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LC 모니터링을 위한 임베디드 HMI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선복근,한광록,임기욱,Sun, Bok-Keun,Han, Kwang-Rok,Rim, Kee-Woo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4

        최근 PLC들은 산업 자동화 분야에 필요한 자동화장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MI는 다수의 PLC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초기 HMI시스템은 단순한 아날로그 계기들을 사용하여 구성되었으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로 최근에는 각종 디지털 부품들로 구성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PLC를 제어 또는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HMI시스템은 이러한 HMf 장치와 HMI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그리고 HMI 화면을 편집 하는 프로그램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면편집 프로그램은 실제 HMI 장치에서 표현되는 각각의 화면들을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화면 구성요소들을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HMI 장치용 화면편집 프로그램을 객체지향 언어를 통해 설계 및 구현하며, 임베디드 HMI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Recently, most of PLC has been using widely in automation equipment that is needed for field of industry automation. HMI is essential system for effective Control of many numbers of PLC. Even though early HMI system was consists of simple analog devices, however, HMI system could control or supervise PLC through display screen since it embeds various digital parts by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se days. HMI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as HMI hardware, an operating program for HMI equipment and a HMI screen editor. Among these elements, a Program for editing screen of HMI should provide various screen elements that helps users to edit each screens displayed on HMI. In this study, we design and implement screen edit program by object-oriented method for small HMI equipment and propose Prototype of embedded HMI system.

      • 매엽식 세정장비의 동작순서 시뮬레이션 및 웨이퍼 처리량 측정에 관한 연구

        선복근,한광록,Sun, Bok-Keun,Han, Kwang-Rok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웨이퍼의 식각, 세정, 연마 공정에 사용되는 매엽식 세정장비의 동작순서의 시뮬레이션과 단위 시간당 처리량 측정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유한상태기계를 바탕으로 스케쥴링 알고리즘에 따른 로봇의 상태를 정의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해 세정장비의 시간당 처리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레시피와 로봇의 동작속도에 따라 세정장비의 단위시간당 처리량을 측정하고, 처리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레시피와 로봇의 동작순서를 찾아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study measurement of wafer processing throughput and sequence simulation of single wafer type for wafer cleaning equipments that were used for etching, cleaning and polishing of wafer. Based on finite state machine, simulation model was built with identification of robot's status according to scheduling algorithm. Moreover, through performance of simulation as above, throughput per hour of cleaning equipment was measured. By the simulation method that are proposed in this paper, we could measure the wafer throughput per hour according to recipe and robot motion speed, and find optimal recipe and moving sequence of robot that maximize the throughput.

      • 동영상과 가상현실의 동기화를 통한 온라인교육 시스템 구축

        선복근 ( Bok-keun Sun ),정종성 ( Joung-sung Joung ),한광록 ( Kwang-rok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와 VRML 컨텐츠간의 동기화 기술을 사용한 온라인 교육시스템의 구축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미디어 동기화를 위한 HTML+TIME과 스크립트(Script), VRML 제어를 위한 Java EAI와 applet, VRML의 애니메이션 조절을 위한 템플릿을 만들어 온라인 교육시스템에 적용해 본다. 구현된 시스템의 애니메이션 제어성능 및 처리속도와 미디어간의 동기화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의 온라인 가상 교육 시스템의 동기화 성능보다 다소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HTML+TIME 미디어 동기화 기술과 자바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동영상 미디어의 제어 및 3D애니메이션의 제어에 관현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적용 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넷 뉴스 데이터 추츨을 위한 미들웨어 설계 및 적용

        선복근(Bok-Keun S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DEM(Internet News Data Extraction Middleware) system for the removal of the unnecessary data in internet news. Although data on the interne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urce of data of IR(Information Retrieval), Data mining and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it contains a lot of unnecessary information. The removal of the unnecessary data is a problem to be solved prior to the study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ervice that is based on the data of the web page. The INDEM system parses html and explores the XPath, and it is to perform the analysis. The user simply utilize INDEM by implementing an abstract class that provides INDEM, and can obtain the analysis information. INDEM System through this process delivers 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the main contents of news site to the users. In this paper, the INDEM system was adapted in a stand-alone and web service system and it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16 news site. As a result, performance of the INDEM system is affected in html source data size and complexity of used html grammar than the main news data size.

      • 역전파 네트워크 학습을 활용한 웹 문서 구조 분석 시스템

        선복근(Bok-Keun Sun)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11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30 No.1

