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3세기 카스티야인 곤살로 데 베르세오(Gonzalo de Berceo)의 시를 통해 본 반유대주의

        서영건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06 이베로아메리카 Vol.8 No.1

        The first who wrote brief narratives in Spanish verse whose name we know was Gonzalo de Berceo(c.1196-c.1264). He was born in the region of La Rioja in the final years of the 12th century. Milagros de Nuestra Señora is one of his most famous works.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his anti-semitism in Milagros de Nuestra Señora. Out of the total number of 25 Milagros, the figure of the Jew appears in 4. This study divided these 4 presentations into three categories, while these categories overlapped to a certain extent. Berceo shows Jews as enemies of Christianity, devil's disciples, symbol of avarice. In these categories there are images of unbelievers, ritual murderer, demonic and false people, traitor, and so forth. While both Berceo and Alfonso X incorporate into their collections four of the same miracles dealing with Jewish characters, the version of Berceo is more graphic than that of Alfonso X. Berceoi's originality stands out in many aspects of his miracles. He constantly amplifies the Latin, on which he mainly based his version of the tale, with various details to inspire interest in his readers and audiences. The descriptions of Jews which Berceo furnishes are also more vivid than those of Alfonso X. Anti-Semitic stereotypes are undeniably present in all these stories. Berceo carries anti-Semitic overtones for his audiences, amplifying and emphasizing the anti-Semitic elements which are related to the Jewish characters. His stor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the culture of anti-Semitism in medieval Spain.

      • KCI등재

        중세 스페인의 유대인 여성 담론 : 알폰소 8세의 정사(情事) 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영건 부산경남사학회 2022 역사와 경계 Vol.124 N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trace the historical formation of stereotypical sexual images of Jewish women held by Christian men in the Iberian Peninsula. The process of imaging Jewish women as sexual objects can be grasped through the story related to the affair between Alfonso VIII and a Jewish woman. The discourse on the love affair between Alfonso VIII and a Jewish woman developed over time, focusing on the beauty of the Jewish woman while emphasizing her sensual and erotic charm to the extreme. The sensuality of Jewish women was essentially an object of Christian men's sexual desire, and the embodiment of the image of Jewish women as sexualized beings can be seen as a historical product of the Reconquesta. The formation of Jewish women's sexuality is closely related to a series of royal fueros, municipal charters, which were made during the Reconquista. In these municipal chart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boundaries for interreligious sexual activity were specifically mentioned. Its main content is the fact that it provides a double standard for sexual unions between pagan men and women with Christians. These discriminatory legal mechanisms ac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exuality of Jewish women. The story of an affair between Alfonso VIII and a Jewish woman was formed against the background of an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es, that is, an asymmetrical and colonial power relationship. This is the most famous episode of the Jewish beauty and is a product of the historical situation set in the Iberian Peninsula, but the (re)construction of the discourse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situation that shaped the image of the typical Jewish beauty in Europe since the Middle Ages. 이 글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남성이 가진 유대인 여성에 대한 정형화된 성적 이미지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추적하고자 한 것이다. 성적 대상으로서의 유대인 여성에 대한 이미지화 과정은 알폰소 8세와 유대인 여성의 정사와관련된 이야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이 이야기는 산초 4세의 『계율서』와일련의 연대기에 중요한 소재였다. 알폰소 8세와 유대인 여성의 정사 이야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대인 여성의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관능적이고 에로틱한 매력이 극단으로 강조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유대인 여성의 관능미의 본질은 기독교 남성의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포착되었으며, 성애화된 존재로서 유대인 여성의 이미지가 구체화되어가는 것은 재정복의 역사적 산물로 볼 수 있다. 유대인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형성은 재정복 시기 만들어졌던 쿠엥카 법을비롯한 일련의 자치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 자치법에서는 종교 간 성행위에 대한 경계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 주된 내용은 이교도 남성들과 여성들이 기독교인들과 맺게 되는 성적 결합에 대해 이중적 잣대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차별적인 법적 장치가 유대인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알폰소 8세와 유대인 여성의 정사 이야기는 두 당사자 간의 불평등 관계, 즉 비대칭적이고 식민지적 권력관계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이것은 유대인 미녀의 에피소드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으로 이베리아 반도를 배경으로 한 시대상황의 산물이지만, 이 정사 이야기의 구성은 중세 이래 유럽에서 전형적인 유대인 미녀의 이미지를 형성해나간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 KCI등재

