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종단적 사례연구: 학력에 따른 아비투스와 문화접변 전략을 중심으로

        서덕희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4 No.-

        한국의 이주민 관련 연구에서 최근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는 다른 무 엇보다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과 관련된 연구일 것이다. 이주민 집단 중에서도, 노 동이주남성이 대부분인 이주노동자와 달리, 결혼이주여성은 여전히 부계혈통주의적인 한국 정부가 다른 어떤 이주민들보다 적극적으로 포섭하고자 하는 대상이며, 그 자녀 들은 한국국적을 지닌 한국인으로써 한국사회에 통합되어 건강하게 살아가야 할 미래 의 시민으로 전제하는 것이 다문화사회로서의 한국사회의 특징이기 때문이다.(서덕희, 2013). 그래서인지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는 소위 이주 관련 연구가 시 작되는 시점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에 근거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의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자녀양육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주민과 낯선 환경 혹은 맥락 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어 가는 그들 삶의 역동적 모습을 포착하기에는 여전히 일회적이며 단편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다. 가령, 결혼이주여성의 자녀교육 혹은 양육과 관련된 초기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놓인 사회구조적 맥락과는 무관하게 “이주” 자 체가 그들에게 부여하는 어려움에 초점이 있었다(서덕희, 2010). 그러다 보니 그들의 출신국과 학력, 그들의 정착 지역적 특성과 결혼한 이후의 경제적 상황 등이라는 변인 보다는 “이주”와 그로 인한 “다문화”라는 변수 자체가 자녀교육의 어려움을 일으 키는 “본질적 원인”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관점은 그 의도와는 관계 없이 이주배경과 “다문화”라는 범주 아래 숨겨진 다양한 차이들을 보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범주 자체를 하나의 오점(stigma)으로 받아들이는 편견을 양산할 수도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수업 혁신의 이분법을 넘어서: 혁신고등학교 사례를 통해 본 수업 혁신의 과정과 역학

        서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23 교육인류학연구 Vol.26 No.3

        This paper aims to uncover practical directions for instructional innovation by examining the multi-stratified realities that drove teachers at three innovative high schools to innovate instruction dynamically and educationally. For this purpose, I framed a question rooted in critical realism:, “If the process of these teachers’ instructional innovations are possible, how the realities that drove those innovation emerge should be?” To answer the question, I revisited a research report that had been conducted 5 years earlier, to analyze the raw qualitative data obtained for the research,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 employed abduction and retroduction, to identify three stable yet contradictory ‘structures’ that drove these teachers to dynamically innovate their instructional methods. These three structures are as follows: The first structure is ‘the innovative school movement,’ which encompasses the innovative teachers’ group, a shared innovative school philosophy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an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for instruction and education. The second structure is ‘academic factionalism and meritocracy’ embedded within high achieving students’ habitus, leading teacher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ir innovations. The third structure is ‘the teachers’ inherent educational principles’ which motivated them to preserve the intrinsic values of academic subjects and learning despite these changes. I discerned the dialectical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for my personal understanding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the path to transcending dualistic realities.

      • KCI등재

        The profitable adventure of threatened middle-class families: an ethnographic study on homeschooling in South Korea

        서덕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0 No.3

        South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90s was confronted with socio-economic setbacks and discursive turbulence concer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being provided. It was at such a particular historical juncture of South Korean society that I conducted ethnographic research on homeschooling families. Based on field data collected from four homeschooling families, this article examines how lower middle-class families at first manifested their education fever in an unprecedented adoption of homeschooling, and then returned their children to school within the same socio-cultural context. Central to this article's analysis is what members of these middle-class families, especial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the homeschooling period, and how parents negotiated their rationale for homeschooling and returning their children to school within contesting discourses (e.g., deschooling and neo-liberalism). As will be shown, despit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ursuing a self-fashioned education in a school-centered society, the families benefited from homeschooling in terms of acquiring "neo-liberal" mentalities for survival without risking their established socio-cultural status. As such, this article reconfirms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and its inevitable connection with the middle-class habitus embedded in the South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 KCI등재

