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월출산(月出山) 유산기(遊山記)의 개괄적 검토

        사경화 ( Sa Gyeong-hwa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遊山記는 작가가 직접 산에 오른 체험을 기록한 문학이다. 그 안에는 작가가 탐승 과정에서 직접 경험한 내용뿐만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과 가치관, 해당 산과 지역에 대한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었다. 하지만 그 연구 대상과 범위가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특정 산에 편중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遊山記의 연구 범위 확대와 다양화를 1차적 목적으로 삼아 月出山 遊山記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월출산 유산기는 총 7편이다. 조선시대 최초의 월출산 유산기로서 임진왜란 이후 월출산의 면모를 보여주는 정상의 「月出山遊山錄」, 월출산에 존재했던 다양한 봉우리, 암자, 바위 등의 이름을 담고 있는 허목의 「月嶽記」, 구정봉에 오르는 과정만을 매우 실감나게 표현한 김창협의 「登月出山九井峯記」, 조선시대 관리의 유람 형태를 보여주는 김태일의 「遊月出山記」, 진주에서 월출산에 이르는 여정을 상세히 기록한 18세기 유일한 월출산 유산기인 정식의 「月出山錄」, 역사 · 문화 체험을 객관적으로 기록한 송정희의 「遊月出山記」, 위정척사운동의 확산을 바라는 선비의 소망이 녹아 있는 송병선의 「遊月出天冠山記」 등이 그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월출산 유산기는 산에 대한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담고 있으며, 또 조선시대 유산의 다양한 양상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충분하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월출산 유산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고 더 나아가 호남 전체를 대상으로 한 유산기를 종합 검토하여 유산기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 하는 등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유산기의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한다. Yusangi is a literary record by a writer who went directly to the mountain after he visited the mountain. And in yusangi there is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artist's world view, values, and mountains and regions. For this reason, yusangi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areas. However, the object and scope of the study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mountain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Wolchulsan yusangi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scope of yusangi research. The number of Wolchulsan yusangi reviewed in this paper is seven in total. Jeong-sang's 『Wolchulsanyusanlog(月出山遊山錄)』 is the first Wolchulsan yusangi which contains concrete records of Yongam Temple. Heomog's 『Wolaggi(月嶽記)』 records the names of peaks, hills, and rocks of Wolchulsan which are not present. Kim-changhyeob’s 『Deung-Wolchulsangujeongbong-gi(登月出山九井峯記)』 is a work that expresses only the process of coming up to gujeong-bong very realistically, and the writer's writing power is outstanding. Kim-taeil's 『Yu-wolchulsangi(遊月出山記)』 is a work that allows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to ascend to the mountains and see how they enjoyed it. Jeong-sig's 『Wolchulsanlog(月出山錄)』 is the only Wolchulsan yusangi built in the 18th century. It was a record that shows the process of starting from Jinju and arriving at Wolchulsan in detail, and it was showing that the route to Wolchulsan was diverse. Song-jung hui's 『Yu-wolchulsangi(유월출산기)』 records objective facts about Wolchulsan and Wolchulsan neighboring area and this is an important record to know the history of Wolchulsan and its surroundings. Song-byeong sun's 『Yu-wolchulcheongwan sangi(遊月出天冠山記)』 was a record of the desire for the diffusioning of 'wijeongchuksa (衛正斥邪)', while keeping the basics of yusangi. Wolchulsan yusangi, which we have discussed above, contains factual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mountains because the artist directly recorded the mountain after he ascended the mountain. In addition, the fact that it contains various aspects of yusan in the Joseon Dynasty is also worth the data. Based on this, we will continue the in - depth study on wolchulsan and further study Yusangi to review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Yusangi, and hope that the value of Yusangi will increase.

      • KCI등재

        출근시간대 공유자전거 출발 · 도착지 및 최단이동경로 특성 분석 - 서울시 공유자전거 2017 통행 OD자료를 중심으로

        사경은(Sa, Kyungeun),서지민(Seo, Jeemin),이수기(Lee, Sugie)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6

