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거, 결혼의 과정인가? 결혼의 대안인가? (Ⅱ):동거하고 있는 30, 40대 남녀의 파트너쉽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지원에 대한 인식

        성미애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현재 1년 이상 동거하고 있는 30, 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파트너쉽과 정책적 지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 및 분석] 2023년 7월부터 9월 중순까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현재 파트너와 동거한 지 1년 이상인 30, 40대 남녀 20명을 심층면접하였다. 심층면접한 내용은 주제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제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범주는 ‘부담스러운 결혼 대신 선택한 동거’, ‘인척에 얽매이지 않는 1:1 관계인 동거, 그러나 외줄타기의 불안감’, ‘공평하게 이루어지는 따로 또 같이하는 일상생활’, ‘물적 토대와 신뢰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족은 아닌 친밀한 관계’ , ‘정책적 혜택을 포기하고 얻은, 조금은 가벼운 동거의 삶’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대다수의 연구참여자들은 젠더와 연령에 상관없이 결혼을 남녀 모두에게 불합리한 가부장적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결혼으로 인해 인척까지 확대되면서 복잡해지는 가족관계를 부담스럽게 인식하면서 동거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동거를 지속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동거의 장점은 설렘은 없지만, 이혼 리스크 없이 결혼제도나 양가에 얽매이지 않는 편안함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2인관계,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2인관계로 인식하였다. 반면, 동거의 단점은 관계의 불안정성과 이러한 불안정성에서 오는 관계의 애매함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젠더와 연령에 상관없이 동거의 일상생활은 공평성의 원칙이 적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동거 관계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각자 재산은 각자 관리하면서 서로 터치하지 않고 있었다. 넷째, 동거 관계는 안정된 물적 토대 위에, 모든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본적인 자원인 신뢰, 수용, 인내, 배려, 양보, 조심성 등이 작용하면서 지속되고 있었다. 한편, 전통적 가족정의를 내면화하고 있기 때문에 동거인을 가족으로 인식하지는 않았지만, 동거관계를 친밀성이 전제된 ‘1 대 1의 심플한 관계’, ‘너는 너, 나는 나’로 유지될 수 있는 느슨한 유대관계로 인식하면서 만족하였다. 다섯째, 수술할 때 보호자로 인정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필요하지만, 동거는 쉽게 헤어져서 남이 되는, 법적 책임이 없는 가벼운 관계인 만큼, 법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이 어색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결론] 현재 동거하는 한국의 30, 40대 남녀 대다수는 결혼을 남녀 모두에게 불합리한 가부장적 제도로 인식하면서 동거를 결혼의 대안으로 선택하였다. 따라서 가까운 시일 내에 한국도 동거가 결혼의 대안이 되는 등 2인관계가 다양해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examines perceptions of partnerships and policy suppor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been living together for more than a year. Through this, I attempted to predict the various aspects and direction of change of two-person relationships in Korean society. [Research data and analysis] From July to mid-September 2023,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liv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who had been living with their current partners for more than a year. The final cases interviewed in depth were 5 men and 5 women in their 30s, and 5 men and 5 women in their 40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were ‘cohabitation as an alternative to burdensome marriage’, ‘cohabitation as a one-to-one relationship not tied to in-laws, but with the anxiety of walking a tightrope', 'separate but equitable daily life', 'intimate, but not family, relationship built on material foundation and trust', and 'a life of casual cohabitation, gained at the expense of policy benefits’. [Research results]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perceived marriage as a patriarchal institution that is unreasonable for both men and women. They chose to cohabit because they perceived the complexity of family relationships, especially as they expanded to include in-laws, as a burden. Second, they perceived the advantages of cohabitation as a two-person relationship, a financially beneficial two-person relationship, where they could feel secure in the comfort of not being tied to the institution of marriage without the risk of divorce. On the other hand, the disadvantages of cohabitation were perceived as the instability of the relationship and the ambiguity of the relationship that comes from this instability. Third,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the daily routines of cohabitation were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equity, and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 relationship, each person managed their own property and did not touch each other. Fourth, the cohabitation relationship was sustained on a stable material foundation, with trust, acceptance, patience, consideration, concession, and caution, which are basic resources for sustaining any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y had internalized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family, they did not perceive their cohabitants as family members, but they were content to perceive their cohabitation as a loose bond that could be maintained as a ‘simple one-to-one relationship’ and ‘you are you and I am me’ that was predicated on intimacy. Fifth, while being recognized as a guardian during surgery is a practical necessity, they felt that it was awkward to provide legal support because cohabitation is a light relationship with no legal responsibilities that can be easily broken up. [Conclusion] The majority of Korean men an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are currently cohabiting have chosen cohabitation as an alternative to marriage, recognizing marriage as a patriarchal system that is unreasonable for both men and women.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in the near future, Korea will see a diversification of two-person relationships, including cohabitation as an alternative to marriage.

