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대교량에서의 비상대응 계획을 위한 재난 유형별 연구

        손영효,김현준,홍성남,박선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In this paper, the strategy for disaster response on the long span bridge was developed. It is divided into risk analysis, business impact analysis, emergency response plan, business continuity plan. At the risk analysis stage, critical risk was estimated. Critical risk was the car accident. Critical process by critical risk classification was assessed at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stage. Critical process was the task about road conditions and traffic safety. By use of the precedent analysis, emergency response plan and business continuity plan were established. Making clear the order of each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the effective plan for dealing with disaster was came up with. Finally, the prototype of softwa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stone of disaster response guideline based on IT, and it has a significance that computerized the disaster response plan to improve accessability of the plan.

      • KCI등재

        목욕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손영효,정현애,박제모,김희동,황도연,이지훈,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2

        목적 : 본 연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편의성, 업무효율성, 안전성 증진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성 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과 이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목욕서비스 제공자는 광역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 요양보호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와 전문가집단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 로토타입을 사용하였다. 사전평가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Visual Analogue Scale(VAS)를 하였으며, 사후평가로 REBA, VAS,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K-QUEST 2.0), 사용자의 주관적 의견을 설문조사하였다. 사용 전후의 REBA와 VAS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 관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분석을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을 사용 후 평가결과, 2가지 자세(목욕용품 사용, 샤워기 사용)에 서 측정되었던 REBA 조치수준이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되었다. 통증 정도는 보조기기 사용 후 팔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감소되었으며 전체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 후 만족도 에서는 규격과 무게를 제외한 6개 항목에서 ‘보통’으로 나타났다. 사용 전·후에 따른 종속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 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의성, 효율성, 안전성도 증진시킬 수 있는 보조기기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고 예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for the bathing service provider that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and increase their convenience and safety. Methods: The prototype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was developed after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bathing service providers and experts. The subjects were 24 caregivers and nursing care workers in rehabilitation hospital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REBA, VAS, K-QUEST 2.0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as well as subjective opinions of users after using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Results: The result of REBA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using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revealed that the action level was reduced from ‘high’ to ‘low’. Pain levels were lower in all items excepts for arms. There showed a significance in mean scores. K-QUEST score was found to be ‘normal’ in 6 items except dimension and weight. There showed no higher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al design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presented after adopting subjects’ opinion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n valuable device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bath service providers and increase their convenience, task performance, and safety as well.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목욕의자 개발 및 평가

        손영효,백지영,정현애,김희동,박제모,황도연,이지훈,송종운,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5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목욕 활동의 효율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목 욕의자 개발과 이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뇌졸중환자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한 목욕의자 프로 토타입을 사용하였다. 평가도구는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설문(사용성 평가, 개방형설 문),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K-QUEST 2.0)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전·후에 대해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전·후 평과결과, 목욕용품사용과 샤워기사용 자세에 대한 REBA의 조 치수준이 ‘높음’에서 각각 ‘보통’과 ‘낮음’으로 낮아졌으며, 사용성 평가항목인 편리성은 ‘적절’, 그 외 7개 항목에서는 ‘보통’, 사용 후 만족도는 효과성에서 ‘만족’, 그 외 7개 항목에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을 제시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욕의자가 뇌졸중 환자의 목욕활동에 대한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효과 적일뿐만 아니라 신체적 부담도 줄일 수 있는 보조기로서 역할을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th chair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rehabilitation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As a research tool, a bath chair prototype was developed based on a Delphi survey and subjective opinions from the subjects. 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questionnaire (usability assessment and open questionnaire), and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K-QUEST 2.0)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As a statistical analysis, a t-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bath chair prototype. Results: As the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using the bath chair prototype indicate, the REBA levels of action regarding the use of bath ware and a showerhead are lowered from ‘high’ to ‘normal’ and ‘low,’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usability test, convenience was considered to be ‘proper’ and seven other items expressed values of ‘normal’. In addition, the prototype was deemed ‘satisfactory’ in terms of effectiveness, whereas seven other indicators showed a level of ‘normal’. Conclusion: The bath chair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not only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bathing activity of stroke patients but also to serve as an assistive device to reduce their physical burde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목욕의자 개발 및 평가

