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분산 해시 테이블 기반의 Peer-to-Peer 소액 지불 시스템

        서대일(Daeil Seo),송규원(Gyuwon Song),김수현(Suhyun Kim)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지불 시스템이 필요하며, 빈번한 거래에 지불 처리 비용을 최소화하는 소액 지불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장치가 계속적으로 온라인임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중 일부가 오프라인인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지불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시스템은 중앙의 브로커를 사용하는데, 대부분의 소액 지불 시스템의 문제는 브로커에 부하가 집중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분산 해시 테이블 기반의 Peer-to-Peer 소액 지불 시스템을 이용해 온라인이 아니어도 지불할 수 있고, 브로커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지불 시스템을 제안한다. A payment system is required to buy various services and micropayment system is demanded for minimizing a frequent payment transaction cost in ubiquitous environment. It is not guarantee that devices are always online and payment system is required a robustness when some of them is offline. To solve this situation other systems use a centralized broker but the problem with most existing micropayment system is the heavy load on the broker. In this paper present a payment system a DHT based Peer-to-Peer micropayment system for ubiquitous environment can use even if payments need not be online and reduce broker's load.

      • Webized 3D experience by HTML5 annotation in 3D Web

        Daeil Seo(서대일),Byounghyun Yoo(유병현),Heedong Ko(고희동) (사)한국CDE학회 2015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하계

        With the development of 3D Web technologies, 3D objects are now handled as embedded objects without plug-ins on web pages. Although declarative 3D objects are physically integrated into web pages, 3D objects and HTML elements are still sepa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3D layout context, and an annotation method is lacking. Thus it is scarcely possible to add meaningful annotations related to target 3D objects using existing web resources. In addition, people often 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and related annotation objects in a 3D context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content layouts in different 3D contex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izing method for annotating user experiences with 3D objects in a 3D Web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3D target object and the annotation object is declared by means of web annotations and these related objects are rendered with a common 3D layout context and a camera perspective. We present typical cases of 3D scenes with web annotations on the 3D Web using a prototype implementation system to verify the usefulness of our approach.

      • KCI등재

        DPay: 피어-투-피어 환경을 위한 분산 해시 테이블 기반의 소액 지불 시스템

        서대일(Daeil Seo),김수현(Suhyun Kim),송규원(Gyuwon So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10

        피어-투-피어(P2P) 시스템은 참여하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리소스를 서로 간에 공유하여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악의적인 행동을 하거나 오프라인일 때, P2P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들은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소액 지불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에 대해 보상을 해준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소액 지불 시스템은 중앙 집중화 된 브로커를 사용하는데, 브로커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코인의 소유자가 오프라인인 경우 브로커가 소유자를 대신하여 지불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는 브로커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며 P2P 시스템 특성상 매우 빈번하게 발생 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Pay는 P2P 환경을 위한 소액 지불 시스템으로, 분산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여 모든 암호화된 지불 정보를 안전하게 기록하고 다운타임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브로커의 부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시스템의 확장성을 크게 향상 시킨 시스템이다. 또한 실시간 중복 결제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 DPay와 기존 지불 시스템 간의 비교와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결과 DPay는 브로커의 부하가 기존 시스템 대비 평균 30%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간 중복 결제 검출과 보다 안전한 지불정보 기록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P2P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merging peer-to-peer systems benefit from the large amount of resources provided by many peers. However, many peer-to-peer systems or applications suffer from malicious peers and it is not guaranteed that peers are always online. Micropayment systems are accounting and charging mechanism for buying services, so we can apply them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e past the majority of micropayment system uses a centralized broker but the problem with most existing micropayment system is a heavy load on the broker. For instance, when an owner of the coin is offline, the broker delegates the owner and handles payment messages. It occurs frequently because of characteristic of peer-to-peer system and is another load of the brok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DPay, a peer-to-peer micropayment system that uses distributed hash table (DHT) for storing encrypted payment messages and increases scalability and reduces the load of broker by removing downtime protocol. We show the idea of real-time double spending detection in DPay and report the results of several evaluations in order to compare DPay and other payment scheme. In simulation result, the load of broker in DPay is reduced by 30% on average of other previous payment scheme. We expect that DPay can apply various peer-to-peer systems because it provides a real-time double spending detection and stores more secure payment messages.

