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서예문화 교류와 조선 서예의 대외적 위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손한빈(Son, Han-Bin) 한국서예학회 2021 서예학연구 Vol.38 No.-

        본고는 16세에 내조한 명 사신들의 서예 관련 활동과 조선 문인들과의 교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에서 발견된 여러 특이점을 통해 의의를 고찰하였다. 16세기의 서예문화 교류는 대부분 사행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조선 사행단은 명나라로 넘어가 그곳의 문인들과 서예문화 교류를 행하였고, 명나라 사신들은 조선으로 와 조선의 문인들과 서예문화 교류를 행하였다. 명나라 사신들은 조선 문인들과 서예 작품이나 각종 서예 관련 물품들을 선물로 주고받았다. 조선 측 인사들은 명 사신들에게 주로 서예작품이나 문방사우를 선물하였고, 역으로 명 사신들 또한 현판 글씨나 문집 및 그림의 제발을 썼으며 법첩과 같은 서예 관련 물품들을 조선 측에 선물하였다. 명 사신들은 조선의 글씨와 물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글씨에 있어서는 한호의 서예가 여러 문인들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서예 물품으로는 문방사우 모두가 명 사신이나 명나라 여러 인물들로부터 애호의 대상이 되었다. 정리하면, 16세기 조선의 서예문화는 우수성과 국제적 보편성을 두루 갖추고 있었으며, 대외적 위상이 높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calligraphy-related activities of famous priests and exchanges with Joseon writers who were introduced at the age of 16 and considered the significance through various peculiarities found in the contents. Most of the calligraphy culture exchanges in the 16th century were carried out through private affairs. The Joseon legation moved to Ming to exchange calligraphy culture with its writers, and the Ming envoys came to Joseon to exchange calligraphy culture with Joseon s writers. The Ming envoys exchanged calligraphic works and other calligraphic items with Joseon writers as gifts. Joseon officials mainly presented calligraphic works or literature to the deities, while the deities also wrote requests for Hyeonpan,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and presented calligraphic items such as the book of law to Joseon. The envoys gave a positive assessment of Joseon s writing and material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Hanho s calligraphy was well received by many writers, and as a calligraphic article, all Munhwae-woo became a favorite of celebrities and figures from the Ming Dynasty. In summary, Joseon s calligraphy culture in the 16th century had both excellence and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had a high external status.

      • KCI등재

        사명대사 유정 서예 연구

        손한빈(Son, Han-Bin) 한국서예학회 2021 서예학연구 Vol.39 No.-

        사명대사(四溟大師) 유정(惟政, 1544-1610)은 밀양 출생으로 서산대사의 제자이다. 임진왜란 시기 승병을 이끌고 왜군에 맞서 싸웠으며 적장에 비범함을 나타내는 등 여러 일화를 남겨 구국의 승장이라 일컬어진다. 그는 왜란 중 진행된 서생포 강화회담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였고, 왜란 후 일본에서 진행된 강화회담에도 탐적사로서 일본에 건너가 강화회담을 잘 마쳤을 뿐만 아니라 포로를 송환하는 공을 세웠다. 이를 통해 그의 비범함과 외교력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명대사는 선서(善書) 즉, 글씨에도 능하였는데 현존하는 유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의 필적이라 전해지는 유묵은 국내와 일본에 소장되어 있다. 국내의 유묵은 박물관, 절, 개인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있고 일본 내 유묵은 고쇼지(興聖寺)와 혼묘지(本妙寺) 등에 소장되어 있다. 고쇼지의 사명대사 유묵 5점은 최근 국내에서 전시된 바 있고, 혼묘지의 유물들은 화재로 인해 많이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다행히도 네다섯 점이 남아있다. 사명대사의 서예는 해서, 행초서만이 남아 있으며 예서와 전서 유묵은 볼 수 없다. 이는 예서와 전서의 서사가 적었던 당시의 서예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 같다. 사명대사의 해서는 당시 조선에서 유행한 유려한 조맹부체의 자태가 아니라 꾸밈이 없고 담담한 자태이다. 행초서에서는 해서와 같은 담담한 초서, 유려한 초서, 일필초서, 선기(禪氣)가 체현된 선필초서 등 다양한 풍격을 확인할 수 있다. 사명대사의 유묵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다. 사명대사 개인의 불교적 인식과 서예적 재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써, 16·17세기 한국서예사 및 한·일 문화교류사 연구의 사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명대사가 한국서예사의 중요 위치에 있음을 인식하고 사명대사의 필적이라 전해지는 유묵을 한데 모아 정리한 후 간결하게 살펴보았다. 끝으로 사명대사 서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힌다. Yu Jeong(1544-1610) was born in Miryang and is a student of Seosa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led the Japanese soldiers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and left many anecdotes indicating his extraordinary enemy. He also attended the Seosaengpo Peace Conference during the Japanese War as a representative of Joseon, and after the Japanese War, he went to Japan as a missionary to complete the peace talks and repatriated prisoners. This shows his diplomatic prowess and extraordinaryness. These missionary lines were also good at writing, which can be found through existing texts. His remains are housed in Korea and Japan,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s old museums, temples, and individuals, and in the old Koshōji and Tomb sites in Japan. Five pieces of Goshoji s missionary ambassadors have recently been displayed in Korea, and the cemetery is believed to have lost a lot of his remains due to the fire, but fortunately, there are four or five pieces left. Only Haengchoseo remains in the calligraphy of the Ambassador Samyeong, but you cannot see the history of Yeseo and Jeonseo. Ambassador Samyeong is not a graceful figure of Jo Maengbu, but a plain and calm figure. In Haengchoseo, you can see various styles such as calm Chaucer, flexible Chaucer, and Seon-pil Chaucer with Seon-gi.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issionary ambassador has many meanings. It can be used as a source for the study of Korean calligraphers and Korean-Japanese cultural exchange history in the 16th century as a material to identify the individual s Buddhist perception and calligraphy talents.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at Ambassador Sammyung is in an important position of Korean calligrapher, and indicates that research on calligraphy should continue.