        손영효,백지영,정현애,김희동,박제모,황도연,이지훈,송종운,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th chair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theconvenience and safety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rehabilitation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As aresearch tool, a bath chair prototype was developed based on a Delphi survey and subjective opinions from thesubjects. 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questionnaire (usability assessment and open questionnaire),and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K-QUEST 2.0) were usedas assessment tools. As a statistical analysis, a t-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bath chairprototype. Results: As the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using the bath chair prototype indicate, the REBA levels of actionregarding the use of bath ware and a showerhead are lowered from ‘high’ to ‘normal’ and ‘low,’ respectively. Inaddition, in the usability test, convenience was considered to be ‘proper’ and seven other items expressed valuesof ‘normal’. In addition, the prototype was deemed ‘satisfactory’ in terms of effectiveness, whereas seven otherindicators showed a level of ‘normal’. Conclusion: The bath chair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not only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bathing activity of stroke patients but also to serve as an assistive device to reducetheir physical burden.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목욕 활동의 효율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목욕의자 개발과 이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서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뇌졸중환자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였다. 평가도구는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설문(사용성 평가, 개방형설문),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 (K-QUEST2.0)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으로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전·후에 대해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목욕의자 프로토타입 사용 전·후 평과결과, 목욕용품사용과 샤워기사용 자세에 대한 REBA의 조치수준이 ‘높음’에서 각각 ‘보통’과 ‘낮음’으로 낮아졌으며, 사용성 평가항목인 편리성은 ‘적절’, 그 외 7개항목에서는 ‘보통’, 사용 후 만족도는 효과성에서 ‘만족’, 그 외 7개 항목에서는 ‘보통’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욕의자가 뇌졸중 환자의 목욕활동에 대한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일뿐만 아니라 신체적 부담도 줄일 수 있는 보조기로서 역할을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손영효(Young-Hyo Son),김승일(Seung-Il Kim),정화식(Hwa-Shik Jung),박수희(Soo-Hee Park),정현애(Hyun-Ae Ch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10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 the task‐oriented imagination train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have on the function of upper limb and their daily activities(: ADL).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mposed of 30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over three months of ailment history, with each group composed of 15 pati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group was subjected to the task ‐oriented training and the imagination training at the same time, while the control group was subjected to the task‐oriented training only. All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for 5 times per week over the period of 8 weeks and 3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monitor the changes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MFT and OPTIMAL were employed for the upper limb function while the MBI was employed for the ADL to measure the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pectively, with the results shown below. As a result, MFT, OPTIMAL and MB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 group. And Mental practice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상상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3개월 이상 경과된 만성 뇌졸중환자 3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15명씩 분배하였다. 실험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과 상상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과제 지향적 훈련만을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는 8주간 주5회 회30분씩 시행되었다. 중재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상지 기능은 MFT, OPTIMAL을, 일상생활활동은 MB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보였으며(p<.001), 실험군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파괴 및 비파괴 검사 기법을 이용한 LNG 저장탱크 외조의 열화 및 성능평가

        김현준,손영효,이상승,김태완,박선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The demand of LNG (Liquefied Natural Gas), an environment-friendly fuel expedient,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its first import in the 1980’s. Due to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safety issue is primary with LNG storage facilities. However, it has rarely been studied on the maintenance of LNG storage tank’s cover, which is a composed of concrete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damage detection of LNG storage tank cover is evaluated using structural diagnostic techniques : non destructive inspection techniques such as macrography, hammer sounding, schmidt hammer, ultrasonic velocity test, etc. This is frequently used for structural diagnostics.

