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Yonsei Dictionary> from a Korean Informatics Perspective

        서상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3 No.-

        이 논문에서는, 1986 년 이래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 과정의 전개와 국어정보학의 태동과 발전의 흐름을 소개하고, 올림말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정보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 과정에서 특히 올림말의 선정에 잦기(빈도) 정보를 활용한 것에 착안하여, 실제로 이 사전의 올림말 구성이, 오늘날 더욱 진전된 정교한 말뭉치 주석(분석)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과연 얼마만큼의 타당성을 갖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약 5 만 개의 올림말로 이루어진 <연세한국어사전>의뜻풀이는 어떠한 낱말로 이루어졌으며, 과연 이 사전의 올림말로 뜻풀이를 어느 정도나 이해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 이 사전의 전체뜻풀이문을 추출하여 말뭉치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뜻풀이말뭉치에는 모두 21,490 개의 단어와 형태(조사와 어미 등)가 쓰였으며, 그 빈도수를 다 합하면766,322 개가 된다. 모든 뜻풀이의 95.1%의 사용 어휘가 <연세한국어사전> 즉 YKD(1998)의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이 사용된 전체 빈도수의 합계는 뜻풀이 말뭉치 전체의 98.7%에 이른다는 놀라운결과를 얻게 된다. 서상규(1998)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사전이 실제말뭉치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중요 어휘를 추출하여 표제어로 수록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는 것이다. YKD 사전의 표제어 중 실질어휘는 총 47,877 개이다. 이 실질어휘중에서 실제 사전의 뜻풀이에 사용된 것은 18,105 개로 전체의 약37.8%에 불과하다. 이 점을 미루어 본다면, YKD(1998)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뜻풀이 사용 어휘를 매우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고 평가할 만하다. 문법형태 표제어의 출현 비율은 평균적으로 48.4%로 나타나서, 앞서살펴본 실질어휘 표제어에 비해서, 10% 이상 높다. 즉 문법형태는 뜻풀이에 훨씬 더 자주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YKD 의 표제어가 실제 말뭉치의 사용 양상을 얼마나 충실히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어와 구어 균형 말뭉치(각 100 만 마디)의 주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성격이 다른 두 개의 균형 말뭉치(구어와 문어)의 단어 목록과 일치하는, YKD 의 표제어들의 빈도수의 합은, 전체 말뭉치의 무려 90.7%를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실은, <연세한국어사전>이 실제로 말뭉치의 분석에 기반을 둔 국어정보학적 편찬 방법에 충실했다는 사실을뒷받침해 준다. 이와는 반대로, 올림말의 약 34%에 해당하는 16,637 개의 단어(형태)는, 2 개의 말뭉치에 나타나지 않았고, 특히 구어 말뭉치의 사용 단어가 소극적으로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마당극의 공연양식적 특성에 기반한 연기연출방법론 연구

