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교과교육에 있어서 국가공통 기준 도입 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주요 쟁점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최근 미국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교과에 대해 국가공통의 기준을 설정하려는 야심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에서 교과교육을 위한 국가 수준의 기준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30여년 전에 이미 시작된 것으로, 이러한 노력은 그동안 주 차원에서 추진된 기준 운동에 의해 주춤하다가 최근에 국가공통 기준의 도입으로 더 강력하게 되살아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최근에 도입된 ‘Common Core State Standards’라는 국가공통 기준이 나오게 된 역사적 맥락과, 이 기준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검토해 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기준이 교육과정과는 구별될 필요가 있다는 점, 학문적 성취 중심의 국가공통 기준의 설정이 글로벌 사회에서 필요한 학생들의 창의성이나 재능의 다양성을 억압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한 국가를 지배하는 문화가 그 어떤 노력보다 교육실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 등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이 글은 우리의 국가교육과정이 좀 더 ‘기준’으로서의 성격을 가질 필요가 있고, 학문적 성취 이외의 역량 개발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중앙집권적이고 시험위주의 교육 문화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재고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more than thirty years to develop standards for subject matters in American education. However, the effort to develop the standards has been made by each state so far, so that there has been no national standard for each subject matter. Recently, America has pushed to set national standards for several subject matter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ontext and some issues of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for subject matters recently pushed.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article reviewed historical context of standard-based reform in American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current effort to develop and introduc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and some features shown in the effort. Third, it explored some issues raised from introducing the standards.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standards can contribute to schooling reform in some degree. However, it is also disclosed that introducing the standards itself could not guarante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ulture has more powerful influence to the achievement than educational structure doe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investigating some implications the result gives to Korean educ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10년 이후 AERA 학술대회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허예지 ( Yae-ji Hu ),박지애 ( Jiae Park ),장연우 ( Yeon-woo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4

        오늘날의 급속한 사회 변화는 기존의 관점과 연구 틀로는 교육과정 현상을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국제적인 학술 논의의 장에서는 다양한 관점, 이론, 방법론을 활용한 교육과정 연구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에 걸쳐 진행되어 온 교육과정 연구의 국제적인 동향을 메타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 세계 교육연구자들의 논문이 발표되는 ‘미국교육학회(AERA)’ 연차학술대회의 교육과정 분과에서 최근 10년간(2010~2019년) 발표된 436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이론적 관점,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교육과정 관련 현상을 정치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주류 헤게모니에 대한 비판과 저항’ 및 ‘세계화 및 탈식민화’가, 이론적 관점에 있어서는 서구, 백인, 중산층, 남성, 비장애인 중심의 근대 인식론을 비판하는 ‘탈식민주의’, ‘비판이론’, ‘페미니즘’, ‘인종이론’이, 그리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개인적인 경험을 탐구하는 ‘내러티브연구’, ‘예술기반연구’, ‘자기-연구’ 등의 ‘질적 연구’가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1970년대 등장한 재개념주의가 여전히 교육과정 학계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또한 기존의 재개념주의라는 우산으로 포섭될 수 없는 새로운 연구들, 즉 ‘탈-언어적’, ‘탈-인간적’, ‘혼종적’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이들이 교육과정 연구의 ‘포스트-재개념주의’로 해석될 수 있음을 논의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육과정 연구의 관심사가 좀 더 확장되고 다변화될 필요가 있음이 제언되었다. Rapid changes in today’s society have made it difficult to understand curricular phenomena within a former research framework. Accordingly, curriculum inquiries using various perspectives, theorie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actively presented in recent international conferenc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of curriculum studies in recent ten years. For this purpose, 436 articles presented in Division B in AERA annual meetings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from three aspects: theme, perspective, and method. Findings show that popular themes are ‘Criticism and Resistance to Mainstream Hegemony’ and ‘Globalization and Decolonization’, which articulate curricular phenomena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Frequently adopted perspectives are ‘Decolonialism’, ‘Critical Theory’, ‘Feminism’, and ‘Race Theory’, criticizing the modern epistemology that is western, white, middle class, male, and non-disabled-centered. A commonly used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exploring personal experiences, which includes ‘Narrative Inquiry’, ‘Art-based Research’ and ‘Self-study’. These results imply the dominance of reconceptualization emerged in 1970s. However, they also reveal an increase of new studies such as ‘Post-linguistic’, ‘Post-human’ and ‘Hybrid’ studies, which cannot be subsumed under the umbrella of the reconceptualization, but can be interpreted as post-reconceptualization. Consequently, the necessity of broadening the range of interests in Korean curriculum studies is suggest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1

