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리경관 변화를 관점으로 한 조르주 외젠 오스만의 인물평가

        서자유 ( Seo Jayoo ),김한배 ( Kim Han-bai ) 한국경관학회 2017 한국경관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프랑스 파리의 도시경관의 형성과정에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을 조명한다. 파리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도시 경관형성이 된 주요 사건을 살피고, 그중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파리대개조 사업과 주도적 역할을 했던 조르주 외젠 오스만의 정책과 사회적 배경을 살피고, 행위설명이론으로 그에 대해 평가한다. 행위설명은 역사교육분야에서 인물에 대한 탐구 방법인데, 역사를 인과적 사건으로 접근하는 연구방법이다. 인물의 특성 행위 인지, 행위결정의 이유, 행위자의 상황과 성향에 대한 자료 수집, 수단의 선택과 행위의 결정, 행위자의 계산(행위)을 검증, 이해 및 평가의 순서로 인물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리의 도시경관사를 살피고, 영향을 미친 사건이나 인물을 종합 정리하였다. 그중 현대의 도시경관의 구조의 틀을 완성한 오스만을 행위설명의 방법으로 평가한다. 19세기 말 나폴레옹Ⅲ세가 집권하던 때에 파리는 산업화의 진행으로 인한 도시환경문제가 있었으며, 해결을 위한 파리시장 오스만은 '대개조'라는 개혁적 사업을 추진한다. 행정시스템, 환경문제, 도로체계, 상하수도 시설, 건축 및 도시공공디자인, 도시숲의 조성 등 종합적인 사업을 진행하였다. 진행방식에 있어 과도한 추진방식에 따른 부정적 결과도 있다. 그러나 도시문제의 종합적 해결을 위한 개혁적인 추진을 진행한 것을 장점으로 평가된다. 특히 경관변화를 관점으로 평가할 때 파리의 기하학적 경관구조를 완성하였고, 그의 행위 방식은 '파리대개조', '오스만 양식'이라는 도시브랜드적인 경관사업, 산재한 도시문제의 종합적 해결과정에서 도시의 미관을 고려하며, 결과적으로 도시경관을 완성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illuminates historically important figures in the formation of the Parisian landscape. This study examine the major events that have formed urban landscapes in the historical flow of Paris, and examine the policy and social background of Georges Eugene Osman,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major influence of the Paris major renovation project. and explain through the theory of the behavior explanation theory. this study we examined the landscape of Paris and summarized the events and figures that influenced it, Osman in particular. At the time of Napoleon III's reig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Paris had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mayor of Paris, Osman is pushing for reform projects. He takes administrative system, environmental problem, road system, water and sewage facilities, architecture and urban public design, and urban forest development. When evaluating the landscape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the landscape, the geometric landscape structure of Paris was completed. His behavior considered the aesthetics of the city in the comprehensive settlement of urban landscape projects such as 'Paris Renovation', 'Osman style'.

      • KCI등재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주민 선호 조사를 통해 본 친밀감 강화방안 연구

        서자유 ( Seo Jayoo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한국의 대표 주거형태인 아파트 내에서 이웃과 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파악하고, 이웃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 정서를 진단하고 공동체의 친밀감 저해의 원인과 공공공간의 개선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조사 결과, 아파트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였다. 아파트는 정서적으로 개인의 사적 영역을 중시하면서 동시에 물리적으로는 타인과 매우 밀접하게 붙어 있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이웃끼리 갈등과 분쟁관계로 지내고 있다. 이미 지역공동체는 공공의 과제로 대두되어 있다. 사람들이 인근 거주자와 이웃을 이루는 비율은 매우 저조했다. 그러나 긍정적인 점은 사람들은 ‘이웃’의 의미를 ‘지리적 연결성’으로 생각하였다. 사람들이 이웃을 사귀게 되는 계기가 대부분 특별한 관계가 아닌 쉬운 인사하기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우리는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주침과 인사하기, 공동 활동을 유도하는 공공공간이 필요하다. 공공공간의 공유기능의 한계도 발견되었다. 아파트에서 이웃과 공동체를 이루는 비율이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아파트 커뮤니티 공간이 공동체형성에 영향이 거의 없었다. 반면에 사람들은 이웃을 사귀기 위하여 열린공간과 공동활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공원, 산책로와 같은 여유 있는 공간에서 우연한 마주침을 유도하고, 운동공간, 텃밭과 같은 공동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연령간 친밀감에 대한 조사결과, 사람들은 고령자와 이웃이 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사람들은 고령자 우대 문화에 불편함을 느끼며 이용 연령에 따른 공간의 계층분리가 하나의 원인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사람들은 취미와 문화를 공유하고 인사하기 등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연령별로 상호 맨티와 맨토를 이루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아파트 내 정서적 친밀감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만들기가 중요하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problems of neighborhoods and communities within apartm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housing forms of Korea, and to diagnose the general feelings of neighboring people and find ways to inhibit community intimacy and improve public space. The investigation found an impact of the apartment on society. apartments are emotionally emphasizing private areas of individuals, while at the same time physically, they are very closely attached to others, so they are spent in conflict and conflict between neighbors who live closest to each other. the community has already become a public issue, and the proportion of neighboring residents and neighboring people is very low. But the positive point is that people consider the meaning of their neighbors to be “geographical connec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s begins with simple greetings, mostly rather than special relationships. Therefore, efforts to change the limit of physical space are necessary; public spaces to induce encounters, greetings, and joint activities are necessary. Limits of shared functions in public space were also found; the ratio of apartment neighbors to communities was confirmed to be very low; the community space in apartments had little effect on community formation. On the other hand, people said that open space and joint activities are necessary to create neighbors, and joint activities such as exercise space and domestic garden are very important by inducing them to meet by chance in spaces where there is room such as parks and promenad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intimacy between ages, people felt burdened by becoming elderly and neighbors, People thought that they needed to share and greet hobbies and cultures, and there was also the opinion that education was necessary to connect Manty and Manto to each other by age. This paper describ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space making for emotional intimacy in apartments.