        중세 이베리아의 재정복과 성모 마리아의 이미지 - 『성모 마리아 찬가』를 중심으로 -

        서영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4

        본고에서는 성모 마리아 찬가의 재정복에 관련된 기적 이야기를검토하여 전쟁의 수호자로서의 마리아가 표상화되는 과정과 전사로서의 행동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럽에서 성모 마리아 숭배가 확산된 시기는 이베리아의 재정복 시기와 겹치는데, 그런 만큼 이베리아에서는 정복의 수호성인으로서의 표상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측면은 성모 마리아 찬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기독교 전사들에게있어 마리아는 연인이자 주군으로 설정된다. 전사들은 사랑하는 연인인 마리아를 위해 전투에 참가하는 한편 주군에 대한 봉사 의무를 수행한다. 그 대가로 그들은 보상과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 특히 마리아의 전쟁 수행과 승리는 가장 값진 보상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마리아는 정복의 수호성인으로 표상되었던 것이다. 문학 작품 곳곳에서 마리아는 방어자 내지 공격자로서 무슬림과의전투에 적극 참여한다. 정복지의 주요 모스크가 마리아에게 봉헌된 교회로 개조된 것은 정복의 완결성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rgin Mary and the reconquest by analyzing the Cantigas de Santa María. Iberia didn’t follow a general European process with relation to Holy Mary. In medieval Iberia Mary took on the image of the conqueror and warrior. Mary and Christian soldiers including Alfonso X formed the relationship of feudal lord and vassals. In addition to it, Christian men saw Mary as their ladylove. They went to war against the Muslim army to serve Mary, and expected great rewards from Mary in exchange for their services. She and Christian soldiers formed warrior community for fighting Muslim army. In Cantigas de Santa María Mary herself controlled and destroyed the attack of Muslims. She became a subject and symbol of conquest. The main mosques were converted into churches, which were dedicated to Virgin Mary. It symbolize a spiritual domination of conquered territories.

      • KCI등재
      • KCI등재

        중세 말 스페인의 콘베르소 문제와 ‘피의 순수성’ 법령의 제정

        서영건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10 지중해지역연구 Vol.12 No.4

        The great pogrom of 1391 spread to lots of towns, and meanwhile many Jews converted to Christianity. Indeed the possibility of mass conversion of Jews, a dream of Spanish Christians seemed to be realized. However, soon Old Christians came to feel that it was a disaster rather than a blessing. Every legal restriction imposed on the Jew was erased completely, and all offices in Church and state were open to conversos, Jewish converts. It threatened the lives of Old Christians. Thus anti-converso responses were developed to exclude conversos. Conversos were recognized as pseudo-Christians adhering to the past faith. In addition, some Christians began to doubt that baptism could transform the Jewishness of converts. Conversos came to constitute a independent group different from Old Christians. Especially alboraycos, one of various terms used to name converts evidences their situation. The term derived from Libro del Alborayque written around the mid-fifteenth century. Alborayque is a monster composed of numerous animals. Alborayque, the author explains, was one of the names applied to the Jewish converts. Thus, the term implied that the conversos were neither Jews nor Christians. Now conversos constituted a new type of the Jewish group. Thus a new legal definition was needed to control conversos. Not long after the mass conversion of 1391 Old Christians began to insist on a new difference, ie., blood, and the purity of blood logic was invented. As a result, the regulations known as the statutes of the purity of blood were the attempt to deprive conversos of the privileges they had enjoyed as Christians.

      • KCI등재
      • KCI등재

        중세 스페인의 재정복과 변경

        서영건 효원사학회 2017 역사와 세계 Vol.- No.52

        스페인 중세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중세사를 애국적이고 종교적인 재정복 과정으로 보는 인식 틀로서, 그 과정은 궁극적으로 근대 스페인 국가로 귀결된다고 파악한다. 둘째는 중세를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문화가 혼종된 시기로 인식하며 스페인 사회를 다문화적인 공존(콘비벤시아)의 산물로 규정한다. 중세 이베리아 반도의 다양성은 이 두가지 인식 틀로 완전히 설명될 수 없다. 이 두 입장은 중세 시대의 현실을 일부 반영하기도 하지만 역사를 지나치게 도식적으로 보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분법적인 시각을 넘어 변경이라는 독특한 역사적 현실이 기독교-이슬람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여러 사례들을 들어 검토해보고자 한다. There are two broad views on medieval Spain. One emphasizes the cross-cultural coexistence(convivencia) among Jews, Muslims, and Christians in medieval Iberia. The other is to recognize medieval Spanish history as a patriotic and religious process of reconquest (reconquista). However, medieval Spain is notable for its political, cultural, religious, and ethnic hybridity. The historical diversity of the Iberian Peninsula can not be fully explained by these two perspectives. The two views reflect part of the reality of medieval Spain, but they can fall into the error of understanding history schematically. In this article, I will examine various examples of how the historical experience specific to the Iberian Peninsula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