        이 글은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쟁점과 과제를 탐색하고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학교교육과정이 아닌 국가교육과정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의 주요 특징과 이것이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쟁점과 과제를 검토한 뒤, 교과 교육과정에 담겨야 할 교과 내용의 성격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은 학생의 학습에 대한 수사학적 강조, 강한 교수법적 방향 제시, 국가·사회적 요구에의 민감한 대응 등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에 대한 지나친관심은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각 교과가 다루어야 할 내용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는 바, 이 문제가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글은 교과 교육과정 개발과제의 하나로서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어떤 성격의 것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어떻게 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and discuss the issues and tasks the recently issued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ssigns to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rticle reviews the major features of the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issues the features attribu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for subject matters and explores the nature of the subject matter content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subject matter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general guideline draft fo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hetorically emphasizes student learning, suggests strong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ensitively responds to demands from the nation and society. However, too much interest in these features could lead to overlooking the discussion of the core knowledge of subject matters in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reveals this issue should be reviewed in depth.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an exploration of the ‘powerful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s one of the tasks for subject matter curriculum development, as well as how powerful knowledge could be when realized through subject matter curriculum.

      • KCI등재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개정 및 시행 절차 고찰

        소경희(So Kyung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05 比較敎育硏究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d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implementation in England. The specific questions that this study has treated for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vision proced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has revised three times since 1989 first national curriculum; secondly, the policy of textbook development and teacher training for diffusion of national curriculum; thirdly, some implications for our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and implement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ngland case,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with which the current procedure of curriculum revision and implement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as follows. First, the effort for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given much more weight. Second, the nation-level system for information and diffusion of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constructed. Third, the current textbook policy should be changed. Fourth, the alternative form for teacher training should be discussed. 이 글은 영국에서의 국가교육과정 개정 및 시행 절차를 검토함으써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그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개정은 전체적인 방향이 먼저 결정되고, 이에 따라 각론 연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외견상으로는 우리의 전면적 개정과 유사한 절차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개정 과정은 총론보다 교과별 개정 노력에 좀 더 비중을 둔다는 점에서 우리와 다르며, 특히 국가교육과정이 개발된 이후의 시행 절차는 우리와 상당히 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영국에서는 교육과정 홍보 및 지원, 교과서 보급, 교사 연수 등에 있어서 우리와는 다른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가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 및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 및 시행 절차는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및 시행에 수반되는 정책들을 수립하는 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본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학교교육 정책 비판

        소경희(Kyunghee So),박지애(Jiae Park),이수한(Soohan Lee),허예지(Yae-ji Hu)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4

        이 연구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난 25년간 추진되어 온 한국 학교교육 정책들을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먼저 Braidotti(2013/2015)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 터해 지능정보사회의 도래가 인간 주체성 논의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라 새롭게 규정된 인간 주체성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학교교육 정책의 주요 특징을 청와대,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 교육부및 중앙 관계부처에서 발행된 정책 문서 52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크게 교육 환경, 교육과정 운영 지원, 교육 내용 측면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학교교육 정책이 전제하고 있는 지능정보기술과 인간 주체성의 관계에 대해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의 비판적 검토가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한국의 학교교육 정책들이 기계/기술을 통해 ‘향상’되는 인간, 기계/기술을‘예측 및 통제’하는 인간, 기계/기술과 ‘경쟁’하는 인간 주체성을 전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제는 기계/기술을 인간의 목적과 의도에 따라 일방적으로 활용 및 통제되는 도구로 봄으로써, 인간과 기계/ 기술 간의 대안적 공생 관계를 가로막을 수 있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학교교육 정책의 변형을 위한 방향을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ast 25 years of Korean school policies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from a posthumanist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plores Rosi Braidotti (2013/2015)’s critical posthumanism for how the arrival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effects upon discussions of human subjectivity an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fined human subjectivity are. Next, 52 policy documents issued by Cheongwadae,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s, Ministry of Education, and relevant ministri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 policies for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educational environment, operational support for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In addition, a critical review is made from the posthumanist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s/technology and human subjectivity which the analyzed school policies presuppose.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icies presuppose human subjectivity that would be improved through’, predict and control , and ‘compete with’ machines/technology. Machines/technology are seen as mere tools that are unilaterally utiliz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human purposes and intentions, which obstruct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chapter discusses alternative directions for Korean school policies in response 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문서에 함의된 교사 전문성 담론의 변화와 특징 고찰