      • KCI우수등재

        한반도 자생식물로 조성한 해외 한국정원 연구 -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

        서자유,Seo, Jayoo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4

        이 연구는 독일 베를린에 조성된 예술정원 작품인 「Das Dritte Land(제3의 자연)」를 사례로 한반도 자생식물을 이용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기법을 고찰한 연구이다. 한국의 정원 작가들이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고, 한국정원의 세계화를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정원가가 활동력을 넓혀갈 수 있는 현실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한반도 자생식물의 활용과 가치를 재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작품은 베를린 장벽 붕괴 3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인왕제색도를 모티브로 우리나라의 산수화적 풍경을 구현하고자 백두대간의 지리적 형태를 검은 기암괴석으로 재현하고, 한반도의 자생화를 베를린으로 가져가 정원을 조성했다. 분단 이후 통합될 수 없는 한반도에 생물군들이 어우러져 만개하는 초현실적 바이오톱(biotope) 유토피아(utopia)이다. 본 연구는 남과 북의 화합과 어우러짐의 상징 주체인 한반도의 자생화를 대상으로, 식물 조사 분석, 운반 및 안정화, 식재계획, 조성, 모니터링의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반도 자생식물이 해외의 정원에서 해석되는 의미는 한반도의 생태계를 하나로 묶는 메시지로 작용하였다. 독일의 분단 경계지에서 한반도의 어린식물이 뿌리내리고 꽃을 피우고 씨앗이 번져가는 과정은 한반도 통일의 염원을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정원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예술 프로그램들은 남북의 문화적인 대화와 소통의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해외에 정원을 조성하는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식물 연구 기관의 협조가 식물의 이송과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과 한국정원가의 해외 진출은 우리나라 정원 문화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chniques of creating gardens overseas using native plants from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the case of 'Das Dritte Land', an art garden created in Berlin, Germany. While Korean garden artists are recognized worldwide and are planning to globalize Korean gard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information so that Korean gardeners can expand their activities and rediscover the utilization and value of plants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work began as part of a project to mark the 30th anniversary of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To realize the landscape of Korea with the motif of Inwang Jesaekdo, the geographical shape of the Baekdu-Daegan trail was reproduced with black stone, and the naturalization of Korean peninsula species was utilized in the creation of a garden Berlin. It is a surreal bio-top utopia that blooms with the bio-groups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plant survey analysis, transportation and stabilization, planting planning, composition and monitoring, and targeting the self-growth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a symbol of harmon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planting of Korea's native plants in overseas gardens symbolizes the uniting of the ecosystem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s young plants taking root, flowering, and spreading along Germany's previously divided border metaphorically conveys the desire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various art programs in the garden space suggest a foundation for cultural dialogu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Moreover, creating gardens overseas implies that the cooperation of plant research institut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fer of plants and the maintenance of life, while the advancement of Korean gardens overseas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spread of garden culture in our country.

