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플래시오버와 연기발생량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서동구 ( Dong Goo Seo ),김동은 ( Dong Eun Kim ),권영진 ( Young Jin Kwo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3 No.2
The fire safety design of performance is fire behavior inside buildings must be scientifically described and systemized as a theory, thereby allowing application to fire safety design of buildings. In this study, experiment of fire behavior according to disposition of combustibles were perform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lashover and smoke production rate in building structure. As a result, smoke production rates is happened more than 80 m2/s in compartment(ISO 9705). Also, even if the fire load for flashover to if occur smoke did not, which confirmed that the delay time of occurrence.
성능적인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군집형성시 보행속도 조사연구
서동구(Seo Dong-Goo),황은경(Hwong Eun-Kyung),권영진(Kwon Young-Jin)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2
Research on the walking speed, which was critical factor for evacuation calculation and plan when forming crowd, derived the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s: υ= 0.978 - 0.19ρ for horizon and υ= 0.492 - 0.049ρ for vertical(going up). Horizontal crowd walking speed had declining slope close to the result of MAEDA; a stay especially appeared in the crowd of 4[person/㎡] or more. Therefore, to plan efficient evacuation plan, a crowd of 4[person/㎡] or less should be allowed and plans for adding or revising evacuation capacity were required. In case of vertical, the result was lower than existing vertical (going down) walking speed of 0.5[㎧]; thus, examination on each factor should be conducted thoroughly in the course of research on going-up at building of large-scale.
서동구(Seo, Dong-Goo),김동은(Kim, Dong-Eun),권영진(Kwon, Young-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건축물의 화재시 인간의 피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기이다. 연기의 전파에 따라서 피난행태가 달라지고, 피난경로가 변화한다. 국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연기의 하강속도에 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연기에 대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연기하강에 관한 기존의 문헌적인 고찰을 통하여 향후 국내의 연구방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화재시나리오 선정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인명피해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서동구(Seo, Donggoo),박병훈(Park, Byunghun),이영현(Lee, Younghyun),이원희(Lee, Wonhee),김정재(Kim, Jungjae),송호준(Song, Hoju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본 연구는 건축물의 화재위험평가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화재시나리오 선정방법에 대하여 인명안전에 기인한 선정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인명피해(사망자 및 사상자) 예측모델을 10년간 화재통계자료를 기반으로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방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이 예측모델은 정오행렬에 의해 검증한 결과 정확도, 민감도 및 특이도에서 높은 예측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설계화원, 화재성장률 및 피난안전에 관계되는 5개 변수를 선정하여 48개 화재시나리오를 검토한 결과, 변수에 따른 발생확률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향후 정량적 화재위험평가에서 활용될 수 있다면 설계의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developed a model that predicts casualties (dead and injured people) using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Based on the fire statistics collected over a decade, this model aims to select the appropriate risk-assessment scenarios and fire prevention and safety methods applicable on individual buildings. Our evaluation indicates that this CART model can accurately predict 48 scenarios based on 5 variables related to the types of fire, fire growth rates, and evacuation situations, and calculate the corresponding probabilities for each occurrence. This model is expected to improve future quantitative fire risk assessments.
국내 PBD기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IV)
서동구(Seo, Dong-Goo),김동은(Kim, Dong-Eun),황현배(Hwang, Hyun-Bae),황은경(Hwang, Eun-Kyung),권영진(Kwon, Young-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최근 건축물은 초고층화 대형화 지하심층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성능적인 피난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성능설계, 화재영향평가, 초고층 및 지하연계 방재관련 특별법 등 많은 제도가 시행되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능적인 피난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난행동 중 수직적인 피난속도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지하공간의 계단을 선정하여 관찰하였다.
시각장애인의 피난안전 확보를 위한 국내 Barrier-free제도 및 대응매뉴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동구(Seo,Donggoo),조경숙(Cho,Kyungsuk),이종호(Lee,Jongho),김상헌(Kim,Sangheo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1
전 세계적으로 약 2억 9천만 명의 시각장애인이 존재하고 이 중 중증 시각장애인이 약 4천만 명으로 집계된다. 현재까지 시각장애인의 편의증진을 목적으로 제도나 정책이 개선되고 있으나 화재 시 피난안전에 관련된 기준의 개선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 시각장애인의 피난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의 피난행동특성을 근거로 국내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제도 및 관련 매뉴얼 개발현황을 분석하고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화재안전기준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① 랜드마크적 요소 표시방법의 개선;② 수요자 맞춤형 직원 화재안전교육 및 훈련;③ 건물 특성에 따른 PEEP 매뉴얼 개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이를 통해 시각장애인과 관련된 화재안전기준 및 매뉴얼의 제고와 향후 관련 기술 등의 발전방향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are approximately 290 million blind people worldwide. Among them;approximately 40 million people are severely blind. Although systems and policies have been improved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the standards related to evacuation safety in the case of fire have not been sufficiently improved. Therefore;in this study;to ensure the safe evac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n case of fire;domestic fire safety standard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status of a domestic barrier-free system and related manual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vacuation behaviors of the visually impaired;as well as by reviewing the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s a result;the following measures were derived: 1) improving the display method for landmark elements;2) customized fir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and 3) a plan to develop a personal emergency evacuation planning manual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building. It is expected that these objectives can be used to improve fire safety standards and manuals and to develop related techn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EXODUS, SIMULEX를 활용한 피난모델 분석에 관한 연구
서동구(Seo, Dong-Goo),황은경(Hwang, Eun-Kyung),황금숙(Hwang, Geum-Suk),조정훈(Jo, Jeong-Hoon),권영진(Kwon, Young-J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춘계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economics, many hish-rise and complicated building with new architecture features are constructed in Korea. These higher and bigger building have many difficulties of fire safety concerns, especially evacuation plan. In this paper, aims to present logical basis for forecasting egress behavior of occupants and systematized Egress-Prediction Model by analysing expectable decisive factors among influential factors each step until completing egress from perception of fire cues.
국내 산업전시장에 대한 재실인원 실측조사 및 재실자밀도 기준 적정성에 관한 연구
서동구(Seo, Donggoo),황은경(Hwang, Eunkyoung)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본 연구는 산업전시장에 있어서 재실인원을 무인계수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측조사함으로써 현재 재실자밀도 기준에 대한 적정성을 확인하고 성능위주 피난안전설계의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전시장에 대하여 9개월 동안 조사를 실시하여 전시유형에 따른 재실자밀도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전시유형을 2가지로 분류하여 육아전시회의 최대 재실자밀도는 6.3 ㎡/인으로 도출되었고 일반전시회는 6.1 ㎡/인으로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편 빈도수는 2가지의 유형이 차이를 보였으며 육아전시회의 경우가 최댓값에 가까운 재실자밀도를 나타냈다. 또한 국내외 재실자밀도 기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0.45~2.8 ㎡/인), 실측조사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performance-based evacuation safety designs by surveying the occupant numbers in an exhibition hall using the people counting system (PCS) and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current criteria for occupant load density. To this end, we conducted a nine-month long survey on the exhibition hall to investigate occupant load densities according to the exhibition type. The exhibition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maximum occupant load density of a nurturer exhibition was 6.3 m²/person while that of a general exhibition was 6.1 m²/person. Thus, the maximum occupant load density values were similar for the two type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frequency between the two types such that the nurturer exhibitionshowed the occupant load density close to the maximum value. In addition,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occupant load density criteria (0.45-2.8 m²/person, according to building codes such as IBC, BS, and NZBC) and the results of the actual survey was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