        소경희 ( Kyunghee So ),최유리 ( Yuri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60년간 수차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 문서에 함의된 교사 전문성 담론을 분석하고, 그러한 담론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국가교육과정 총론 문서를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교사들은 국가교육과정과의 관계 속에서 국가로부터 부여된 기준과 허용된 자율성을 실행하고 관리받아야 하는 교사로, 그리고 자신의 전문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갱신해야 하는 교사로 담론화되어 왔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교사 전문성 담론의 형성 및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으로는, 1) 교사의 전문성을 실행가로 보는 관점으로부터 점차 자율적 전문가로 보려는 관점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 왔다는 점, 2) 실행가적 관점이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점, 3) 변혁적 전문가적 관점의 가능성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전문성 담론의 변화를 여러 다양한 관점의 공존과 교차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성, 자율적 교사 전문성 관점의 양가성에 주목할 필요성, 변혁적 교사 전문성 관점에 대한 적극적 논의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Korea’s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multiple times over the last 60 yea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 professionalism discourse i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study analyzes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our findings, the national curriculum has discoursed on teachers in the following ways: 1) teachers who implement the standards and autonomy prescribed by the nation, and are also simultaneously managed by the nation, and 2) teachers who are encouraged to expand and renew their expertise. Three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the formation and changes in the teacher professionalism discourse. First, perspectives on teacher professionalism have transitioned from teachers as implementers to teachers as autonomous professionals. Second, the perspective of teachers as implementers is still dominant. Third, there is room for viewing teachers as transformative professional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b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eacher professionalism discourse as the coexistence and intersection of various perspectives, to consider ambivalence in the perspective of teachers as autonomous professionals, and to discuss the perspective of teachers as transformative professionals.

      • KCI등재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논쟁: 국가교육과정의 내용 및 처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어느 나라든지 국가교육과정 체제를 가지고 있는 나라들은 국가교육과정의 양을 적정화하는 데에 관심을 두고 있다. 국가교육과정의 양을 적정화한다는 것은 국가교육과정을 통해 제공될 ‘학습내용의 양’과 ‘처방의 수준’을 적정하게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국가교육과정의 내용과 처방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는 문제는 생각만큼 쉽지 않다. 여러 차례 개정된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이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 내용과 처방이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음은 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영국 또한 국가교육과정의 양을 적정화하는 문제가 국가교육과정 개혁의 핵심적인 쟁점이 되어 왔다. 이 글은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과정에서 핵심적인 쟁점으로 부각되어 온 국가교육과정의 내용과 처방의 적정화에 대한 최근 논쟁을 검토해보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이 논쟁을 주도해 온 두 개의 개혁안, 즉 Rose 개혁안과 Cambridge 개혁안을 면밀히 검토하는 데에 초점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이 글에서는 첫째, 몇 차례 개정된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서 내용의 양 및 처방의 수준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가 무엇이었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영국 초등교육과정의 내용 및 처방의 과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된 Rose 개혁안과 Cambridge 개혁안을 검토하고 비교해 본다. 마지막으로 국가교육과정 양의 적정화를 둘러싸고 제기된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논쟁이 주는 시사점을 논의해본다. Every country that has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is interested in reducing content and prescrip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slimming down the national curriculum is not a problem as easy as people think. Although Korean national curriculum ha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with several revisions, we still have crowded and over-prescriptive national curriculum. This problem also has been the main issue of national curriculum reform in Englan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cent debate on appropriateness of content and prescription of primary curriculum in England.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wo reform plans: Rose and Cambridge reform plans which have led this debate. To achieve the purpose,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 in three ways. First, it reviews what problems about content and prescription occur whil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has been reformed. Second, the article compares Rose`s and Cambridge`s plan recently suggested to solve too much content and prescription in English primary curriculum. Finally, it discusses several implications that the controversy of English primary curriculum reform can give to improve Korean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 활용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1

