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 디자인 대학 특성화 융합교과과정 및 확산 전략에 관한 연구 - 부산 D 대학교를 중심으로 -

        송만용(Song, Ma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이미 상수가 되어버린 지방대학의 위기를 진단하고 해법으로써 지방대학의 특성화의 방향과 확산 전략을 통해 디지털시대에 경쟁력 있는 지방대학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또한 지방대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지방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이 진행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모든 지방대학에서 달성된 지표는 현실에 나타나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대학과 지방대학의 차이는 줄어들지 않고 2022학년도 수시지원에서도 잘 알 수 있듯이 그 차이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지방대학은 “기울어진 운동장”었단 말인가?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생각의 차이를 제안하였다. 그 차이는 부산의 D대학의 〈히어로프로그램〉 등 국제화 프로그램에 의한 교육의 특성화와 소셜네트워크로써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다. 즉 선발된 인재를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인재로 만들어 글로벌적 동시성과 확장성을 얻는 방법이다. 즉 EBS와 코세라 등 기존의 교육 플랫폼 기업과 연계되어 세계적인 전문가를 디지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과 지방자치 단체 혹은 대학에서 교육 플랫폼을 공유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지역혁신 공익교육플랫폼에 교육 콘텐츠와 성과를 공개하고 지역산업과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새로운 산업환경을 열어 널리 알리고 나아간다면 지방대학의 위기는 기회가 되어 선호도와 성취도가 높은 특성화된 대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제안하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that have already become constants and to examine what is needed to become a competitive local university in the digital age through the direction and diffusion strategy of local universities. Thus, it was found that the local university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was continuously carried out to overcome the crisis of avoiding school due to the insatisfaction of school and employment. However, the indicators achieved in all local universities must appear in reality. Never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has not decreased, and as can be seen from the occasional support for the 2022 school year, the difference is increasing. So the local university was a “tilted playground”? Therefore,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thoughts were proposed. The difference is the specialization of education by internationalization programs such as 〈Hero Program〉 of D University in Busan and the use of digital platforms as a socialnetwork. In other words, by using digital media to obtain global simultaneity and scalability, global experts ar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platform companies such as Cocera, and an education platform formed and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or universities. Thus, it was suggested that if educational content and achievements are disclosed and local industries and ideas are shared to open a new industrial environment and promot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can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itself as a specialized school with higher preference and achievement.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대학 창의융합 교과목『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수업효과에 관한 연구

        송만용(Song, Man Yong),이주현(Lee, Ju Hyun),임은(Lim, Eun Song),장주영(Chang, Ju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2

        본 소고의 목적은 현재 부산 동서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수업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온 언텍트 시대로써 새로운 교육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적이면서도 미래적인 ‘역량’개념이 반영된 대학교양 창의성 교육에도 변화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도부터 실시되어온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을 점검하고 새로운 언텍트 시대에 맞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위하여 설문지에 의한 조사와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 수강생들은 비대면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출석과 수업 및 공지사항 확인에서 높은 성실함을 보여주었지만 과제 및 반복학습에서는 낮은 평가가 나왔다. 2) 현재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교과내용이 대면수업을 전제로 되어 있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부족한 점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3) 다만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이 추구하는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이해가 아직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였음에도 OECD의 DeSeCo 프로젝트와 2015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프로젝트 기반수업, 문제해결형 수업(PBL)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설문결과에서 창의성과 창의역량에 대한 수강생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의해 언택드시대에도『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교과의 필요성과 수업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of Design and Creative Idea (DCI)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Dongseo University in Busan. It is calling for a new way of education as an era of untext, which has come to be a necessity, not a choice. In addition, changes were also required in university-style creativity education, which reflected the concept of “competence” that is both present and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Design and Creative Ideas” that had been in place since 2015 and to conduct a survey and analysis by questionnaire to reflect on creativity education in the new era of untex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1) Despite the ‘non-face-to-face’ classes, the students showed high sincerity in attendance, class, and notice checking, but low evaluation was given in tasks and repetitive learning. 2) Currently, the curriculum contents of “Design and Creative Ideas” are based on the premise of face-to-face classes, indicating thatthere were many deficiencies in non-face-to-faceonline classes. 3)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pursued by “Design and Creative Ideas.” Thus, Design and Creative Ideas” showed that although it conducted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t was carrying out project-based classes and problem-solving classes (PBLs) required by the OECD’s DeSeCo project, 2015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need and effect of “design and creative ideas” classes in the unexpected era due to the increased awareness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necessity in creativity and creative competence.