        서상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연기예술연구 Vol.13 No.3

        마당극은 전통 연희인 탈춤, 가면극, 풍물, 춤, 판소리, 민요 등을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킨 우리나라 고유의 연극 양식이다. 특히 마당극은 60년대 탈춤부흥운동의 성과를 이어받았고 탈춤을 비롯한 전통연 희로부터 이끌어낸 공연 예술적 미학을 근거로 마당극의 양식적 특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후 70-80년대 를 거치면서 약 20여 년 동안의 마당극은 당시의 비민주적 정치체제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해소와 실천 을 위한 진보적이고 민중적인 예술로서 그 위치를 공고히 하고 왕성한 활동을 펼친다. 그러나 90년대 초 김영삼 문민정부가 탄생하자 정치와 사회는 안정을 되찾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마당 극도 쇠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90년대 중반 이후 시작된 마당극 쇠퇴가 지금도 여전한 것처럼 느껴진다. 오늘날의 마당극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배우가 관객과 댓거리를 조금 하거나 노래 몇 마 디를 함께 부르거나 극 중에 풍물이나 민요가 한 두곡 정도 나오면 마당극’이라고 여긴다. 우리 고유의 극형식인 마당극이 서양연극의 하위 예술로까지 자리 매겨지고 있는 분위기다. 마당극은 관객의 참여와 개입이 중시되는 공동체적인 연극이고 언어보단 몸의 움직임이 강조되는 아 날로그적이고 인간의 원초적인 연극이다. 지난 20여년의 침체기를 벗어나 멀티미디어와 융복합의 시대, 개별화와 정보화의 시대에도 어울리는 공연예술로서 마당극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고는 ‘극 구성’, ‘공연 공간’, ‘관객’ 그리고 ‘연기’ 등 마당극의 주요한 양식적 특성을 재 고찰 하여, 마당극이 우리 고유의 훌륭한 공연 양식으로 되살아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Madangkuk is an unique and creative theatrical form that originated from traditional Korean entertainment genres such as mask and folk dance, percussion, Pansori, and folk songs. It inherited the achievements of its renaissance movement in the 1960’s and its format was based on the artistic aesthetics derived from traditional entertainments. Through the 70’s and 80’s, Madangkuk solidified its position as a progressive and popular art to criticize and dissolve the non-democratic political system and socio-economic inequities of the time for about 20 years. In the early 90's, when the civilian government of the president Young-sam Kim was born, politics of society stabilized and the decrease of Madangkuk became more apparent. It seems that the decline still continues to this day. Today, the public’s perception of Madangkuk is limited to only a few folk songs along percussion instruments or actors exchanging some words with the audience. It is even considered to be a sub-art of western theater. Madangkuk is a theatrical play that emphasizes the participation and intervention of the audience and is an analogistic and humanistic play that emphasizes the movement of the body rather than the langu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dangkuk as a performing art suitable to the era of multimedia, convergence, individu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to revive Madangkuk as our own theatrical style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s composition, staging, the role of the audience and the method of acting.

      • KCI등재

        최 현배의 <우리말본> 둘재매 유인본 연구

        서상규 한글학회 2011 한글 Vol.- No.2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construct a detailed bibliography of the different mimeograph editions of Urimalbon Duljaemae(the second chapter) held at Yonsei University while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then to identify the value of each e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how Cheotjaemae and Onchaek were written. Finally, to further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of each mimeograph edition, we identify evidence of editing performed by the author himself. In particular, through a comparison of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contents of the handwritten editing notes, and degree of similarity of terminology and contents, we clarify that the T2, T3, and T4 editions are original manuscripts edited directly by the author. Moreover, we discover that the handwritten edits included not only simple spelling and grammatical corrections, but also handwritten insertions of large amounts of new material. Through a comparison of these materials, we are able to clarify the stages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Urimalbon Cheotjaemae(1929) and Urimalbon(1937).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represent basic comparative research to elucidate the production order of the various existing mimeograph edition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Urimalbon Cheotjaemae and Onchaek. 이 논문의 목적은 연세대학교에 소장된 <우리말본>의 유인본 각 책들의 구체적인 서지와 특징을 밝히고, <우리말본> 온책(1937)의 성립 과정에서 이들이 어떠한 가치를 갖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책들 속에서 저자가 손수 깁고 더한 흔적을 찾아 이들 유인본들의 특성과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책들의 서지적 특성, 손글씨 교정의 내용, 주요 갈말과 내용의 유사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유인본들 중 T3과 T4는 지은이가 직접 내용을 고친 유인교정본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이 과정에서, 손글씨에 의한 내용 수정이 단순히 일부의 글자나 어구를 고치는 데에 머문 것이 아니라, 원고지 등에 새로운 내용을 직접 써서 끼워 넣은 ‘끼운쪽’이 대량으로 발견되며,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말본』의 성립 과정의 단계, 외솔의 말본 체계의 초기 모습과 그 변화를 알 수 있음을 밝힌다. 나아가, 현존하는 여러 유인본들 간의 선후와 <우리말본> 온책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an efficient protocol for high-frequency regeneration system in Hibiscus syriacus L.

        서상규,류선희,Yang Zhou,김선형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Vol.44 No.2

        A rapid and efficient in vitro regenerat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Hibiscus syriacus L. The successful regeneration protocol employs induction of shoot organogenesis on leaf, petiole, and root explants. Among the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evaluated, thidiazuron (TDZ) was the most effective for inducing rapid shoot formation. Most efficien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was obtained from Murashige and Skoog (MS) media containing 0.01 mg/L TDZ. Regeneration efficiency was highest in the roots, and lowest in the leaves. A combination of 0.01 mg/L TDZ with benzyladenine (BAP) markedly improved the frequency of shoot differentiation from the root (up to 98%) and petiole (up to 88%) explants. Furthermore, leaf and petiole explan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shoot induction in half-strength MS media containing 0.01 mg/L TDZ and 1.0 mg/L BAP, while root explants formed the greatest number of shoots when 0.01 mg/L TDZ and 0.1 mg/L BAP were added to half-strength MS media. Although the frequency of shoot differentiation from leaf explants was only 50%, the leaf is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plant organ for use in tissue culture because leaves are easier to obtain than roots and petioles. Our findings show that various organs of H. syriacus can be used for plant regeneration, and the protocol developed in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in the horticulture industry.