      • KCI등재

        동거, 결혼의 과정인가? 결혼의 대안인가? (1): 동거하고 있는 50, 60대 남녀의 파트너쉽에 대한 인식과 향후 관계 전망 및 정책적 요구

        성미애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3

        연구목적: 50, 6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파트너쉽에 대한 인식과 향후 관계전망 및 정책적 요구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2022년 8월부터 12월까지 1년 이상 동거중인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50, 60대 20명을 심층면접하였다. 주제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범주는 ‘커플관계에서 동거로 가는 길’, ‘현실에서는 아이러니하게 작동하는 정상가족이데올로기’, ‘물적 토대를 기초로, 불안정한 긴장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친밀한 관계 대(對) 도구적 상호작용 관계’, ‘돈 관리는 따로, 그러나 전통적 성역할 분담이 작동하는 삶’, ‘재혼을 계획하는 남성과 동거를 지속하고 싶은 여성’, ‘제도적 지원은 동거가 아니라 결혼을 지원하는 방향으로’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로움 때문에 동거했으나 내면에는 이혼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이혼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 자녀의 존재, 여성의 경우 재혼 후 감당해야 하는 본인의 헌신과 책임에 대한 부담이 작동하고 있었다. 둘째, 젠더와 상관없이 정상가족이데올로기를 보였으며, 이러한 인식은 동거를 선택하게 하는 배경이 되었다. 셋째, 동거는 불안정한 관계에서의 긴장감을 특징으로 하며, 경제적 안정 속에서 신뢰, 이해, 배려, 양보,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친밀한 2인관계 또는 도구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지속되고 있었다. 넷째, 서로의 재정에는 관여하지 않으면서 전통적 성역할 분담 이데올로기에 따라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다. 다섯째, 대다수 남성들은 향후 재혼을 전망하였지만, 대다수 여성들은 동거관계가 지속되기를 원하였다. 여섯째, 동거는 제도 혜택을 받지 않는 것이 당연하며, 결혼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결론: 현재 동거하고 있는50, 60대가 의도적으로 주도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의 동거는 한국 가족의 다양화와 다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에도 생활동반자 개념이자리잡는 데 배경으로 작동할 것이다. Objectiv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tnerships, prospects for partnerships, and policy demands for cohabiting couples. Method: From August to December 2022,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eople in their 50s and 60s who liv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had lived with their current partner for more than a year. The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were ‘the path from coupling to cohabitation’,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working ironically in reality’, ‘intimate vs. instrument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material foundation, in unstable tension’, ‘money management separately but with traditional gender roles’, ‘men who plan to remarry and women who want to continue cohabit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oriented to support marriage, not cohabitation’. Results: First, although they cohabitated because of loneliness, there were internal difficulties in the divorce process, negative stereotypes about divorce, and the presence of children, and in the case of women, the burden of their own commitment and responsibility after remarriage. Second, a normal family ideology was shown regardless of gender, and this ideology became the background for choosing cohabitation in reality. Third, cohabitation is characterized by tension in an unstable relationship, and continues to be an intimate two-person relationship or instrumental interaction while forming trust, understanding, consideration, concessions, and consensus in economic stability. Fourth, they were leading their daily live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gender role division ideology without being involved in each other’s economic status. Fifth, most men expected to remarry in the future, but most women wanted their cohabitation relationship to continue. Sixth, it was natural that cohabitation would not receive institutional benefits, and a marriage support policy was considered necessary. Conclusions: It can be seen that the people in their 50s and 60s living together are contribut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families, although they did not intentionally lead. And this phenomenon of diversification of Korean families will ultimately serve as a background for the concept of life partners to take root in our society.