        스마트매트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형 운동게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서덕희,박경신,김동근,Seo, Duck Hee,Park, Kyung Shin,Kim, Dong 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매트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한 가상현실 체험형 운동게임 시스템 설계 및 구현하였다. 사용자 상반신 운동자세인식을 위해 키넥트 카메라 센서를 활용하고 사용자의 걷기 동작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다음 취해야할 걷기 운동 동작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LED 표시가 가능한 스마트 매트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합하고 기능성 게임의 재미요소를 결합하여 실제 운동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상호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체험형 운동게임 통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사용자들이 보다 자립적이고 독립적으로 가정 및 건강증진 관련 기관에서 쉽게 운동하는데 기여하는 체험형 운동게임 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developed the virtual reality Exergame using the smart mat and the camera sensor for exercises in indoor environments. For detecting the gestures of a upper body of users, the KINECT camera based the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used angles between user's joint information system was adopted, and the smart mat system including a LED equipment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was developed for user's stepping data during the exercises that requires the gestures and stepping of users. Finally, the integrated virtual reality Exergame system was implement along with the Unity 3D engine and different kinds of user' virtual avatar characters with entertainment game contents such as displaying gesture guideline and a scoring function. Therefore, the designed system will useful for elders who need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and sense of balance or general users want to improve exercise ability and the indoor circumstances such home or wellness centers.

      • KCI등재

        저소득층 밀집지역 중학교 인성교육 사례연구 : 교원교육에의 시사를 중심으로

        서덕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과 더불어 학교 인성교육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가시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성교육이 교육과정에 통합되어 학생들의 삶에 유의미하게 살아 움직이는 교육활동으로 전개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교원교육의 관점에서 교사들이 인성교육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지역, 학부모, 학생 등 학교의 맥락 속에서 이해할 때에야 실천해 나갈 수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인성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저소득층 밀집지역 K중학교의 뮤지컬교육의 실제와 성과, 그 맥락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K중학교에서는 열악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축제라는 형식을 갖추면서 다양한 교과들과 동아리 등의 창의적 체험활동들이 인성교육으로 통합되었고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공동체의식은 물론, 자존감과 자기관리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성공적인 실행은 음악교사의 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하여 교과연구회의 뮤지컬교육에 대한 실험적 시도와 시행착오, 이에 대한 제도적, 재정적 지원과 축적된 경험의 매뉴얼화, 그리고 학교 전통으로 정착되고 학교장의 신뢰와 지지 속에서 가능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problematics that ‘humanity education’ implemented at school is still symptomatic treatment, separate from ‘subject education’, and has difficulty in being developed continuously as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are integrated into school curriculum and meaningful for students’ lives. In this vei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utcome, and contexts of ‘Musical’ education of K middle-school in a low-income area. This school has conducted Musical education successfully as humanity education by making efforts to make education educational, through integrating ‘creative activity education’ and various subjects education into musical activity and festival. Only if it could be understood how humanity education has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in the concrete context of school, the research results might contribute to practising and expanding this model to the other schools. As results of research, it is revealed that adopting new perspective of music education and autonomous form of festival has enabled various subjects and creative activity education to be placed properly in the process of musical education, and consequently self-respect, self-management, problem solving as well as collective experience of achievement have been developed. Also it is identified that such a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musical in the curriculum and tradition of K-school can be possible due to the music teacher’s reflection on the essence and object of music education, indomitable trials and errors of the association for studying music subject,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to such efforts of teachers and transforming their accumulated experiences into a manual, and finally school principal’s trust and support.

      • KCI등재후보

        이주민 집단에 따른 이주 배경 학생의 학교생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서덕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3 다문화교육연구 Vol.6 No.2