        본 논문에서는 역전파 학습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웹 문서의 구조를 학습한 후,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웹 문서의 구조를 추론해 내는 시스템에 대하여 논한다. 시스템은 먼저 XPath에 ID를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웹 문서를 역전파 학습 네트워크의 입력값으로 변환한다. 역전파 학습 네트워크의 학습시스템은 정해진 에러율 이하의 값이 나올 때까지 반복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학습 후, 문서를 네트워크에 통과시키면 시스템은 웹 문서의 구조를 추론하고 그 구조에 적합한 정보를 추출해 낸다. 학습 과정에서 사람의 개입(intervention)이 전혀 없으며, 내부 팩터와 파라메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최적의 학습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이 학습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구현한 시스템의 평가결과 평균 recall rate는 99.5%,precision rate는 96.6% 라는 만족 할만한 성과를 나타내었다. The preseait study discusses a system that leams the structure of Web documents through a backpropagation network and mfers the structure of new Web documents. The system first converts Web documents into the input of the backpropagation network through assigning ID to Xpath. The learning system of the backpropagation network repeats learning until the error rate goes down below the level specified in the system. After learning, a new Web document is passed through the network, the system infers the structure of the document and extracts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structure. Hie biggest advantages of this system are that there is no human intervention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network is designed to derive the optimal learning result by changing the internal factors and parameters in various ways. When the implemented system was evaluated, the average recall rate was 99.5% and the precision rate was 96.6%, suggesting the satisfactory perfcamance of the system.

      • KCI등재

        OWL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논문 검색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선복근(Bok-Keun Sun),위다현(Da-Hyun We),한광록(Kwang-Rok Ha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2

        기존의 논문검색은 키워드 기반 검색이고, 발간된 자료의 양이 방대해 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데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웹 문서 자원 사이의 의미 정보를 온톨로지로 표현하고, 이 온톨로지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시맨틱 웹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WL 온톨로지 기반의 추론을 통한 논문정보 검색시스템에 대하여 논한다. 시맨틱 웹의 새로운 온톨로지 언어로 부상한 OWL기반의 논문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논문 속성들 간의 다양한 상관관계를 서술논리 쿼리로 작성한다. 검색시스템은 이 쿼리를 기반으로 논문 온톨로지에 대하여 추론함으로써 지능적인 정보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논문 검색 방법과 본 논문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The conventional paper retrieval is the keyword-based search and as a huge amount of data be published, this search becomes more difficult in retrieving information that user want to find. In order to search for information to the user's intent, we need to introduce semantic Web that represents semantics of Web document resources on the Internet environment as ontology and enables the computer to understand this ontology. Therefore, we describe a paper retrieval system through OWL(Ontology Web Language) ontology-based reason in this paper. We build the paper ontology based on OWL which is new popular ontology language for semantic Web and represent the correlation among diverse paper properties as the DL(description logic) query, and then this system infers the correct results from the paper ontology by using the DL query and makes it possible to retrieve information intelligently. Finally, we compared our experimental result with the conventional retrieval.

      • KCI등재

        응급상황의 신속한 감지를 위한 u-Health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장동욱,선복근,손석원,한광록,Jang, Dong-Wook,Sun, Bok-Keun,Sohn, Surg-Won,Han, Kwang-R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4 No.6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 u-Health care system that can detect quickly and cope actively with emergent situations of chronic disease patients who lead everyday life. If a patient's emergent situation is detected by personal health care host(PHCH), which is composed of acceleration and vibration sensors, GPS, and CDMA communication module, a text message on the patient's current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spital and the guardian's mobile terminal so that they can cope with the situation immediately. Especially, the system analyzes data from sensors by using neural network and determines emergent situations such as syncope and convulsion promptly. The exact location of patients can also be found in the electronic map by using GPS information. The experiments show that this system is very effective to find emergencies promptly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who cannot take care of themselves and it is expected to save many lives. 본 논문은 만성질환을 갖고 있으면서도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환자들의 응급상황을 신속히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는 u-Health 시스템의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기울기 및 진동 센서, GPS, CDMA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된 PHCH(Personal Health Care Host) 장치에 의해 환자의 위급상황이 신속히 감지되면 현재 환자가 위치한 위치정보를 병원과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문자 전송하여 상황에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시스템은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절 또는 발작 증상과 같은 응급상황을 신속히 판단한다. 또한 환자의 응급 상황시에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상생환을 하면서 항상 주의가 필요한 만성질환자에게 이 시스템을 적용시킴으로써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LC를 활용한 임베디드 시스템 기반 서버 구현

        이광민 ( Kwang-min Lee ),선복근 ( Bok-keun Sun ),한광록 ( Kwang-rok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정보화 사회와 함께 인터넷 사용 환경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TCP/IP 네크워크에 기반한 네트워크 및 통신 인프라 환경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는 여타 산업 분야에도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화 산업 네트워킹 기술과 결합하여, 공장 및 각종 산업 현장에도 개방형 표준인 Ethernet 과 TCP/IP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산업현장에 새로운 방향을 모색케 하여 기존의 PLC-Base의 시스템을 PC-Base의 시스템으로 전환시켜주는 촉매제가 되었다. PC-Base 시스템이 다양한 기능과 장점을 가지고 PLC를 대체해 나가고 있으며 PLC 장치도 새로운 환경에 맞춰 소형화, 지능화, 및 네트워킹 기능을 강화하여 새로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산업 현장의 움직임에 맞추어 PLC를 사용하는 산업 현장의 자동화 기기에 대하여 기존 PLC 장치를 그대로 유지토록 하며, 기존 기기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PC-Based 시스템을 구현하여 TCP/IP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장치들을 네트워크 연결로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을 가능토록 하려 한다. 이를 위하여 PC-Based 제어 시스템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위해, 임베디드 기반의 Windows CE TCP/IP 서버를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