        공유(공공)자전거가 여가 수단을 넘어 통근 통행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자전거 대여소 주변의 환경 특성과 통행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공유자전거를 대상으로 주중 오전 출근 시간대 자전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출발지와 도착지 특성 그리고 최단거리주행경로 특성을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단독주택이나 다세대 주택과 같이 소규모 주거 필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의 대여소에서 통행이 빈번하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파트 단지 밀집지역과 비교할 때 소규모 필지가 밀집한 주거지역은 높은 보행 유발환경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성은 공유자전거 수요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볼 수 있다. 둘째, 지하철 출입구까지 거리가 먼 대여소에서 공유자전거 출발과 도착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유자전거가 최초 출발지와 대중교통 승차지점, 대중교통 하차지점과 최종목적지 사이를 연결해 주는 퍼스트 마일(first mile) 또는 라스트 마일(last mile) 이동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경로 길이 대비 자전거전용도로와 보행자겸용도로 비율이 높은 곳에서 공유자전거 주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자겸용도로는 자전거와 보행자가 도로를 함께 사용하므로 상호 안전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공간의 확보와 교통안전 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icycle rental station’s environment and travel behaviors, for a shared bicycle to take its place in commuting mod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origin and destination for public bike sharing user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shortest travel path during the commuting time period in the weekdays.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eneration of public bike sharing trip was high in the areas with detached single-family houses or multi-family houses. In general, the areas with detached single-family or multi-family house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walking trip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demand of public bike sharing. Second, it appears that there are many departures and arrivals of shared bicycles at rental stations far from the subway entrance. This means that the shared bicycle is used as a first mile or last mile transportation that connects between the first point of departure and the getting-on poi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getting-off point and the last point of destination. Third, a lot of shared bicycles are used in places where the ratio of bicycle lanes and bicycle-pedestrian multi-use lanes to the path length is high. Bicycle-pedestrian multi-use lanes need to secure sufficient space to enable safe travel because bicycles and pedestrians use the road together.

      • KCI등재

        조선 후기 명(明) 유민(遺民)에 대한 기록 양상 ― 구의사(九義士)를 중심으로 ―

        사경화 ( Sa Kyung-hwa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병자호란이 끝난 후 청나라에 인질로 끌려간 봉림대군은 역시 청나라의 포로로 끌려온 9명의 명나라 선비들과 심양에서 만나게 된다. 그는 이들 선비들이 품은 反淸復明 의지에 깊이 공감하고 이후 함께 조선으로 들어온다. 이 9명의 명나라 선비들을 `九義士`라고 부른다. 九義士들은 봉림대군의 보살핌 아래 조선에 정착하였고 봉림대군이 즉위한 후에도 지속적인 교류를 하면서 북벌을 준비한다. 하지만 즉위 10년 만에 효종이 승하하면서 북벌론은 그 결실을 맺지 못하고 실체를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九義士의 존재 또한 묻히게 된다. 한편, 숙종, 영조, 정조대를 거치며 北伐論의 자리를 尊周論이 대신하게 되는 과정 속에서 명나라 역사와 인물들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명나라의 역사서를 조선의 손으로 편찬하는가 하면, 명나라 인물들에 대한 다양한 기록 작업들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九義士의 존재가 다시금 주목받게 되었고, 여러 문인들의 손에 의해 작품으로 탄생한다. 가장 먼저 李德懋의 「磊磊落落書」에서 이들의 존재가 다시 세상에 드러난 다. 그리고 연이어 成海應의 「皇明遺民傳」, 「八姓傳」, 국가차원에서 편찬된 『尊周彙編』에서도 九義士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이들 기록들은 조선이 중화문명을 계승했음을 보여주고자 했던 것들로서 九義士들에 대한 내용 또한 한축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九義士의 후손인 王德九는 『皇朝遺民錄』을 통해 조상에 대한 구체적 기록을 남겨 이를 통해 조선사회에서 九義士가 가지는 의미를 밝히고 하였다. 그리고 화서학파의 대표적 학자인 金平默은 위정척사의 입장에서 이들에 대한 傳을 지어 대명의리론을 강조하고 九義士들의 삶을 통해 당시 흔들리던 조선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자 하였다. After Byeongja Horan(丙子胡亂) ended, Bonglimdaegun(鳳林大君), who was taken hostage to the Qing Dynasty, was staying in Shenyang(瀋陽). And he meets with the nine Ming Dynasty scholars who were brought here as prisoners of the Qing Dynasty. All of them had a mind of "BanCheongBogMyeong(反淸復明)" and then came to Korea with Bonglimdaegun(鳳林大君) to realize their goal. These are called "Guuisa(九義士)". The Guuisa(九義士) were prepared for the Bugbeol(北伐) in earnest when Bonglimdaegun(鳳林大君) came to the throne. However, Bugbeol fails because Hyojong(孝宗) dies in the throne after 10 years. And the presence of Guuisa also becomes blurred. The presence of the Guuisa was again revealed in conjunction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Jonjulon(尊周論), and various records of these began to emerge during the Jeongjo(正祖) period. At first, "NoeLoeNagLagSeo(「磊磊落落書」)" compiled by Lee Duk-moo(李德懋); "HwangMyeongYuMinJeon(「皇明遺民傳」)" and "PalSungJeon(「八姓傳」)" compiled by Sung Hae-eung(成海應); "Jonjuhwipyeon(『尊周彙編』)" compiled in the country showed that Chosun inherited the Ming by recording the loyal servants and saints of Ming Dynasty. Next, Wang deog-gu(王德九), a descendant of Guuisa, wrote < HwangJoYuMinLog(皇朝遺民錄) >. He recorded the activities of his ancestors in detail and revealed that the purpose of Guuisa`s entry into Joseon was "BanCheongBogMyeong". And that the existence of Guuisa itself shows that Joseon inherited the Ming Dynasty. Finally, Kim Pyung-mook(金平默) described < GuUiSaJeon(九義士傳) > from the standpoint of Wijeongcheogsa(衛正斥邪). He strengthened the Daemyeonguililon(對明義理論) and hoped that Guuisa`s life would become a lesson in the chaotic Joseon society at the time. Through these records, we were able to look at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18th - 19th century intellectuals of Joseon and various artists` rituals. In addition, the fact that interest in Ming Dynasty people was born as a literary work contributed to diversification and enrichment of the character record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주거지 기반 근린환경 특성이 일상생활 보행과 운동목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경은(Sa, Kyungeun),이수기(Lee, Sugi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2013 서울시민 신체활동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보행활동과 운동 목적의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목적별 보행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과 주관적 인지환경, 객관적 측정환경 모두 일상보행활동과 운동 목적의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행환경 개선에 있어 물리적인 인프라 뿐만 아니라 거주민과 보행자의 선호도 및 정서적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목적별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행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행목적에 따라 보행활동 증진 방안에 차이를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 조성된 ‘둘레길’이 운동 목적 보행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둘레길’과 같은 보행활동 증진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neighborhood’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wo different types of walking, daily walking and excercise one,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2013 Seoul Citizen Physical Activity Surve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subjectively perceived environments, and objectively measured environments were found to affect daily walking and excercise on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not only physical infrastructures, but also residents’ and pedestrians’ subjective preferences on walking environment.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detailed factors affecting daily walking and those affecting exercise walking.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walking activity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walking activity.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Seoul Dullegil’ project for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ercise purpose walking activity. This resul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walking trail projects such as ‘Seoul Dullegil’ to promote walking activit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울시 다문화 수용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 요인 분석

