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SU 통신 및 딥러닝 기반 최적화 차량 라우팅 시스템 설계

        수락(Su-Rak Son),이병관(Byung-Kwan Lee),손권(Son-Kweon Sim),정이나(Yi-Na Jeo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2

        현재 자율주행 차량 시장은 3레벨 자율주행 차량의 상용화를 넘어 4레벨 자율주행 차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4레벨 자율주행 차량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차량의 안정성이다. 3레벨과 다르게 4레벨의 자율주행 차량은 긴급상황을 차량이 직접 대처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긴급상황에서의 즉각적인 반응보다는 차량의 목적지가 정해진 순간 사고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경로를 결정하는 Optimized Vehicle Routing System (OVRS)을 제안한다. OVRS는 RSU 통신으로 수집한 도로와 주변 차량 정보를 분석하여 도로의 위험성을 예측하여 주행 중인 차량이 더 안전하고 빠른 길로 주행할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OVRS는 네트워크 라우팅 방식처럼 도로에 있는 RSU를 통하여 도로 상황에 따른 경로 안내를 실행하기 때문에 차량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실험 결과, OVRS모듈 중 하나인 ASICM의 RPNN은 CNN보다 약 17%, LSTM보다 약 40% 더 좋은 연산 시간을 보였다. 그러나 해당 연구가 PC를 이용한 가상환경에서 실행되었기 때문에, VPDM의 사고 가능성을 실제로 검증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사고 데이터 수집으로 인한 VPDM의 정확도 높은 실험과 실제 차량 및 RSU에서 실제 도로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Currently, The autonomous vehicle market is researching and developing four-level autonomous vehicles beyond the commercialization of three-level autonomous vehicles. Because unlike the level 3, the level 4 autonomous vehicle has to deal with an emergency directly,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a four-level autonomous vehicle is its st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ized Vehicle Routing System (OVRS) that determines the route with the lowest probability of an accident at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rather than an immediate response in an emergency. The OVRS analyzes road and surrounding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SU communication to predict road hazards, and sets the route for the safer and faster road. The OVRS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by executing the route guidance according to the road situation through the RSU on the road like the network routing method. As a result, the RPNN of the ASICM, one of the OVRS modules, was about 17% better than the CNN and 40% better than the LSTM. However, because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virtual environment using a PC, the possibility of accident of the VPDM was not actually verified. Therefore, in the future, experiments with high accuracy on VPDM due to the collection of accident data and actual roads should be conducted in real vehicles and RSUs.

      • KCI등재후보

        B-모드 심초음파도의 연속 영상 분석에 의한 심근경색증 추출

        손권(Son, Kweon),조성목(Cho Sung-M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7 No.6

        본 논문에서는 8-모드 심초음파도의 연속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정상심근과 경색심근 사이의 차이점을 구별 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차원 심초음파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람의 심장운동 한 주기에 걸쳐 프레임내 분석과 프레임 간 분석법을 제시하였고, HOE와 LT로 명명한 새로운 분석변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변수를 사용한 분석기법은 정상 영역과 경색 영역 사이에 정량적으로 두드러진 특정을 보여주었다. 경색부분에서는 심장주기 전체에 걸쳐 훨씬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정상조직은 변동이 훨씬 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에 따라 제안한 변수들은 심장의 한 주기에 걸쳐 심근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좋은 측정자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We studied on some techniques which are able to discr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infarcted myocardium by consecutive image analysis in B-mode echocardiogram. In order to analyze two-dimensional echocardiogram, we presented inter-frame and intra-frame analysis method throughout the complete heart cycle in closed-chest human and proposed new analysis parameters which are named HGE and LT. The analysis technique using the proposed parameters revealed quantitatively dominant features between normal and infarcted regions. The infarcted areas yield regions of higher intensity throughout the entire cardiac cycle, but normal tissue demonstrates greater variability throughout the entire cardiac cycle. Hence, we could verify that these parameters varying over the entire cardiac cycle are good indicators for the state of myocardium.