      • KCI우수등재

        소쇄원의 수용미학적 해석

        서자유,Seo, Jayoo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3

        이 연구는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한국전통정원인 소쇄원을 해석한 연구이다. 수용미학의 '틈'이란 '작가와 독자 간의 지평의 어긋남을 통해 생기는 틈새'이다. 작가가 의도하는 것과 독자의 기대 지평이 달라 생기는 틈을 독자가 작품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작품을 구체화시킨다. 공간의 경계를 한정하지 않고, 공간의 성격을 한정하지 않으려는 것은 한국 전통공간에서도 나타나는 같은 성격이다. 작가-작품-독자의 삼중 구조를 중심으로, 작가의 측면에서 정원의 조영가의 생애와 사상, 정원에 내재한 철학을 살피고, 작품의 측면에서는 정원의 형태적 특성을 찾아보았다. 독자의 측면은 정원 안에서 풍류를 즐기는 당대의 사람들의 감상행위와 현재에 그 공간을 조명하는 현대인의 감상으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작가적 측면의 생소화는 조영가 양산보의 철학을 알 수 있었다. 소쇄원은 양산보의 삶의 철학이 장소의 이름들로 묻어나는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작품의 측면에서 이원적이며 미확정적인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인공의 문양이 자연의 질서에 맞춰 배치되어 자연스러움을 연출하는 이원성이 있는 정원이며, 열린 경계로 인한 억지스런 방향의 강요가 없어 흐름이 자유롭고 관념에 따라 확장하거나 나눌 수 있는 자유로움이 있는 미확정적인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독자의 측면에서 구체화는 풍류활동을 통한 감상과 현대의 시각에서 기인한 감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곳은 시서화를 통해 시적 표현으로 승화되는 풍류의 정원이다. 현대의 감상에는 소쇄원과 양산보의 삶을 일체화하고, 선인들의 예술성에 감탄하며, 동시에 현대인의 자세에 대한 반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 전통정원은 관념에 따라 자유롭고 감상자의 참여를 통해 그 의미가 풍부해지는 열린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rpreted a traditional garden of Korea through reception aesthetics. The 'gap' of acceptable aesthetics is found in the 'distance that occur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is gap between what the writer intends and what the reader expects. Boundaries do not limit traditional spaces in Korea and, therefore, are not limited by characteristics. Thes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author, the work, and the reader. The aspect first looked at the life and ideas of the gardener, the second analyzed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garden, and the last examined writings, from the past and present, of those who appreciated the garden.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Sosoewon was understood as a garden that embodied the philosophy of Yang Sanbo. Second, the duality and indeterminateness were recognized as two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rtifacts in the garden were arranged in a natural form, and the gardens have indefinite boundaries, so they can be freely expanded and reduced. Finally, from the reader's perspective, it was noted that the beauty of this garden is enhanced through poetry, painting, and writing. Thus, historic gardens of Korea can be open spaces where the meaning of the garden is enriched through the free participation of viewers based on their own ideas.