        21세기의 맥락에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방식과 관련하여, 최근 역량적 접근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주로 선언적인 수준에서 수사학적으로만 고려되거나 기존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의 주변적자리만을 맴돌고 있다. 말하자면 역량을 강조하는 최근 논의는 아직까지 교육과정 설계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을 대체할 만한 설계 원리나 모형을 내놓고 있지 못하다. 이 글의 목적은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과정-탐구`` 모형의 활용 가능성과 의미를 탐색해 보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첫째, 지배적인 교육과정 전통에 대한 최근의 도전, 특히 역량중심 교육이 주장하는 교육에 대한 기본 관점과 가정을 검토해 보았다. 둘째, 전통적인 교육과정 설계 모형, 즉 목표 모형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던 ``과정-탐구`` 모형의 특징을 고찰했다. 셋째, 과정-탐구`` 모형이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았다. Competence-based approach has been gaining attention recently, related to appropriate method for curriculum design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discussion about such approach is either considered rhetorically at the declaratory level or marginalized in the dominant framework of curriculum design. In other words, recent discussion emphasizing competence-based approach still cannot suggest any design principle or model which substitutes dominant paradigm of curriculum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using ``process-inquiry`` model as a curriculum design for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first, the article reviewed the recent challenges against dominant curriculum grammar, especially the basic perspective and assumption suggested by competence-based education. Secondly, it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process-inquiry`` model which appeared as an alternative of objectives model which is a traditional curriculum design model. Finally, it explored how ``process-inquiry`` model can be adjusted to the curriculum design for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its meaning.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소경희 ( Kyung Hee S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1

        최근 들어 `역량`이라는 용어가 전 사회적인 관심사로 새롭게 부각되면서 역량기반 교육이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공식 의제로 등장하고 있다. 역량이란 흔히 직업 교육이나 훈련 분야의 논의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으로,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역량이라는 용어를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논의할 때, 이러한 제한된 의미의 적용은 학교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의 본질을 왜곡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의 역량기반 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역량이 행동주의적이고 편협한 교육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라는 점을 주장하는데 관심이 있다. 이 점을 드러내기 위해 이 글은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원과 그것의 자유교육적 성격을 탐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설계와 관련하여 전개된 역량기반 교육의 역사적인 흐름과 여러 입장을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역량기반 교육의 자유교육적 성격을 논의하였다. Recently, competence-based education is appearing as an official agenda for the national curriculum reform in many countries. However, much confusion exists over the concept of the word competence, as it is currently being used in ordinary educational discourse, policy, and practice. Misuse of the terminology will be able to distort the nature of the educ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curricular-historical base and its liberal natur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by taking the holistic conceptualization of competence. In order to obtain this aim, I attempted to review the competence movement and its variations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n I discussed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could be a way of renewing our thought about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by exploring its liberal nature.

      • KCI등재

        교육개혁 실행 맥락에서 정책 문서의 행위성에 대한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소경희 ( Kyunghee So ),최유리 ( Yuri Choi ),박지애 ( Jiae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1

        이 연구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이 제공하는 개념적 도구를 바탕으로, 교육개혁 실행 맥락에서 정책 문서가 교사 및 여러 행위자들과 맺는 다양한 관계들을 추적,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행위성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를 정책 문서의 사례로 선택하여, 이를 실행하고 있는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육개혁 실행 맥락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교사들을 끌어당기기 위한 여러 장치들을 사용했으나, 교사들은 자신들이 기존에 맺고 있던 다양한 관계들이나 네트워크로 인해 새로운 네트워크와 밀접하게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개혁 실행 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는 나름의 행위성을 발현하고 있었으나, 그 추구하는 목적 및 방향성이 교사들에게 모호하게 인식된다거나, 교사들의 실천을 강제하기 위해 사용한 여러 장치들이 타협의 여지가 있는 것이어서 의도한 변화를 충분히 야기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개혁 정책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정책 문서의 성격과 전략, 그리고 정책 문서의 행위성을 새로운 관점으로 연구할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gency of policy documents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reform implementation by tracking and analyzing their variou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actors based on actor-network theory (A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as a case of policy documents and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six teachers who are implementing i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reform implementa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proposed a new network call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used various devices to attract teachers. However, teachers were not closely connected to the network because of the various relationships or networks they had already had. Despite the document’s partial achievement of its agenc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educational reform,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reform was vaguely recognized by teachers, or the various devices used to force teachers’ practices were compoundable, which causes difficulty in fully achieving the intended change.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a new perspective was discussed on the nature and strategy of policy documen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reform policies and the agency of policy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