각국에서 시행하는 책임도박시스템 특히 미국 뉴저지법에 저촉을 받는 책임게임시스템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책임게임시스템이 현재의 웹보드 게임과 향후 생성될 소셜 카지노 게임에 적용할 법 제도 마련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이용자보호모델을 게임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수립하였다. 그 결과 4가지 과몰입 위험군을 식별 할 수 있는 판단 기준과 각각의 위험군에 대한 단계별 조치방법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이용자보호방안은 현재 웹보드 시행령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향후 소셜카지노게임을 위한 법 제도적인 도구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게임플레이 경험에 대한 게이머의 인지적 모형에 관한 실증적 접근

        송승근(Song, Seung-Keun) 한국게임학회 2009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플레이에 대한 게이머의 인지적 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게이머의 전문성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규명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대표적인 MMO(Massively Multi-player Online)게임에 해당하는 월드오브워크래프트 게임에 대한 실증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실험을 통해 구두조서와 행동조서를 수집하여 게이머의 전문성 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들은 정형화된 행동 패턴을 보인 반면 중급자와 초보자들의 경우 학습곡선과 특정행동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 하였다. 전문가들의 경우 게임 진행 초기 단계에서 수집과 같은 기능적인 행동이 집중된데 반하여 초보자들의 경우 게임 플레이 전반에 걸쳐 7가지 기능적인 행동(탐색, 전투, 3가지 유형의 수집, 회피, 대화)이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게이머의 전문성에 따른 그룹 간 비교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일관성과 차이점을 제시한다. 이는 MMO게임을 디자인 할때, 게임 초보자, 중급자, 전문가에 대한 디자인 지침을 제공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MMO게임을 디자인 할 때 초보자들에 대한 게임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uncover the gamers' cognitive process during the gameplay and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gamers' pla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ir expertise: experts, intermediate players, and novices. To this end, the empir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orld of Warcraft' game which is a good representative of MMO(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 currently. Verbal protocol and action protocol collected from the empirical experi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amers' expertis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different behavior patterns result from standardizing pattern of their actions for experts and forming the learning curves and the specific patterns of action for intermediate game players and novices. While three functional-actions as a collection action concentrates on the early stage of the game for experts, the novices' behavior pattern dispersedly appeared in all seven functional-action, such as search, combat, three type collections, avoid, and communication in the whole gameplay. This study represents the consistency and the difference derived from th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expertise. This study is concluded with key implications to support game design guidelines according to experts, intermediate players, and novices.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to the development of MMO content for game novices.

      • KCI등재

        소셜 게임플레이 행동패턴의 탐색적 접근

        송승근(Seung-Keu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게임플레이에 대한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과업의 상호의존적인 게임플레이 법칙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게임플레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과업의 상호의존적인 게임플레이에 적합한 게임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은 5명이 한 팀이 되는 파티를 구성하여 게임플레이를 실시하고 동시조서를 실시하며 플레이어들의 행동과 구두보고에 대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수집 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비디오 관찰과 구두조서를 분석하고 결합 시퀀스 모형 과제 분석법을 중심으로 객관적인 코딩스킴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플레이어의 행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가지 패턴과 4가지 변형된 패턴 총 8가지 행동패턴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5명의 게임플레이에 대한 통합형 행동그래프를 작성하여 협업이 적절한 지점과 잦은 실수와 실패가 발생한 지점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셜 게임플레이 행동그래프는 게임의 레벨 디자인과 밸런스 디자인이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실무 디자인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rule of gameplay related to the task interdependence to analyse the behavior pattern of social gameplay. Prev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gameplay were reviewed and game which was suitable for the gameplay of the task interdependence was selected. A party-play includes a team of five people in the experiment during the gameplay with think-aloud method and video/audio data about action protocol and verbal report were collected. The video observation and protoco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se data. The objective coding scheme were developed from consolidated sequence model task analysis. The players behavior was analysed. The result was revealed that four rules and four modified rules were included into the total eight behavior pattern. A behavior graph integrated with five gameplay was written. The excellent cooperative spot and error and failure place could be identified. The social gameplay behavior graph is expected to be the key practical design guideline on whether the level design and balance design are proper.

      • KCI등재

        플랫폼 액션 게임의 특징을 고려한 어포던스

        송승근(Seung-Keun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최근 HCI, 제품디자인, 인지과학 등에서 어포던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게임분야에서도 어포던스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여 게이머와 게임 시스템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의 HCI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사용편의성, 일관성, 유용성 측면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생태심리학에서 제시한 어포던스(Affordance: 행동유도성) 개념을 토대로 판타지, 다양성, 재미와 같은 게임의 특징을 고려한 어포던스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게임의 기본 장르인 액션게임에서 플랫폼 액션 장르의 게임을 대상으로 게임플레이 전 과정에 대한 Think aloud 방법을 적용하여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정 상태로서의 정지, 이동적 어포던스, 변형상태로서의 변형연속, 단일생성, 단일소멸 어포던스, 물리적, 인지적 어포던스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게임을 어떻게 디자인해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디자인 지침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A great many researches on affordance in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product design, and cognitive science has been done investigated currently. In addition, the concept of affordances has been applied to games in the incremental trying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rs and system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o apply them to games because many researchers take ease to use, consistency, and usefulness to handle mainly in HCI rather than the property of the game into account. Consequentl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ffordances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the game, such as fantasy, variety, and fun based on the concept of them suggested in ecological psychology. A protoco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think-aloud method on the full gameplay session to platform action game as the basic genre of many gam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veals that a static and movable affordances as a fixed state are discovered and transforming continously, appearing, and disappearing affordances as variable states are uncovered, and physical and cognitive affordances are observ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pose the essential design guideline on the methodology of gam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