      • KCI등재

        융합디자인 교과과정을 적용한 대학 교양 창의성교육 수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 동서대학교『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을 중심으로-

        송만용 ( Man Yong Song ),김수화 ( Sue Hwa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현재 많은 국내대학에서 창의성 및 융합과목을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융합과 창의성교육에 관한연구자들의 결과를 보면, 불만족을 표명하고 있다는점이 문제이다. 그 이유로는 현재 대학에서 개설하고있는 창의성과목 특히 교양과목은 대부분 글쓰기 중심의 교과를 들고 있다는 데 있다. 여기에 창의성 개발과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부산 사상구에 있는 D대학교에서는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교양필수 과목인 <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을 개설하게 되었다. 그 창의성개발 효과와 수업만족도의 결과가 본 연구이다. 이러한 본 소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1학년을 중심으로 공과대학 7개 학부 1042명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SAS(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 수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더불어 창의성 개발과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글쓰기와 함께 융합디자인적 시각적 사고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프로젝트형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타당함을 결론으로 얻을 수 있었다. The most commonly used words when describing educational contents in university today are "convergence" and "creativity". However, many of them failed to produce satisfactory results according to studies carried out on this subject. Most of these classes are rated as unsatisfactory. At University D in Sasang-gu, Busan, they introduced a class called "Design and Creative Thinking" as a required program in their curriculum and created a creativity subject with a focus on the visual thinking process. This study includes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benefits of this class. we conducted a survey and applied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project-based classes using both writing and visual thinking as a medium for learning is best suited for these subjects and it can help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reativity for students.

      • KCI등재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난 역설적 한(恨)의 공간학에 관한 연구

        송만용 ( Song Man-yong ),진열 ( Song Jin-yeul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0 No.-

        본 소고의 목적은 2019년 칸영화제의 대상을 받은 봉준호의 영화 <기생충>을 후기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으로 소외와 억압 그리고 체념에 의한 역설적 한의 공간학으로 살펴보자는 것이었다. <기생충>에서 보면, 방법은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자신이 처한 문제적 상황에 대한 해결보다는 두 가족 모두 박사장에게 기생하고 있다. 나아가 현재의 공간, 즉 반지하와 지하공간을 유지하고픈 나약하고 역설적인 상황에 처해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대비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문제적 영화라고 생각한다. 특히 <기생충>의 공간은 ‘사회적 고립감’과 ‘가치 소격감(疏隔感) 즉 “유의미한 가치나 공통목표의 상실감”감으로 인하여 희망이 아닌 기생만이 체념과 순응-선, 리스펙드-만이 있는 은폐와 도피 그리고 자기 방어적 기제의 유머라는 한국사회의 역설적 한의 개념이 있을 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봉준호의 영화는 영화적 결말을 넘어서는 하나의 텍스트로써 담론을 생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봉준호의 <기생충>에서 지하공간은 한국의 현실과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미장센의 주요 공간으로 장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ong Jun-ho's film < Parasite >, which was ‘Palme d'Or, Golden Palm’of the Cannes Film Festival in 2019, as a text theory of late Roland Barthes, with paradoxical spatialism by alienation, oppression and resignation. In Parasites, the space of < parasite > has paradoxical concept of ‘Han' in Korean society, which is 'social isolation' and 'value sense of disregard', that is, 'loss of meaningful value or common goal', that is, 'concealment and escape with only resignation, conformity-good, and esteem-man' and humor of self-defense mechanism. So Bong Jun-ho's film is creating discourse as a text beyond the cinematic end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nderground space in < Parasite > of Bong Jun-Ho acts as a place as the main space of Mise-en-scene that creates the reality and atmosphere of Korea.