      • KCI등재

        자율차량 안정성을 위한 도로 거칠기 기반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

        수락(Su-Rak Son),이병관(Byung-Kwan Lee),손권(Son-Kweon Sim)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논문은 자율차량 안정성을 위한 도로 거칠기 기반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는 차량의 전방 이미지를 랜덤 포레스트의 입력에 맞게 가공하는 이미지 정규화 모듈, 기상정보와 이미지 정규화 모듈에서 정규화된 차량 전방 이미지를 입력으로 사용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의 거칠기를 구별하는 랜덤 포레스트 기반 도로 거칠기 분류 모듈과 도로 거칠기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는 마찰 계수를 수정하고, 전방 차량에 따라 최적 주행을 유지하는 브레이킹 강도를 결정하는 차량 브레이크 압력 제어 모듈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에 사용되는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중심으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정확도는 SVM보다 약 2% 높았고, 정확한 랜덤 포레스트 모델 구성을 위해 7개의 특징이 중복 허용 임의 추출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제동압력 계산 시스템은 차량이 제동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확성 모두를 만족할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the road roughness based Braking Pressure Calculation System(BPCS) for an Autonomous Vehicle Stability. The system consists of an image normalization module that processes the front image of a vehicle to fit the input of the random forest, a Random Forest based Road Roughness Classification Module that distinguish the roughness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ling by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front image of a vehicle as an input, and a brake pressure control module that modifies a friction coefficient appli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oad roughness and determines the braking strength to maintain optimal driving according to a vehicle ahea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BPC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random forest model.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accuracy of the random forest model was about 2% higher than that of the SVM, and that 7 features should be bagged to make an accurate random forest model. Therefore, the BPCS satisfies both real-time and accuracy in situations where the vehicle needs to brake.

      • KCI등재

        자율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탑승객 탐지 및 공유 시스템 개발

        수락(Su-Rak Son),이병관(Byung-Kwan Lee),손권(Son-Kweon Sim),정이나(Yi-Na Jeo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2

        현재 자율주행 차량 연구들은 긴급상황이 대처 가능한 4레벨의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차량이 긴급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데, 이는 주변 보행자, 도로 상태, 주변 차량의 상태 등 주행 중인 도로의 모든 상태를 판단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율차량 내부의 탑승객 상황을 탐지하고, 그것을 V2V로 주변 차량에 공유하여 이 긴급상황에서 주행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율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탑승객 탐지 및 공유 시스템을 제안한다. 탑승객 탐지 및 공유 시스템은 현재 차량에서 탑승객을 인식하는 무게 측정 방식을 개선하여 정확하게 차량 내부의 승객 위치를 식별할 수 있고, 각 차량의 승객 위치를 주변의 다른 차량과 공유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차량의 주행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험 결과, 탑승객 인식 서브 모듈에 적용된 체압 센서는 기존의 공진형 센서보다 약 8%, 압전형 센서보다 약 17%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Currently, an autonomous vehicle studies are working to develop a four-level autonomous vehicle that can cope with emergencies. In order to flexibly respond to an emergency, the autonomous vehicle must move in a direction to minimize the damage, which must be conducted by judging all the states of the road, such as the surrounding pedestrians, road conditions, and surrounding vehicle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a passenger detection and sharing system to detect the passenger situation inside the autonomous vehicle and share it with V2V to the surrounding vehicles to assist in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Passenger detection and sharing system improve the weighting method that recognizes passengers in the current vehicle to identify the passenger"s position accurately inside the vehicle, and shares the passenger"s position of each vehicle with other vehicles around it in case of emergency. So, it can help determine the driving of a vehicl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body pressure sensor applied to the passenger recognition sub-module showed about 8% higher accuracy than the conventional resonant sensor and about 17% higher than the piezoelectric sensor.

      • KCI등재

        프로젝트 발주담당자 개인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손권일(Son Kweon il),이아연(Lee A Yeon),박소현(Park So Hyun)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4 No.3

