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흉요추부 골절에서 후방 단분절 유합술의 생존 분석 : load-sharing score 및 골밀도의 유용성 Significance of Load-Sharing Score and Bone Mineral Density

        이창섭,최장석,김영창,서승석,안기찬,전진욱,신재훈,나채오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 후방 단분절 유합술만으로 치료한 흉요추부 골절의 기기 생존율을 구하고자 하였으며, 고정 실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5년부터 1999년 사이에, 후방 단분절 유합술만을 시행한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앙 추시 기간은 20.5개월(5∼54)이었다.Kaplan-Meier방법에 의해 기기 생존율을 구하였으며, 방사선적 인자인 술전 시상 지수, 척추체 압박 정도, Jikei grade, load-sharing score 그리고 교정 정도 등과 연령을 대상으로 고정 실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겨과 : 시상 지수는 술전 16.7°(±7.9 이하 SD), 수술직후 6.9°(±4.6) 그리고 추시시 10.6°(±6.9)이었다. 고정 실패는 4례에서 있었으며, 시기는 6개월에서 11개월(중앙치 7.5) 사이이었다. 기기 생존율은 82.3%이었다. load-sharing score, Jikei grade, 척추체 압박 정도, 연령이 단변량 분석상 의미있는 예후 인자이었으나, 다변량 분석상 load-sharing score, Jikei grade만이 유의한 예후 인자이었다. 결론 : 생존 분석상 후방 단분절 유합술의 고정 실패율은 17.7%이었다. 흉요추부 골절 환자 수술시 방사선적으로 load-sharing score와 골감소 여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후방 단분절 유합술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 To evaluate the fixation survival rate and the radiologic prognostic factors of posterior short fusion in thoracolumbar fracture. Summary of background data : Posterior short fusion has the advantage of saving motion segments in spite of high fixation failure rate. The high load-sharing score is well known as a cause of fixation failure. but the effect of osteopenia is not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 Authors evaluated 27 patients treated surgically with posterior short fusion using pedicle screws as thoracolumbar fractures from 1995 to 1999. The median follow-up was 20.5 months (6-54), The survivorship using Kaplan Meier method and the radiologic prognostic factor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sagittal index was preoperatively 16.7°(±7.9 SD). immediate postoperatively 6.9°(±4.6), and at last follow-up 10.6°(±6.9). The fixation failures were detected in 4 patients. and the failure time was ranged from 6 months to 11(median 75).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82.3% at the last follow-up. The significant prognostic variables were load-sharing score. Jikei grade. compression percent and age in uni-variate analysis. but the load-sharing score and Jikei grad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 In decision to perform posterior short fusion. the load-sharing score and evidence of osteopenia should be considered as a prognostic factors to avoid fixation failure in thoracolumbar fracture.

      • Joint Leveling Operation을 이용한 Kienbo¨ck씨 질환의 치료

        이창섭,최장석,김영창,서승석,안기찬,전진욱,신재훈,나채호 인제대학교 2001 仁濟醫學 Vol.22 No.1

        Purpose: We studied the Joint leveling operation in the treatment of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from 1992 to 1997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en 12 months were reviewed in terms of radiologic analysis and clinical results. Results: There were increase in Grip power and wrist ROM and also decrease of carpal collapse in 2 cases and no change in 8 cases. Conclusions: Joint leveling operation was good method for initial treatment of Kienbo¨ck disease compared to other procedures in terms of its simplicity and no change in carpal bone.

      • KCI등재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의 시상 균형 및 보상 작용

        이창섭,최장석,김영창,서승석,안기찬,손상동 대한척추외과학회 200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8 No.1

        목적 : 요추 척추관 협착증에서 시상면상의 체간 균형과 시상 요소들의 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대상 기전에 주로 관여하는 시상 요소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14x36인치 기립 측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다. 제 7경추 수선 거리와 고관절 굴곡각을 측정하여 체간 균형 상태를 파악하였다. 흉추 후만각, 요추 전만각(유합 분절각, 인접 분절각)그리고 골반 경사각을 측정하고, 한국인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대상 기정에 주로 참여하는 요소를 파악한고자 하였다. 또한 술후 추시상 유합 분절각의 교정 정도에 따라, 체간 균형의 변화와 시상 요소들의 변화를 통해 대상 기전과 이에 참여하는 시상 요소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과 : 술전 시상 정렬은 제 7경추 수선 거리가 +3.04cm(±0.91;이하 SD), 흉추 후만각 30˚(±12.1), 요추 전만각 43.1˚(±14.7), 병소 분절각 21.5˚(±14.9), 골반 경사각 21.7˚(±8.2)이었다. 시상 균형의 평가상 8명을 제외한 55명에서 채간 균형 상태를 보였다. 정상 범위와 비교해 흉추 후만각은 평균 2.0˚감소한 반면 골반 경사각은 10.1˚증가를 여였으며, 흉추 후만각은 8명에서 정상 범위보다 감소한 반면, 골반 경사각은 49%인 31명에서 정상 범위보다 증가하여 골반 경사각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상 기전에 참여하였다. 술후 유합 분절각이 5˚이상 증가한 14명에서는 유의한 제 7경추 수선 거리의 후방 이동이 있었으며, 5˚이상 악화된 11명에서는 제 7경추 수선 거리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인접 분절각이 대상 기전의 참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과신전 상태를 보였다(유합 분절각 9.8˚의 감소에 따른 인접 분절각의 7.1˚증가). 결론 :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은 대부분 전방 이동된 제 7경추 수선 거리를 보이는 대상된 체간 균형 상태를 보였다. 시상면상의 대상 기전에는 인접 분절각과 골반 경사각의 증가가 주로 작용하고 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sagittal alignment and the main factors contributing to sagittal compensatory mechanism in lumbar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 63 patients of spinal stenosis surgically treated were evaluated using 14x36 inch standing lateral films. The global sagittal balance was measured with C7 plumb line and hip flexion angle. The thoracic kyphosis, lumbar lordosis and pelvic tilting angle were compared to each of normal korean values to find out main factors participating in compensatory mechanism. At last follow-up,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the changes of sagittal parameters and global balanc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rrection amount of pathologic segments' angle to understand the compensatory mechanism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Results : The C7 plumb line was +3.04 cm(±0.91 SD), thoracic kyphosis 3O.0˚(±12.1), lumbar lordosis 43.1°(±14.7) and pelvic tilting angle 21.7°(±82). All patients except 8 showed global compensation state. The differences compared to normal korean values were 10°of pelvic tilting angle and 2°of thoracic kyphosis. Pelvic tilting angle was more contributing factor of compensatory mechanism than thoracic kyphosis. At last follow up, 14 patients surgically corrected 5˚or more showed significant posterior shift of C7 plumb line and increased lumbar lordosis(p<O.o5). 11 patients aggravated So or mor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adjacent segment angle to participate in compensatory mechanism(p<O.o5). Conclusion : Most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s showed compensated sagittal balance state. Adjacent segments and pelvic tilting were thought as main contributing factors of compensation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