      • KCI등재

        공공미술의 게슈탈트 미술치료 치유과정에 관한 연구 - `CPTED`를 중심으로 -

        송만용 ( Song Man-y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소고는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 미흡했던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프로세스와 `염리동 소금길 프로젝트`와 부산 `덕포동 CPTED 프로젝트`를 통해 트라우마 치유방법보다 게슈탈트 미술치료적 방법이 공공미술이 사회적 기능으로써 치유의 기능을 더 잘 밝힐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미술작품을 매개로 “알아차림”과 “접촉”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지금-여기`라는 현재에서 출발하여 과거와 현재가 소통하여 미해결의 과제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의미 있는 삶의 전체를 회복하길 유도하는 `반복회귀`의 방법론임을 알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미술치료사와 작가의 공동작업인 예비적 단계가 강조된 `치유적 감상의 단계`를 제안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CPTED 프로젝트 등 공공미술의 치유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트라우마 치료의 방법이 아닌 게슈탈트 미술치료의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합당한 방법임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a study about social function of public art as therapy". In previous study, it contemplated on the limitation of public art, in other words, it proposed public art reflecting therapeutic process called "awareness-contact" which is Gestalt therapy method from the public art which satisfies not only the artists, local resident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However, the study regarding what represents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or the process is insufficient. Therefore, found it can be connected to placeness emphasis of public art, and revised the process by Jeong Gyu Kim`s 1) theme discovery 2) exploring background 3) application to conversational relationship 4) here-now suitable to this study. Thu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condition to create meaningful public art suitable for local residents, environment and placeness, and furth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Gestalt therapy to communication of public art.

      • KCI등재

        봉준호의 〈기생충〉에 나타난 장르적 융합과 창의성

        송만용(Song, Ma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소고는 2019년 “칸 영화제 Cannes Film Festival” 황금종려상수상과 미국 “아카데미상 4개(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부분 수상한, 영화 〈기생충〉의 장르적 융합과 변용 그리고 창의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영어권 영화가 칸과 미국의 아카데미상을 수상할 수 있는 이유를 살펴볼 의미있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생충〉은 먼저 가장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 즉 반지하라는 이국적 공간을 통해 서구사회에서 친숙한 “빈부갈등”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전체적으로는 서스펜스적 스릴러인 〈기생충〉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적 단초인 하마르티아와 봉준호식 유머를 섞어내어 국제적인 호응을 얻어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생충〉은 도입부에 IPtime, 유튜브 등 시대적 공감 아이템을 사용하여 국제적인 동시성과 소통성을 확보한 영화임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봉준호의 〈기생충〉은 구로자와 아키라, 알프리트 히치콕 등의 거장의 스릴러적 장르방식을 따르면서도 장르적 융합과 변용, 즉 비극적 구성과 블랙코미디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동시대 미디어적 아이템을 사용한 창의적인 영화이면서 2020년 한국사회의 모순적 단면을 넘어 글로벌적 보편성을 담고 있는 문제적 영화임을 알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의식과 장르적 요소의 결합으로 소위 봉준호식 장르를 만든 창의성을 볼 수 있다. This article will study Bong Joon-ho’s film 〈Parasite〉, which won the Palme d’Or, Golden Palm, 2019 Cannes Film Festival, and four Academy Awards (Article, Director, Screenplay, and International film awards). The reason why 〈Parasite〉 could win the Academy Award for changes in the academy and non-English films was to be considered through English subtitles, genre convergence and dissolution. Therefore, I think it is a meaningful work to examine the reasons why non-English-speaking films can win the Academy Awards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Parasite〉 can summarize the genre transformation and creativity in two point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exotic space of our own world, the theme of “the rich and poor” familiar in Western society was set, and the suspense-like thriller and black comedy were introduced, and Bong Joon-ho-sik humor was mixed and international response was obtained. Next, I learned that it has a familiar tragic structure, a Hamartian composition. Finally, I found out that 〈Parasite〉 is a film that secures international synchronicity and communication by using contemporary sympathetic items such as IPtime and YouTube in the introduction, despite the most Korean situation. Therefore, Bong Joon-ho’s “Parasite” is a creative film that follows the genre style of master craftsmen such as ’Akira Kurozawa’ and ‘Hitchcock Alfred’... and it is a problematic film that contains contradictory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2020’s.

      • 감성디자인의 의미전달 구조에 관한 연구

        송만용 ( Man Yong Song ),최경재 ( Koung Jae Choi ) 한국감성과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Vol.2007 No.-

        현대의 디자인에서 가장 주목할 특징은 Convergence, 즉 융합적 사고 전개이며 그 외적형식이 감성디자인이다. 즉 감성의 지표인 니즈를 통하여 디지인 기획단계에서부터 최종 소비까지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총체적 메카니즘을 말한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은 감성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 감성은 직관적이지만 모호한 것이었다. 그러나 학제간의 연구성과에 힘입어 감성은 이성의 상반적 개념으로 지각, 쾌감과 감정을 외연으로 갖으면서 인간지성을 매개하는 심의의 능력인 것이다. 이때 감성은 니즈의 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평균값이 아니라 기호해석의 구조적 강제성에 의하여 보편성을 획득하게 되어 실천적 행위로써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쳐 다시 감성의 출발지인 소비자에로 이행하는 순환적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인 감성디자인의 의미전달의 구조이다.