        사경은(Sa, Kyungeun),기동환(Ki, Donghwan),이수기(Lee, Sugie)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2013 서울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내 행정동별 다문화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 이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 인식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근린 수준 설명력이 가구 수준 설명력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다문화 수용 인식에 있어 개인 및 가구 특성뿐만 아니라, 거주지역의 근린환경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다문화 수용 인식에 있어 경합하는 두 이론인 접촉이론과 집단 갈등이론 중 단편적으로는 집단 갈등이론이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접촉이론이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이론을 규명하는데 있어 두 집단 간의 단편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접촉의 기간 또한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셋째, 양질의 인지적 근린환경은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을 제고하기 위해 근린의 지속적인 관리와 치안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혼합과 관련있는 주택유형 혼합도와 건조환경의 개방성이나 폐쇄성을 의미하는 근린환경 특성변수가 다문화 수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린단위에서 다양한 주거유형을 혼합하고 폐쇄적인 단지계획을 지양하는 것이 다문화 수용 인식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2013 Seoul surve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has show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neighborhood-level was higher than the household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household as well as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analyz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sues. Second, among the two competing theori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uch as ‘group conflict theory’ and ‘intergroup contact theory’, this study supports the group conflict theory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However,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tergroup contact theory gives a better explana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both temporary contact and long-term contact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examining the two theories. Third, the high quality of the perceived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local peo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management and the public order in a neighborhood are important i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mix of housing type and the structure of built environment at the neighborhood level affected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finding means that housing mix and opened form of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can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다중 요소 인증에 사용 가능한 행위기반 바이오 인증

        사경진(Kyeong-Jin Sa),우재연(Jae-Yeon Woo),염흥열(Heung-Youl You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情報保護學會誌 Vol.26 No.6

        IT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면서 개인정보의 유출 등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개인정보의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정보보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증기술들은 단일 요소 인증으로 다중 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기술에 비하면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행위기반 바이오 인증 기술들 중 다중인증을 하는데 이용 가능한 기술들에 대해 분석하고, 특성을 제시한다.

      • 금융권에서 인증 보증 등급을 기반으로 한 신뢰 승급 방법

        김지혜(Ji-Hye Kim),사경진(Kyeong-Jin Sa),염흥열(Heung-Youl You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情報保護學會誌 Vol.27 No.6

        최근 금융권에서는 고객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인증 수단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인증 수단을 네 가지의 보증 등급으로 통제 수단에 따라 나누어 제시한다. 보증 등급을 토대로 등급별 신뢰 승급이 가능한 보안 정책을 제안하고 주로 사용될 금융서비스의 인증 수단을 강도로 나눈다. 또한, 신뢰 승급의 활용사례를 기술하면서 안정적으로 금융서비스에서 신뢰 승급 기반으로 인증을 사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