      • KCI등재

        15-16세기 송명이학 서적의 유입과 서예적 체현에 관한 연구

        손한빈 ( Son Han Bi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0 No.-

        조선은 명나라와 같이 성리학을 관학으로 채택하였고, 그러한 공통점과 성리학적 관념 위에서, 조선은 국초에 명나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많은 도움 중 하나가 바로 ‘서적’이다. 15세기의 조선은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고 국가의 기틀을 형성하고자 역사, 철학, 법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필요로 하였다. 그리하여 명나라에 적극적으로 서적을 요청하였고, 결국 『性理大全』과 『朱子語類大全』등의 송명이학 서적을 얻을 수 있었다. 서적 습득을 위한 노력은 16세기에도 이어졌다. 성리학을 연구한 사림세력이 주요 정치세력이 되자, 그들이 至治主義 실현을 위한 방도로써 서적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사림세력은 자신들의 정치적 이념에 의해 송명이학 서적을 구득하였고, 결국 『朱子大全』과 『朱子語類』 등의 여러 송명이학 서적이 조선으로 유입되었다. 전대에 이어 많은 양의 송명이학 서적이 조선으로 유입되자, 조선 문인들은 자연스레 송명이학을 깊게 연구하였다. 서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수록, 문인들은 서적에 기록된 송명이학자들의 미학적 저술과 서론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바꿔 말하면, 연구의 깊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국가의 안정을 위해 서적을 막 수집하기 시작한 15세기는 송명이학 서예사조의 시작기라고 할 수 있으며, 성리학을 주된 연구 과제로 삼는 사림세력이 주요 정치세력이 된 16세기는 송명이학 서예사조의 심화기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15세기와 16세기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을까. 우선 15-16세기의 문인들이 송명이학에 입각해 서예를 인식 및 비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5세기 문인인 하위지와 신은윤은 송명이학 특히 정주이학적 서예관에 입각해 단종과 성종에게 가르침을 전하였는데, 송명이학적 사유에 입각해 서예를 인식 및 비평한 사례이다. 16세기에 들어서자 송명이학적 사유에 근거한 서예관을 가진 문인들이 이전보다 많아졌고, 서예관 또한 이전보다 확립되었다. 나아가 그들은 송명이학에 근거하여 서예를 인식하고 비평하는 수준을 넘어, 서예 창작으로도 그 체현을 확장시켰다. 정리하면, 15-16세기에 송명이학 서적이 유입됨에 따라, 문인들의 서예관이 송명이학적 사유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Joseon adopted Neo-Confucianism as its official study, and on the basis of its common and Neo-Confucian notions, Joseon was able to receive a lot of help from the Ming Dynasty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One of the many help was "Books." In the 15th century, Joseon needed book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history, philosophy, legislation, and politics, to establish a centralized regime and form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Therefore, he actively requested books from the Ming Dynasty, and eventually he was able to obtain Songmyeonghak books such as 『性理大全』 and 『朱子語類大全』. Efforts to acquire books continued into the 16th century. This is because the people who studied Neo-Confucianism became the main political force, and they valued books as a way to realize their leadership. The Sareemites acquired Songmyeonghak books based on their political ideology, and eventually several Songmyeonghak books, such as 『朱子大全』 and 『朱子語類』, were introduced to Joseon. Following the tradition, a large amount of Songmyeonghak books flowed into Joseon, and Joseon writers naturally studied Songmyeonghak. As the study of books progressed, writers were influenced by the aesthetic writings and introductions of transcriptional scholars recorded in them. In other words, differences occur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study. The 15th century, when books were just started to be collected for national stability, is the beginning of Songmyeonghak Calligraphy, and the 16th century, when the people who made Neo-Confucianism a major political force, is the deepening of Songmyeonghak Calligraphy. S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writers of the 15th-16th century recognized and criticized calligraphy based on Songmyeongology. Haji and Shin Eun-yoon, writers of the 15th century, taught King Danjong and King Seongjong based on Song Myeong-hak, especially Jeong Ju-yi, which are examples of recognizing and criticizing calligraphy based on Song Myeong-hak's reasons. By the 16th century, there were more writers with calligraphy halls based on Songmyeongological reasons than before, and calligraphy halls were also established than before. Furthermore, they went beyond recognizing and criticizing calligraphy on the basis of transcriptional medicine, and expanded their presentation to calligraphy creation. In summary, the introduction of Songmyeonghak books in the 15th-16th century led to the influence of the calligraphic reasons for calligraphy of writers.