      • SCOPUSKCI등재

        측두하악관절에 발생한 색소성 융모결절성 활막염(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의 영상진단

        송만용,이경희,이상철,이삼선,최순철,박태원,유동수,Song Man-Yong,Lee Kyung-Hee,Lee Sang-Chul,Lee Sam-Sun,Choi Soon-Chul,Park Tae-Won,You Dong-Soo 대한영상치의학회 1998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28 No.2

        The occurrence of PVNS in the TMJ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PVNS which was misdiagnosed as a parotid tumor at first. CT and conventional radiograph revealed a well defined mass demonstrating higher attenuation than adjacent soft tissue. Erosion and expansion of the cortical plate of the mandibular condyle and sclerotic change beneath the margin of the lesion were also shown. MRI demonstrated well defined mass of very low signal intensity on both Tl and T2-weighted images due to ferromagnetic effect of the high concentrated hemosiderin and clearly delineated the extent of the lesion. Histopathologic findings and characteristic appearance of the various imaging methods were described and the usefulness of these images for diagnosis and pretreatment evaluation of PV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루이스부르주아 (Louise Bourgeois)의 바느질과 드로잉에서 나타난 자기치유적 미술치료 연구

        이주연 ( Joo Yun Lee ),송만용 ( Man Yong Song ),이창근 ( Chang Gun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1 No.-

        미술치료는 정신의학과 관련된 심리치료로써 보이지 않는 마음의 병을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현상을 진단하고 치유되고자 하는 학문이다. 그래서 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을 통하여 진단하고 평가하여 환자로 하여금 개인이 가진 갈등을 조정하고 스스로를 통찰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자는 현대 미술치료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정신분석이 아닌 실존주의, 현상학을 배경으로 한 게슈탈트 이론을 통해 루이스 부르주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 활동에서 `자기치유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왜냐하면 부르주아의 작품활동들은 자신의 감정표출을 통한 알아차림-접촉이며 말년의 작업인 바느질과 드로잉은 스스로의 자기치유이며 게슈탈트의 완결이기 때문이다. 또한 내면의 갈등을 조정하고 통합하여 작가의 심경의 변화를 나타낸 말년의 작업인 바느질과 드로잉 작업을 게슈탈트 이론과 연관 지어 분석하여 루이스 부르주아에게 있어 바느질과 드로잉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 예술 활동을 통한 자기 치유적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르주아는 조각과 차갑고 딱딱한 오브제를 이용한 설치미술을 통해 억압된 감정을 분출하고 과거의 기억을 재인식하였고, 이후의 바느질 작업은 조각 천을 이어 붙이는 작업으로 자신의 상처 난 마음들을 이어 붙이고, 깨어진 아버지와의 관계를 이어 붙였다. 즉 용서와 치유, 회복의 작업인 것이다. There are many things in common betwee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rhetoric because they both deliver meanings and seek for the method for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Today, according to the field of rhetoric is expanded, rhetoric has new analysis and it is applied to many other fields such as advertisement, cinema, music and various field of design. The basic desig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pect for the students who study design because students should learn the method from the class to solve the design problems for the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logical thinking process. Rhetoric thinking process and the methodology of rhetoric expression can help the students to solve the design problem and their idea developing process. Therefore, the study of rhetoric visual thinking and rhetoric expression is significantly necessary area for the effective design education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ield. The study aims at the research of design education process through the rhetoric with the calendar assignment.

      • 초등학교 외관 색상 면적에 관한 색상인상 테스트

        최경재(Choi Koung Jae),송만용(Song Man Yong),이동훈(Lee Dong Hoon),이성필(Lee Seong Pil) 한국지역사회연구소 2007 지역사회 Vol.56 No.-

        본 연구는 아동들이 선호하는 색상을 초등학교의 사용시 과연 현재 적용되고 있는 색상과 이론적 배경에서의 색상이론이 면적대비에 상응하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VR-Test를 통하여 아동의 색채선호 색상이 건물외벽에 적용시 면적효과에 따라 색채선호도 변화량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