      • KCI등재

        창작 탈놀이극의 연기방법론 연구 - ‘왼손이’와 ‘날아라 장수매’의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

        서상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연기란 배우가 등장인물이 되어 관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보여주어 관객에게 감흥을 일으키는 예술 적 행위이다”라고 일반적인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그러나 언어와 인물 내면이 연기의 중심인 스타니슬 랍스키의 사실주의 연기, 신체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메이어홀드의 생체역학(biomechinics)3) 연기, 배우와 등장인물간의 거리두기를 통해 소외효과(alienation effect)를 강조하는 브레히트4) 연기론 등등, ‘연기란 무 엇인가’에 대한 기본 정의는 맥을 같이하여도 연기 방법론은 시대에 따라, 연극사조에 따라 혹은 연출가 의 사상에 따라 그 연기방법론을 달리하여 연구되고 발전되어왔다. 창작 탈놀이극과 탈놀이 연기방법은 우리나라 민속예술인, 탈춤, 풍물굿, 무속굿, 전통무용, 민요, 판소 리 등과 지난 70-80년대에 성행한 마당극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창작 탈놀이 연기는 현실을 재현하는 사실적 연기와는 달리 몸의 신체적 표현을 중시하는, 탈놀이 고유의 특징적 연기 방식이 자리 잡고 있으 며 그 제 요소들의 방법론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70년대부터 자생적으로 나타난 창작 탈놀이극의 연기 방법과 창작 탈놀 이극 두 편의 공연에 적용된 사례를 통해 탈을 쓰고 놀 때, 탈을 가지고 놀 때에 나타나는 탈놀이 연기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Acting is generally defined as “an artistic activity in which a story is told by means of its enactment by an actor or actress who adopts a character to inspire audience”. However, various acting methodologie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times, according to the theater theory, o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director even though the basic definition of ‘what acting is’ is the same. Examples are such as; Stanislavsky's realism focused on language and inner sides of characters, Mayerhold's Biomechanics emphasizing the flexibility of the body and Brecht’s theory which emphasizes the alienation effect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actor and the characters, Creative Mask play and its acting method are rooted in Korean traditional fork arts such as mask dance, poongmulgut(percussion music), moosokgut(shamanism), korean dance, folk song, pansori(solo epic chant) and madangkuk(open air play) which was flourished in 70s and 80s. In contrast to the realistic performance that reproduces reality, the act of creative play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acting, which emphasizes the physical expression of the body and its methodological importance is enormous.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acting methodology of Creative Mask play originated from 1970s in Korea.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s of this Creative Mask play.

      • KCI등재

        최 현배의 <우리말본> 첫재매 유인본 연구

        서상규 한글학회 2010 한글 Vol.- No.28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construct a detailed bibliography of the mimeograph editions of Urimalbon Cheotjaemae (the first chapter) held at Yonsei University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then to identify the value of each edition of Urimalbon Cheotjaemae through an analysis of how they were produced. In particular, through a comparison of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handwritten writing styles, order of contents, and degree of similarity of the main terminology and descriptions used in each mimeograph edition,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tages and forms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Urimalbon Cheotjaemae(1929) and Urimalbon(1937).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roven that a newly discovered mimeograph edition of Urimalbon Cheotjaemae is a different book compared to previously known editions. In addition, the bibliographic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are describ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production periods, and production order of the two mimeograph editions of Cheotjaemae are discussed. 이 논문의 목적은 연세대학교에 소장된 <우리말본> 첫재매의 유인본 의 구체적인 서지와 특징을 밝히고, <우리말본> 첫재매의 성립 과정에서 이들이 어떠한 가치를 갖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특히 유인본의 서지적 특성, 손글씨의 글씨체 비교, 차례 구성, 주요 갈말(용어) 및 기술 내용과 표현의 일치도 등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말본 첫재매>(1929)와 <우리말본>(1937)의 성립 과정 단계와 모습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새로이 발견된 <우리말본> 첫재매의 유인본이 기존에 알려진 유인본과는 다른 책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아울러 이 책의 서지적, 내용적 특성을 기술하고, 첫재매의 두 가지 유인본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성립 시기와 유인본 간의 선후 관계 등을 고찰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서상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어 교육 Vol.18 No.3