      • KCI등재

        초박층 교면포장용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김현준,손영효,한범진,정지은,박선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 중인 초박층 교면포장용 폴리설파이드 에폭시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로의 적용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바인더와 폴리머 콘크리트의 배합실험을 통해 폴리머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합비율로 생산된 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 휨, 부착 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강도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동결 융해 저항성 시험을 통해 폴리머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강도 시험 결과, 우수한 강도 성능과 휨 추종성을 나타내었고 미국콘크리트학회에서 제시하는 모든 강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또한 다양한 온도에서의 강도 시험에서도 기존의 재료에 비하여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었다. 동결 융해 시험 및 동결 융해 과정을 거친 시편의 강도 시험 결과, 폴리머 콘크리트의 내구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폴리머 콘크리트는 초박층 교면포장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민감성도 개선되어 기존의 초박층 교면포장 재료에 비해 폭 넓은 적용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physical properties of polysulfide epoxy polymer concrete for ultra-thin bridge deck pavement, and improve domestic applicability. With the optimum mix ratio determined from mixing experiments of polymer concretes, compressive, flexural, and bond strength were tested to identify its strength properties along with the freezing-thawing resistance test to evaluate its durability in harsh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tested polymer concrete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in strength and deflection characteristic and all tested strength satisfied the criteria of American Concrete Institute. Moreover, it had better performance under variable temperatures comparing to other existing pavement materials. By the results of freezing-thawing resistance test and strength measurement for specimens underwent the freezing-thawing process,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no such problem to the concrete's durability. I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polymer concrete in this research has appropriate properties for use in ultra-thin pavement on bridge deck, and moreover it has superior applicability in comparison with former materials due to its improved temperature sensitivity.

      • KCI등재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박제모,김희동,황도연,손영효,최요한,김혜미,이의진,배성환,배성진,장연식,남영옥,양경옥,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뇌졸중 이후 우세손이 마비된 경우 기능회복 정도가 비우세손의 손상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관측이 존 재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부족하기 때문에 후향적 코호트 조사를 통해 우세손의 마비 유무에 따른 기능회복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5개 의료기관에서 1차 대상자(n=205)를 모집한 후 일반적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 적용된 평가도구 등을 조사하고 발병일에서 초기평가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내인 2차 대상자(n=122)를 선 별하여 평가기록 자료를 수집하였다. 적용된 평가도구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6개의 평가도구를 선정 하였다(Modified Barthel Index; MBI, Maunual Function Test; MFT, Hand Strength Test; HST, Nine-Hole Pegboard test; NH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Box and Block Test; BBT). 평가기록은 평가기간(초기, 3개월 후, 6개월 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 하였다. 결과 : HST, NHP, BBT에서 우세손 마비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p<.001), MBI는 평가기간에 따른 차이만(p<.05) 보였으며 우세손 마비유무와 평가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p>.05). 우세 손 마비 환자의 HST(lateral pinch, palmar pinch)와 BBT의 변화량은 비우세손 마비 환자보다 유의한 차이(p<.05)로 더 높았지만 그 외 평가결과에서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추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한다. Objective: There has been observed that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is higher than non-dominant hand if the dominant hand paralyzed after a stroke. In Korean research contex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conducted on this issue. This study has therefore tried to explore the changes in functional recovery due to dominant hand paralysis by using a retrospective cohort survey to provide information to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After recruiting primary subjects(n=205) from five medical institutions, we investigate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applied evaluation tools. Subjects who have admitted from onset to initial evaluation within 6 months were excluded.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econdary subjects(n=122). Six evaluation tools(Modified Barthel Index, Maunual Function Test, Hand Strength Test, Nine-Hole Pegboard Tes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ox and Block Test) were selec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assessment tool applied to the secondary subjects. Results: The assessment results of HST, NHP and BBT(p<.001) along with assessment period in MBI(p<.05)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and assessment period. The changes on the assessment value of HST and BBT showed that the paralyzed dominant hand group was high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an the non-dominant hand group. Conclus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variou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hemiplegic patients due to strok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