      • KCI등재

        40, 50대 비혼 남성의 생활세계와 결혼 및 가족 담론

        성미애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1

        Objective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examines the life-world and discourse on marriage and family of unmarried men who are in their 40s and 50s. Method: Seven unmarried men in their 40s and 50s living in Seoul participated in a focused-group interview and an in-depth interview from June 3 to 29, 2021. Data were examined through thematic analysis. Results: The first main theme is ‘narrowed life-world, focus on health and social club’. The participants focused on healthcare and formed a new network with people in the club who share common topics of conversation with them. The second main theme is ‘fear of old age’.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unmarried life is comfortable and enables them to enjoy and encounter various experiences without the interference of other people, but they have great fear of dying of loneliness. Therefore, a high demand for policies is expected to support daily life, hous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 third main theme is ‘positive value on marriage, family, and child, but involuntary single life’. With a sentimental view of marriage, a normal family ideology, and a positive view of the family, the participants expressed affection for their aging parents, especially their mothers, and had a strong will to care of them. In particular, they recognized that children are the unfulfilled part of their unmarried life. The fourth main theme is ‘cohabitation and one-person household as perceived as an alternative to singlehood’. As expectations for childbirth disappeared, they planned to live with wome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tendencies, sexual desires, and positive perceptions of cohabit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y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cohabitation, they plan to live as a single-person household. Conclusions: Unmarried men in their 40s and 50s make up a life-world with people who share common topics while taking care of their health, as well as in a universal, legitimate, and in positive view of marriage, children, and family. A support policy is needed to maintain the right to a happy and safe life. On the other hand, although changes in values were not indicated unintentionally, as an unmarried life becomes a reality and seems extended over a period of time, various ways of living, such as considering cohabitation, are also pursued. These attempts will likely affect and change our soci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40, 50대 비혼 남성의 생활세계와 결혼 및 가족 담론이 어떻게 해체되고 재구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40, 50대 비혼 남성의 경우 결혼에 대한 사회적 압박이나 획일적 삶에 대한 규범이 강한 사회에서 성장해 온 이들로, 비혼의 삶은 ‘기대’와 ‘실제’의 격차가 큰 삶 또는 사회적 압박에 투쟁하면서 획득한 삶의 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생활세계와 결혼 및 가족 담론을 살펴보는 것은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앞으로의 한국 가족의 변화상을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거주 40, 50대 비혼 남성 7명을 대상으로 1회의 초점집단인터뷰(2021. 6월 3일)와 심층면접(2021년 6월 3일부터 29일까지)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접자료는 주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제분석법으로 도출된 대주제 1은 ‘건강관리와 대화가 통하는 동호회 중심으로 축소되는 생활세계’로, 이들은 건강 관리로 수렴되는 생활, 대화가 가능한 사람들과의 관계망으로 수렴되는 생활세계를 재구성하고 있었다. 대주제 2는 ‘겁나고 무서운 비혼의 노년생활’로, 비혼의 삶을 편하고 간섭없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삶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고독사에 대한 두려움이 큰 상황에서 일상생활 및 주택 지원과 심리적 안정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대주제 3은 ‘긍정적 결혼관 및 가족관, 그러나 현실은 비혼’으로, 서정주의적 결혼관,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긍정적 가족관 속에서 나이가 들어가는 부모님, 특히 어머니에 대해 애틋함을 느끼면서 부양 의지가 높았다. 또한 비혼 생활에서 절대 채워지지 않은 부분을 자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주제 4는 ‘비혼의 대안으로 인식되는 동거와 1인가구의 삶’으로, 자녀출산에 대한 기대가 현실적 문제로 사라지면서 개별 성향, 성적 욕구와 동거에 대한 인식에 따라 동거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동거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1인가구의 삶을 계획하고 있었다. 결론: 40, 50대 비혼 남성은 보편적, 당위적 결혼관, 긍정적 자녀관과 가족관 속에서 건강을 챙기면서 공통된 화제가 있는 사람들과 생활세계를 구성하고 있으나 고독사에 대한 불안감이 큰 만큼, 이들의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생활권 유지 차원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한편, 결혼 및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는 없으나 비혼의 삶이 현실화되고 길어지면서 동거 등 다양한 삶의 방식도 추구하면서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사회가 변화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

        사회투자론적 관점에서 본 새 정부의 가정정책 : 분석과 과제

        성미애,송혜림,Sung, Mi-Ai,Song, Hye-Rim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8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ssess the family policy of the Lee administration and to suggest agendas for sustainable future family policy. Traditionally, families are a unique unit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family members and social laborers. In addition, families are the social safety net help people survive in a society. Therefore, family polic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context, we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family and social policy, and the contents of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which is the main authority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the Lee administration ignored the data showing that family policy should be a unique policy, and not a sub-division of welfare policy. Second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ive welfare policy of the Lee administration and policies of past administra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subjects of future oriented family policy should focus on co-developing programs for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to develop problem-prevention and family needs- ordered policy, and to make integrated family policy through laws and delivery systems such as Healthy Family Cent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