      • KCI등재

        한국 서예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정책방향 제안 - 서예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기관 및 단체를 중심으로 -

        손한빈 ( Son Han Bin ),이재우 ( Lee Jae Wo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1 No.-

        본 논문은 한국 서예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조사 대상은 서예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및 지원하는 기관 및 단체로 선정하였고, 조사 대상의 시간적 범위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로 한정하였다. 조사대상은 정부와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 아르코, 아르떼, 문화재단, 광역 시·도 문화원 연합회 또는 17개 행정구역 소재의 시도문화원, 비엔날레와 협회 등 총 468곳을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방법은 비확률표집방법 중, 연구목적에 따른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21년 1월 10일부터 2월 28일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및 범위는 총 468곳이었으나,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기관 279곳을 제외하여 총 189곳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정부는 기관 및 단체의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있으며, 박물관은 최근 16곳에서 서예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수강대상과 교육내용이 다양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아르떼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라는 지원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8개의 기관 및 단체가 아동·청소년을 위한 서예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문화재단과 시도문화원은 많은 수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게 장점이며, 대부분이 쓰기위주의 수업이라는 게 큰 한계이다. 협회로는 한국서예협회가 뉴질랜드 한국교육원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 서예반을 운영하여, 한글 서예 보급과 세계화를 선도하고 있다. 서예 교육프로그램 정책방향은 총 3가지로 제안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내용적 차별성 파악, 프로그램의 환류절차 도입, 학습자 입장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지속가능성 보장이다.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성과축적이 필요하고, 수업내용에 대한 환류절차가 구축되어야 하며, 미래를 위해 서예교육 프로그램 개발방법과 절차, 형식 또한 달라져야한다. 이렇게 된다면 서예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담보와 지속가능성이 보장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s and propose policy directions. First of all,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at operate and support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s, and the time range of the survey was limited from January 1, 2018 to February 28, 2021. A total of 468 places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including the government, national and public museums and art galleries, Arco, Arte, Cultural Foundation,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ial Cultural Center, and Biennales and Associations in 17 administrative districts. Among the non-probability table collection method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research purposes was used, and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February 28, 2021. A total of 468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surveyed, but a total of 189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luding 279 institutions deemed insincere or unreliable. The government supports the operation of programs b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nd the museum has recently operated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s in 16 places, and its great advantage is that it has various subjects and contents of education. Arte is in the process of a support project called "Dream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has led eigh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o run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teenagers. The advantage of the Cultural Foundation and the City Cultural Center is that a large number of programs are running, and most of them are writing-oriented classes. As an association, the Korean Calligraphy Association runs a Hangul Calligraphy class for locals at the Korean Education Center in New Zealand, leading the distribution of Hangul calligraphy and globalization. A total of three policy directions for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Identification of content differentiation in program development, introduction of program reflux procedures, program development from a learner's perspective and sustainability guarantee. Performance accumulation is needed to be differentiated in program development, reflux procedures for class cont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ethods, procedures and formats should also be changed for the future. This would ensure the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 the calligraphy education programme.

      • 프레임 보간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인페이팅 기술의 시간적 연속성 강화 방법

        이상진(Sangjin Lee),손한빈(Hanbin Son),박창현(Changhyun Park),이상윤(Sangyoun Lee)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동영상 인페이팅 기술로 생성되는 영상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시간적인 연속성을 강화 방법을 제안한다. 동영상에서의 인페이팅 기술은 정지 영상과 다르게 프레임 간의 시간적 연속성이 중요하다. 프레임 간의 시간적 연속성이 낮으면 생성된 영상에 플리커링 등의 노이즈가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전에 학습한 프레임 보간 모델을 이용한 손실함수를 통해 시간적 연속성을 강화한다. 시간적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간 축으로 잘려진 단면을 분석하였고 제안 방법에서 시간 축 상으로 연속성이 향상되어 노이즈가 줄어듦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