        오늘날과 같이 지방자치가 중심인 시대에는 지역사업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 단체가 주관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발주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고 있다. 이런 프로젝트들은 외부용역사가 시행사가 되고 지방자치단체의 사업부서 공무원이 발주담당자가 되는데 민간기업에서 시행하는 프로젝트와 달리 관리가 쉽지 않고 성과가 기대한 대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생긴다. 그 이유는 발주담당을 맡고 있는 사업부서 공무원이 순환근무 등의 이유로 인해 자주 바뀌기도 하고 또한 프로젝트 시행분야에 대한 전문성이나 이해도가 용역사에 비해 높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발주담당을 맡고 있는 사업부서 공무원의 관리 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지방자치단체에서 프로젝트 발주 경험이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발주담당자의 개인역량은 프로젝트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관리적 역량이 높을수록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리적 역량이 개인역량과 프로젝트 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 유형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관리적 역량의 차이 역시 부분 채택되었으며, 프로젝트 성과에서 관리 성과가 좋으면 완료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관리체계가 미비한 실정에서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숙지하는 데 있어 전문성 및 목적성 등이 부족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발주담당자들에게 프로젝트 관리 표준화 및 교육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se days local governments deliver many different types of projects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regional provinces. In these projects, civil servants of the local governments become the ordering customer and private firms become the contractors who actually carry out the project works. Usually, the civil servants do not have as much expertise and knowledge as the private contractors about the projects since they are assigned to the positions by job rotations. Consequently,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s are less than desired or exp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ersonal competency of civil servants has any impact on the project performance in those projects ordered by local governments. The research model contains project types as moderating variable and managerial competency as mediating variable. We collected data by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civil serva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supervising the projects in the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sonal competency of civil servants partially affects the project performance, and that managerial competen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personal competency and the project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ject types are also partially accepted.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ject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ose civil servants who are involved in supervising the projects carried out by private contractors.

      • 선배열 예인음탐기 표적신호 시뮬레이터 개발

        손권,최재용,Son, Kweon,Choi, Jae-Yo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6 No.3

        Multi-target away signal simulator which can simulate the radiated noises of maneuvering targets in a specified ocean range is an essential equipment for the validation of developed towed array sonar system. This simulator should provide realistic multi-channel signals those are required for beamforming 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of towed away system. This paper describes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and signal synthesis techniques for the target radiated noise. And this paper considers why the time delays between target and individual sensors are caused and how to compensate these time delays to individual sensors output. This multi-purpose target simulator could be used for the training of TASS operators.

      • KCI등재

        키토산 / 알긴산 고분자 복합체로 된 봉합사

        유선(You Sun Son),양갑승(Kap Seung Yang),박상희(Sang Hee Park),권해용(Hae Yong Kweon),김수일(Su Il Kim),조종수(Chong Su Cho)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01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6 No.1

        N/A Chitosan fiber spun through circular nozzle was immersed into alginate solution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ber for suture applicatio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hitosan fiber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molecular weight and concentration of the chitosan. The dry tenacity of chitosan fiber (cps 15.7) was enhanced by treatment with alginate solution from 0.56 g/d to 1.71 g/d due to the formation of polymeric electrolyte complex between chitosan as polycation and alginate as polyanion. The optimum condition of treatment concentration and time of alginate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of chitosan fiber was 0.5 wt% and 12 hrs, respectively. The morphology of the chitosan fiber after treatment with alginate showed smoother than that of chitosan fiber only.

      • KCI등재
      • KCI등재

        후막 스피커 응용을 위한 Pb(Zr<sub>1</sub>Ti)O<sub>3</sub>-PVDF 복합체의 압전 특성 평가

        용호,김성진,김영민,정준석,류성림,권순용,Son Yong-Ho,Kim Sung-Jin,Kim Young-Min,Jeong Joon-Seok,Ryu Sung-Lim,Kweon Soon-Yo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9 No.10

        We reported on characteristics of the piezoelectric ceramic-polymer composite for the application of the thick-film speaker. The PVDF-PZT composites were fabricated to incorporate the advantages of both ceramic and polymer with various mixing ratios by 3-roll mill mixer. The composite solutions were coated by the conventional screen-printing method on ITO electrode coated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 film. After depositing the top-electrode of silver-paste, 4 kV/mm of DC field was applied at $120^{\circ}C$ for 30 min to poling the composite films. The value of $d_{33}$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was increased when the PZT weight percent was increased. The maximum value of the $d_{33}$ was 24 pC/N at 70 wt% PZT. But the $g{33}$ (piezoelectric voltage constant) showed the maximum value of $32mV{\cdot}m/N$ at 65 wt% of PZT powder. The SPL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peaker fabricated with the 65:35 composite film was about 68 dB at 1 kH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