        Based upon the problematics that the established research and programs have not dealt with thedifferent context within which school lives of each group of students with migration-background havebeen l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t features as well as common ones among the school lives ofeach group with meta-synthesis method, and to understand those within the context of immigration andsettlement. As the result of meta-synthesis, it is revealed that students which were born and grown inkorea, living with their immigrant mother are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 three groups(students fromimmigrant worker families, students who were adopted by their korean step-father, and students who wereimmigrated from North Korea). In the academic life, the former is similar to students from low-incomefamilies, but most members of the latter three groups have difficulty in being accustomed to theacademic communication and filling up the blank of schooling. In the peer relation, labeled difference,which has not been recognized or underestimated until schooling, has caused some difficulty in makingfriends to the former. The obvious differences in appearance, language or motherland has brought aboutdiscrimination to the latter three groups, some of whom have coped with it over time. Also, somestudents who are similar to the other peer group in appearance and language, resist revealing theirmigration background. In the relation with teachers, the former has not been cared for by teachers, whoemphasizes upon superficially ‘equal treatment’. Otherwise, the latter three groups have felt injured anddiscriminated by teachers, who have cared for them by giving them a stereotypical label. Finally,educational supports necessary for enhancing their quality of school lives have been identified according towhich is the major participants(minority group, all the groups, and majority group).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으로 통칭하여 범주화함으로써 이주민들, 이주민 자녀들 사이의 차이점, 그리고 그들이 처한 맥락 사이의 차이점 등에 주목하지 못했다는 점을 문제시하고, 이주민 자녀들의 학교생활을 선행연구물들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집단별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확인하고 이를 그들이 놓인 이주와 정착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메타분석의 결과 한국태생 국제결혼가정 자녀들과 그 외 세 집단들(이주노동자 자녀, 중도입국 국제결혼가정 자녀, 그리고 북한이탈청소년)은 학업,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크게 달랐다. 학업에 있어서 전자는 저소득층 자녀들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 반면 세 집단은 학교교육 공백과 언어 문제로 심각한 학업격차를 경험하였으며 주관적 만족도는 학교교육의 미래전망과의 관계에 따라 달랐다. 또래관계에 있어서도 ‘차이’에 대한 준비되지 않은 낙인 때문에 한국태생 국제결혼가정 자녀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나머지 세 집단은 외모나 언어 문제, 출신국 등, 드러나는 차이에 대한 차별로 어려움과 부적응을 겪었으며 그 이유는 조금씩 달랐다. 한편, 체류기간이 늘어나면서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 자신의 출신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정체성 문제를 중도입국 자녀를 제외하고는 경험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집단마다 성격이 달랐다. 교사와의 관계에서 전자는 획일적인 ‘동등한 대우’로 배려를 받지 못했고, 후자는 피상적인 ‘배려’와 ‘동정’으로 ‘상처’를 입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이들의 더 나은 학교생활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주요 참여자를 각각 소수자 집단, 전체 학생, 다수자집단으로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Chosun Ilbo'sㅣ

        서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푸코의 담론이론과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공교육의 위기담론, 특히 "교실붕괴"라는 하나의 ‘담론적 사건’을 일으킨 조선일보 기사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실붕괴"가 하나의 담론으로써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그것이 신보수주의적 신자유주의 담론과 어떻게 접합되는지를 푸코의 거시적 문제의식을 미시적 담론분석과 결합한 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접근을 원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일보의 "교실붕괴" 기사들이 공교육의 위기를 담보로 교육의 자율적 담론을 ‘시장화’하고, 그것을 일상의 교육담론으로는 유포하는 사회적 실천을 수행하였음을 드러내었다. 담론의 현실 구성력을 생각해 볼 때, 교육의 가치를 모든 사람들이 향유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상의 교육담론에 접합되어 있는 ‘시장화’된 요소들을 탈접합하는 비판적 분석과 함께 적극적으로 교육의 본질을 드러내는 이론적 실천이 교육학도의 중요한 임무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From a viewpoint of Foucault’s discour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hosun Ilbo’s reports on "Classroom Collapse" which have become a discursive event for "Classroom Collapse" discourse. The formative process of "Classroom Collapse" discourse and its articulative process with ‘neoliberalism’ and ‘neoconservatism’ discourse on education have been analyzed with 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of which the purpose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microand macro- discourse analysis. It has been revealed that "Classroom Collapse" reports have been ‘marketizing’ the autonomous discourse of education, and have been spreading the marketized discourse to everyday lives. With consideration of constructive capability of discours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it is crucial for educational researchers to perform the critical analysis on everyday lives’ discourse of education, and to make theoretical practice of revealing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for the sake of everyone relishing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 KCI등재

        트로이의 목마?, AI 활용교육을 위한 교육 거버넌스 구축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관점

        서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23 교육인류학연구 Vol.26 No.4

        This paper originated from my critic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education using AI will only be implemented with sufficient research on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effect in school. As a member of a research team for cooperative action research project which applied AI-based edu-tech to a high school, I constructed governance among the school, the office of education, and a company for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This paper is the outcome of analyzing and describ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governance in terms of actor-network theory and discussing the result within the context of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discourses. From the perspective of ANT, it is revealed how non-human actors such tablet PCs, future education discourse, and AI technology caused human actors to make plans for this research project and construct the network among human actors as their advocates and themselves. In particular, the research team including myself is revealed to have performed the role of adviser in a tug-of-war between a new network and the established one by building an “obligatory passage point“ of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We have failed in introducing an enormous network of education using AI into the school with a gorgeous “wooden horse” named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because of the essential limitations of AI technology in affecting low-achieving students to study. Nevertheless, in the name of future education, the government will introduce this AI technology into schools as a ‘teaching machine’ for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while the technology is no more a “tool” “being in hand(Zuhandelheit)” but a “suppressing(Gestell)” being. In this vein, this paper is an action to be taken in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individually customized education” discourses and practices for schoo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