      • KCI등재

        여행자 상황 정보 기반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투어 가이드 시스템

        김도연(Doyeon Kim),서대일(Daeil Seo),유병현(Byounghyun Yoo),고희동(Heedong Ko)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1 No.1

        모바일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은 여행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자가 여행 중에 주변의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을 검색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 모바일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여행 정보 검색에 활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모바일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이들 투어 가이드 어플리케이션들은 여행 상황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여행자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여행자의 검색 의도를 별도로 입력해야 하고, 동기화된 여행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여행 상황을 공유하는 모바일 투어 가이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여행자에게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디바이스가 가진 단점을 상호 보완하면서 여행자를 안내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각각의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여행 상황을 공유하여 여행자의 입력을 최소화하고, 여행 상황에 맞는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Mobile tour guide applications help tourists to search for and visit their surrounding POIs(Points of Interest) of their locations and to obtain their guide inform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like smart watches and wearable glasses, people using multiple mobile devices are increasing; a tourist may use a hand-held device, a wearable device or both to obtain tour information. However, most mobile tour guides using mobile devices provide the tour information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their hand-held and wearabl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a tourist with multiple mobile devices who search for the tour information from multiple mobile devices must input their intention separately to each device. To alleviat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mobile tour guide system with the following features: one is to reduce redundant user input by sharing the touring context between hand-held and wearable devices; the other is to present tour information according to capabilities and usage pattern of the devices. The proposed system guides tourists by complementing disadvantage of the devices and also minimizes user interaction between applications and tourists.

      • KCI등재

        Webized Tangible Space

        Heedong Ko(고희동),Daeil Seo(서대일),Byounghyun Yoo(유병현)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7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3 No.3

        사물인터넷 기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AR/VR등 실감 컴퓨팅과 실제 물리 공간의 이음새 없는 하나의 인터랙션 공간을 Tangible Space 라고 명하고자 한다. 이 공간에서는 물리 공간에 가상의 물체나 객체가 증강되고 몰입형 가상공간에 물리 공간이 투영되고 증강된 형태로 인터랙션의 확장이 가능하다. 인터넷과 웹이 컴퓨팅 환경을 하나의 공유 인터랙션 공간으로 이어주면서 물리공간에서의 우리 삶 자체가 로깅되고 공유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인터랙션 공간을 기존 웹의 표현 기법과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Tangible Space의 웨바아징 방법론을 제안하고 개발 구현 사례를 소개하겠다. 앞으로 정보 중심의 웹에서 우리 경험을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담고 공유하는 웹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Tangible Space is a new emerging interaction space with mobile AR/VR computing an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with IoT. Tangible Space spans from a physical environment augmented with virtual entities to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mirror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ng with Tangible Space is logged just like interacting with the Web. By webizing Tangible Space, we can gain persistence as a by-product so that human life experience in the physical environment can be logged and shared just like the information being created and shared in the current Web. The result is a powerful future direction of the web from a World Wide Web of Information to World Wide Web of Life experiences.

      • KCI우수등재

        사이버멀미 통합 모델

        장은희(Eunhee Chang),서대일(Daeil Seo),김현택(Hyun Taek Kim),유병현(Byounghyun Yoo)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18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5 No.3

        Users can experience cybersickness when interacting with virtual reality (VR). The symptoms of cybersickness are similar to those of motion sickness which include eye fatigue, disorientation, and nausea. Despite the longstanding interest of user’s discomfort, inconsistent results have been drawn on the underlying mechanisms and solutions of cybersickness.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ntegrated view of cybersickness connecting causes of the symptoms, human perception model, and measurements of cybersickness. Cybersickness-related factors of previous research are reorganized into content, hardware, and human factors as well as analyzed in terms of VR fidelity. Also, pros and cons that measure the degree of cybersicknes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