      • KCI등재

        수변경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자연형 하천 이용행태 및 만족도

        하혜경 ( Hyekyung Ha ),서자유 ( Jayoo Seo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하천법 전면 개정 이후 친환경 하천계획 수립에 따라 복원된 자연형 하천을 대상으로 지역민들의 하천 이용행태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하천 자체의 환경과 생태자원에 대한 접근에서 지역민 참여와 프로그램 참여 등 자연형 하천의 수변경관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연형 하천 유형에 따라 지역하천, 근린하천, 소하천으로 구분하여 각 하천별로 50명을 대상으로 총 291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연형 하천은 지역하천, 근린하천, 소하천 등 하천의 규모와 길이, 고수부지의 상황에 따라 지역민들의 이용행태와 요구사항이 상이하므로 자연형 하천의 수변계획시 하천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깅로, 운동공간, 체육시설 등 운동공간이 많은 규모가 큰 하천 일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활동적인 운동시설에 요구도가 높고, 장시간 이용자가 많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조경시설이 요구된다. 셋째, 자연형 하천이 소하천의 경우는 고수부지가 협소하고 수목량과 그늘이 부족하여 휴식시설 등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추후 소하천의 수변공간에 세심한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연형 하천의 수변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주민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하천 이용행태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자연형 하천 연구가 수질, 수량, 동·식물 환경조사 등 생태환경연구에 치중하였던 것을 한계로 삼아 도심 내에서 자연형 하천의 수변경관 이용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연형 하천 수변계획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6개의 하천이 전국의 지방하천, 근린하천, 소하천을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연구 표본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river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on natural rivers restored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eco-friendly river plans after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River Law. This aims to revitalize the use of natural rivers, such as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program participation in access to the environment and ecological resources of the existing river itself. As a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natural river, it was classified into regional rivers, neighboring rivers, and small rivers, and a total of 291 people were surveyed for 50 people for each riv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river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on natural rivers restored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eco-friendly river plans after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River Law. This aims to revitalize the use of natural rivers, such as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program participation in access to the environment and ecological resources of the existing river itself. As a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natural river, it was classified into regional rivers, neighboring rivers, and small rivers, and a total of 291 people were surveyed for 50 people for each river.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natural type rivers are comprehensively conceived such as rivers, waterside land use, and park green areas in the planning stage, but they are separated in the detailed design stage, and the consistency of river and waterfront planning is not maintained. Second, natural type rivers have different usage behaviors and requirements depending on the size and length of rivers such as regional rivers, neighboring rivers, and small rivers, and the situation of the reservoir site, so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plan the waterfront plans of natural type rivers. Third, in the case of small rivers of natural type rivers, the demand for rest facilities is high because the high water site is narrow and the amount of trees and shade is insufficient, while the demand for active sports facilities is high in rivers with large river sizes such as neighboring rivers or regional rivers. It is high and there are many users for a long time, so a landscaping facility corresponding to this is required. This study is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ater conversion landscape of natural type rivers, and by conducting a survey on river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through residents’ perception survey, the existing natural river research is based on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water quality, quantity, animal and plant environment survey. It is a method to further revitalize the watersides of natural rivers within the city, taking the focus on research as a limit, and is meaningful as basic data when planning natural rive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ample because six rivers are limited to represent local, neighboring and small rivers nationwide.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 분석 - 한국경관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변재상 ( Byeon Jae-sang ),서자유 ( Seo Jayoo )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경관학회지 분석을 통해 과거의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경관학회에서 출판하는 한국경관학회지는 총체적인 경관의 조성과 이에 대한 평가 등 종합적인 접근을 주요 관심 분야로 하여 학술적 논문을 모집 및 수록하고 있다. 한국경관학회지는 도시를 비롯한 국토 공간의 경관에 관한 전문학회지로서 2009년 12월 제1권 제1호 발행을 시작으로 2019년 12월 제11권 제2호까지 총 21호 발행하였다. 매년 2회씩 매호 4∼6편의 논문을 발간하여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은 총 101편이며, 호당 평균 4.8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경관학회지의 모든 논문의 국문 초록, 영문 초록, 주제어, 서론, 결론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대량의 텍스트로부터 중심을 이루는 키워드를 찾아내 연구의 경향을 찾아내었다. 연구의 동향은 연도별로 주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내용 분석은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해 연구의 목적, 연구 대상지, 연구 관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경관연구의 특성은 다음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경관학회지의 성격은 경관의 분석, 계획, 설계, 관리를 위한 실용 연구이다. 둘째, 시기별 연구 동향은 경관법과 제도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계된다. 셋째, 경관학회지 연구는 도시학과 맥을 함께 하는 학문이다. 넷째, 연구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의 목적은 장소성·인식, 디자인·설계, 평가·보전, 개발·사업, 이미지·선호도 조사로 유형화되었다. 연구 대상지별 연구 관점은 농촌 지역은 보전과 인식, 역사문화 지역과 기반시설은 장소성과 환경 보존, 자연경관은 조망과 변화 관찰, 공원 및 녹지는 경관협정 및 사업, 아파트는 조망과 이미지를 관점으로 하였다. 다섯째, 경관 분야의 과제로서, 경관행정은 공간의 보전, 장소성, 이미지를 위하여야 하며 경관연구는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환경을 보존하는 공익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한국경관학회 태동부터 최근까지 모든 학술 논문들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몇 가지 과제를 얻었다. 한국경관학회지의 게재 논문의 분량 확대, 비슷한 방식으로 한국경관학회에서 수행한 연구용역의 주제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경관 정책 파악, 앞으로의 경관연구의 방향과 정책적 담론 고찰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s and topics of landscape research in the pa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 Landscape Council(KLC) and to envis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LC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LC, recruits and contains academic paper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pproach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overall landscape and evaluation of it. KLC, a Journal of landscape with respect to the nationwide land space including cities, issued its first edition in 2009, December and published the 11th edition in 2019, December, completing its 21th one in total. KLC publishes 4∼6 papers per issue twice a year, reaching its total sum 101 papers with an average of 4.8 papers per issue. We use the research method of studying Korean abstracts, English abstracts, keywords,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entire KLC, deducing the pivotal keywords from the massive amount of texts through text mining in order to find the research tendency. The trend of the study was observed by year. The analysis of content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 which derived research purpose, research area, and research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LC study is a practical one for the analysis,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landscape. Second, the research trends by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landscape law and system. Third, KLC study shares the theme of urban studies. Fou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tegorized into place and perception, design, evaluation and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business, image 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in study. The research point by research subject is as follows; preservation and recognition in rural area, place and preserving environment in historical, cultural and infrastructure area, observing landscape and change in natural scenery, landscape agreement and project in parks and green spaces, view and image in apartment. Fifth, as a task in the field of landscape, it is concluded that landscape administration should conduct in line with preservation of space, placeness and image, and landscape research should follow the public value of formation of city image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pplying text mining method to entire academic journals covering from the very beginning of KLC to the most recent one, and also several assignments can be obtained in the course of it. To creas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KCL, to identify landscape policy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opics of research services conducted by KLC in a similar way, and to review the direction of future landscape and policy discourse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