        Sangkyu Seo. 2007.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Basic Studies. Jou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8-3: 75-97. In this paper, we have discussed some kinds of research field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basic studies have connection and some aspects that basic fields are connected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we have examined what kinds of things are demanded from the basic studies to develop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we need to revise our viewpoints about the identity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with the basic studies. The recommendatory point of view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we should clearly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ademic purpose and as a practical application. Secondly,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tegrated work of related basic studies such as Linguistics, Korean Linguistics, Korean Studies and Pedagogics. Furthermore, we need to consider this integrated work as a field that explores the knowledge and methods for the application and as an interpreter among the whole basic studies composing the integrated filed. Third, we should establis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imultaneously we need to expand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Fourth, the basic studies constituting the integrated field should set up their goals to be useful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do researches to achieve the goal and solve the problem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Finally, we need to strengthen the informatiz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language and the basic studies centering on the basic academic fields that compose the integrated study.

      • KCI등재
      • KCI등재

        Overexpression of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IbAGPaseS) affects expression of carbohydrate regulated genes i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cv. Yulmi]

        서상규,Su-Hyeon Bea,전병기,김선태,권석윤,김선형 한국유전학회 2015 Genes & Genomics Vol.37 No.7

        ADP-glucose pyrophosphorylase is crucial in starch metabolism. The open reading frame of IbAGPaseS gene is comprised of 1539-base pairs and encodes a polypeptide of 512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IbAGPaseS protein sequence was homologous with that of other AGPase proteins of various plant species. Also, the IbAGPaseS gene appears to be a member of multiple gene families and further, the differences in the copy numbers among the ten cultivars were considered to lead to differences in starch contents. IbAGPaseS was expressed in whole tissues and revealed high activity in thick-pigmented roots and developing tuberous roots. RT-PC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in role of IbAGPaseS is starch biosynthesis accumulating sink tissues during sweet potato root development. The IbAGPaseS cDNA was introduced to sweet potato under the control of the CaMV 35S promoter using Agrobacterium-mediated gene transfer techniques, thereby affecting the expression levels of carbohydrate regulated genes and sporamin g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bAGPaseS affects carbohydrate gene regulation.

      • KCI등재

        한글의 번수 조사와 외솔 최 현배

        서상규 한글학회 2008 한글 Vol.- No.281

        By analyzing and verifying Oesol's paper ‘Frequency Analysis of Hangeul’,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his positive work was equipped with high standard methodologies in the 1930s and it was far earlier than the frequency analysis done by Mungyobu in 1955 which has been called the first frequency analysis on Korean. The present paper examines various parts of positive research methodologies in Oesol's paper and explores his metho dological traits on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we will clarify the propriety of his research by verifying his findings in several ways such as comparing with the analysis of the use of 5,000 high-frequency words and the following frequency analysis like what Mungyobu did in 1955 and 1956. Through this verification process, this paper suggests that Oesol's ‘Frequency Analysis of Hangeul’ is of great academic value and should be acknowledged as the first frequency analysis on Korean language. 이 논문의 목적은 외솔의 “낱낱의 글자의 쓰히는 번수로써의 차례잡기”(1930)라는 논문의 분석과 검증을 통해서 우리말에 대한 외솔의 실증적 연구가 문교부(1955)의 잦기 조사보다 훨씬 이른 1930년대에 매우 높은 수준의 계량적 조사 방법론을 갖추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번수(빈도) 조사’에 나타난 실증적 연구 방법론의 여러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검토, 분석함으로써, 이 조사의 방법론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의 조사 결과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증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증명한다. 검증의 방법으로는, 5천 개 고빈도 낱말의 한글 사용 실태, 문교부(1955, 1956)를 비롯한 후속 빈도 조사의 결과들과의 비교 등의 방법을 이용할 것이다. 이 검증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외솔의 한글 번수 조사가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아도 높이 평가해야 할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한국어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 빈도 조사로서 인정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