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ace Syntax를 적용한 현대주거건축의 공간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변창훈 한국주거학회 199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6 No.2

        On this research. The method of space analysis(Space syntax) i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in the houses of four modern architects. Space analysis represent that the houses permutate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depth and rings to embed domestic fuctions within the hoe and to interface household memgers. Two of the house are judged to be well composite but banal: The other appear more inventive in relation compositinal principles to space configuration, to create a measure of subtlety and richness in life style which is lacking in the examples where form is manipulated in the abstract. On this research. It is discoverd that Knowledge of both the internal laws of form and the social logic of space is required to generate the practical conjunction of formal rigour with fuctional ease which we recognise in the houses of architects.

      • 現代建築에서 變形의 意味와 構造

        변창훈 慶山大學校 1995 論文集 Vol.13 No.1

        20세기 건축적 변화의 배경은 산업혁명을 출발점으로 보고 18세기에 개발된 새로운 재료와 구조의 반복된 사용에서 가능성을 볼 수 있다. 근대건축의 변화는 신축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그 실행정도는 조립화, 새로운 부재의 반복된 사용을 통하여 가능하였다. 20세기 건축발전시기에 Grrit Rietveld는 공간의 신축성과 개방성을 구성하였으며 변화는 공간의 신축적 구성으로 발전되었으나 시각적인 형태적 적합성에 관하여도 논의되었다. 또한 Mies는 서어비스 요소에 의해서 공간의 신축성을 구성하였고 경제적 요인으로 주택의 합리화와 표준화를 주구하며 사용자요구의 증가와 복합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축성을 요구하였다. Le Corbusier는 자유로운 개방평면을 구성하면서 표준화된 요소는 개방되고 신축적 내부공간으로 다양한 방식을 구성하였다. 50년대 후반에 Cedric Price는 연속성과 신축성에 대하여 새로운 건축의 표현으로 지속성 있게 진행하였다. 이런 건축적 예는 이론이나 사상과 분리될 수 없으며 이념적 측면에서 CIAM, Archigram, Metabolist에서 살펴 볼 수 있었다. CIAM의 반작용으로 나타난 Team 10은 상징, 장소, 클러스터와 인간-환경의 위계성 이었고 개방성을 지향하였다. Archigram은 하부구조를 강조하면서 기술, 이동, 거대구조의 이벤트를 재현하고 비결정성을 부가하였다. 60년대들어 Kenzo Tange의 확장하는 선형구조는 주요구조와 부차적 구조간의 특성, 변화와 적합성, 성장을 주제로 하였으며 Y. Friedman은 사용자 측면에서 선택의 자유에 관한 가능성을 과학적이고 체계적 접근방식을 통하여 모색하였다. 인간환경의 범주에서 Amos Rapoport는 변화에서 주거를 대상으로 인공환경의 의미를 파악하고 문화의 형태에 기초를 두었다. 그러므로 변화는 광의적 범주의 의미로 인공환경, 유기체, 사회에서 체계의 진행과정으로 볼 수 있고 체계는 일상적으로 동시적 발전과 상징성을 유지하면서 구조화된 실체이며 이런 체계의 특성을 세가지로 구분하면 구조, 기능, 발전의 측면으로 볼 수 있다. 구조는 부분간의 연결성이고 전체성, 위계성과 상호작용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은 물질적 체계에서 발생하며 대상의 형태와 속성을 유지하면서 변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발전은 체게의 형태와 속성에서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발전의 의미는 변화의 적합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영속적 패턴과 패턴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환경의 물리적 구조는 기능 변화에 부가된 영속적 패턴이며 이 세가지 차원은 상호연계성을 나타낸다. 건축변화는 건축구성의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건축에서 변형의 의미를 일반적 측면과 연계하여서 살펴보았다. 건축적 변형을 구성의 측면에서 파악한 세가지 차원으로 구조 기능, 발전으로 구분하고 이는 인간요구, 변화요인에 따라 반응하는 접근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구조적, 물리적으로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발전의 구조는 파사드요소나 내부구획과 배치보다는 변화의 광의적 해석을 위한 것이다. 구조, 기능, 발전의 상호작용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채택하였으며 사용자 뿐아니라 디자이너의 관점을 분리하여 파악함으로써 적합성의 관점에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이런 분야는 Participatory design이라는 대중적 참여에 의한 건축으로 상당한 관심과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두가지 관점의 균형에 따라 계획이 결정되며 이런 관점에서 상충은 환경적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 KCI등재

        건축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인 개념의 중요도 적용 - 도심지 택지개발지구에 초등학교 계획 사례 조사를 통해 -

        류임우,변창훈,Ryoo In-Woo,Byun Chang-Hoon 한국주거학회 200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dopting design concepts with weight on them.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design concepts for the study are classified by the hierarchy. Developing process of those design concepts which had been adopted for a creative thinking was investigated. Second, after putting different weight on diverse design concepts, this study propose a design process adopting design concepts with different weight. Finally, the proposed process adopting design concepts with weight was verified through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project.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s 3 times.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e hypothesis which was about the process adopting design concepts with different weight. Architects can precede their design process with confidence about setting design concepts by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장소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개념의 중요도 분석

        류임우(Ryoo Im-Woo),변창훈(Byun Chang-Hoon) 한국주거학회 200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7 No.1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propose method to estimate weights of decision-making for design concept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laces. In order to acquire these weights of concepts, the investigation with questionnaire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employed as a mean. Targets of this investigation was 63 respondents which were graduate students(21) and experts of design field(42). As a result, we could find differences between these weights of the relative concepts and know the differences in the weights of design concepts as characteristics of places were reflected. These weights of concepts will be take opinions about concept from design-related members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In design process, the weights of design concepts will help for designer to verify the concepts in design initially, and finally be used by a criteria in decision-making. The Weights of decision-making for design concepts as a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systematical and conceptual approach in design pract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