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 나라 특급 호텔의 수익률관리 적용 실태에 관한 연구

        변찬복 한국문화관광학회 1999 문화관광연구 Vol.1 No.1

        For many years, hoteliers has manipulated both room rates and occupancies to maximize sales revenue. Yield management(YM) involves adjusting room rates in response to the level of rooms booked for future arrival dates. There are a few problems in applying YM to the Korean hotel businesses. First there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fully the concept of YM. Second they emphasize myopic forecasting strategy without building a YM culture. And the emphases on information technology fails to acknowledge how important are the organizational elements of a YM system. In addition,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ow well Korean hotel industry prepares the foundations for employing the technique of yield management. At presen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to identify both if Korean hotel practitioners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YM and what kinds of problems they have in applying YM to their businesses.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This research involved a study of front office practitioners of Five-Star hotels in Seoul. The findings drawn from this stud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Korean hotel industry needs to build the YM-oriented culture in order to apply YM to its business successfully. The problem studied in this paper focused on the need to provide a foundation that enables the middle managers to employ YM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the hotels fail to acknowledge how important are the organizational elements of a YM, such as communication, top management's commitment, performance evaluation, and training. The results of not understanding the full picture of YM are found to be interdepartmental conflict, short-term gains at the expense of long-term business, and high levels of employee stress. To evade these negative effects, a hotel should build a strong culture of YM.

      • KCI등재

        연구논문 : "세계테마기행" 호스트 배낭여행객의 관광경험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이슬람 문화권을 중심으로

        변찬복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觀光硏究 Vol.2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가장 전형적인 배낭여행객의 관광 경험을 표상하고 있는 TV 여행 다큐멘터리인 "세계테마기행"에 등장하는 호스트 배낭여행객의 관광경험을 그레마스의 서술기호학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에 있다. 중동지역 8편의 여행일화를 선별하여 호스트여행객이 각 상황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감동의 순간을 경험하는지를 밝혔다. 관광객 감동의 순간을 일상성과 상반관계에 있는 진정성으로 정의하고 그레마스의 생성행로, 기호사각형 그리고 행동모델을 이용하여 호스트여행객의 관광경험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생성행로에서 의소, 의미소와 동위소를 추출하고, 기호사각형에서는 진정성 개념을 이용하여 상반관계, 모순관계, 함의관계를 밝히고, 행동자모델을 이용하여 여행객이 진정성에 도달하는 데에 있어서 발신자, 조력자, 방해자를 규정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을 강화하였다. 분석결과 호스트여행객들은 이항대립적 표현방식을 통해 감동의 순간을 나타냈으며,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 방문, 원주민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성찰, 자아발견, 문화화, 역사적성찰, 자연친화, 낭만과 자유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진정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orld Theme Travel is a documentary style television program which a host backpacker visits travel destinations demonstrating local cultures, fascinating scenery, and lifestyles of na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ost backpackers' travel experiences by using Greimas's semiotic grammar(narratological model). 8 travel episodes of Islamic cultural region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how the host backpackers' travel experiences were evolved to the tourist touching moment. Tourist moment was defined as authenticity based on various fields of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of Greimas's models. In the generative process, seme, sememes and isotopie were found from raw data. In the Semiotic Square, the relationships(contrary, contradiction, implication) between semiotic signs were found. Each travel episode was divided into its own six actants: subject, object, helper, opponent, sender, receiver, to delve deeply into the process of reaching the tourist moment. Findings showed that the experience which host backpackers had pursued in their travels was the pursuit of various forms of authenticity such as self-introspection, self-discovery, acculturation, historical meaning, and interaction with indigenous people.

      • KCI등재후보

        서울 서촌 산책의 미학적 해석 - 다큐멘터리 < 한국기행> 을 대상으로-

        변찬복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7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walking tour at Seochṏon in Seoul from the aesthetic perspective. To do this end the author used the documentary <Hankook Gihaeng> which had been aired on EBS. The target documentary presented the motives of space, flaneur, and aesthetic experience of Japanese Colonial Seoul. The Boan Yeogwan and the House of Yi-sang indicated how the writer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embodied the space of Gyungsung in their novels and poems. The target documentary presented Yi-Sang’s novel <Wing> and poems <Ogando: poetic sequence #1 and #4>. The author illumin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iterature Memorial Space and the immanent meaning of the novel <Wing>. The alley as a key theme of the documentary was a modern space where the present flaneur tried to alleviate the shock experience in the post-modern city, Seoul. This was tantamount to a sublimation of shock experience in the spectacular Gyungsung into an aesthetic modernity. The epilogue of the documentary effectively described the place identity of Sechon by presenting the well-mixed combination of image(Ogando: poetic sequence #1) and background music(A Car with Two Wheels),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n aesthetic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요즈음 많은 도시 산책자들이 찾고 있는 서울 서촌을 EBS가 방영한 문화 다큐멘터리 < 한국기행:문화예술기행제5 부>의 영상표현과 언술내용을 이용하여 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데에 있다. 서촌의 골목길, 보안여관, 이상의 집과 대오서점이라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식민지기와 개발독재 시대의 도시공간과 도시적 삶에 대한 지각방식, 그리고 미적 체험에 관한 모티브를 제시하고 있다. 보안여관과 ‘ 이상의 집’ 은 도시산책자이면서 관찰자인 식민지기 문인들이 경성이라는 근대 도시 공간을 그들의 작품에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상에 관해서는 그의 작품 < 날개>, < 오감도제4 호>와 < 오감도제1 호>를 소개하고 이상이 실제로 살았던 그의 백부 집의 장소성과 그의 작품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다큐의 핵심 주제의 하나인 골목은 도시 산책자들이 탈 근대적 공간인 서울에서의 충격체험을 완화시키려는 근대적 공간이며 이는 이상이 적응하지 못했던 경성의 현란한 도심에서의 체험을 막다른 골목에서 미적 모더니티로 승화시키는 것과 유사성을 갖는다. 에필로그에서는 김광석의 < 두바퀴로가는자동차>와 이상의 < 오감도시제1 호>를 제시함으로써 서촌의 장소성을시각( 영상과자막)과 청각( 음악)을 잘 배합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효과적인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 KCI등재

        도보여행의 숭고 경험 -존재론적 해석-

        변찬복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terpret the sublime experiences of long- distance walking travelers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s. It also illuminated the cross section spot between the concept of aesthetic sublimity and ontological philosophy. Long-distance walkers were a group of people who made a strong resistance to the atheism and the blind pursuit of materialism of contemporary world. They always wanted to escape from everydayness and fallness of contemporary society by taking an existentially neutral state. Though they have suffered from being serious injuries. they have never stopped walking. This is because their strong pursuit of Being-itself(nothingness) and objet a made them overcome physical pains and converge them into the state of pleasant pains. These pleasant pains were changed into the sublimity which can lead to heightening spirits. Long-distance walkers experienced the sublimity through a variety of manners such as anxiety, uncanny feeling, the possible impossibility of its existence and the thought of death. Kant, Heidegger, Schopenhauer and Marcel suggested their own conceptual bases for reaching the sublimity in the walking tours. 본고의 연구 목적은 도보 여행객의 숭고 경험을 존재론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데에 있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도보여행 체험 형태를 철학적 담론으로 전향하여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도보여행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고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아더 폴 보어스(Arthur Paul Boers)의 『걸어서 길이 되는 곳 산티아고』, 베르나르 올리비에(Bernard Ollivier)의 『나는 걷는다』 외에 유성용의 『여행생활자』, 김희경의 『나의 산티아고』의 텍스트들을 차용하였다. 2장에서는 걷기가 인간의 신체적 움직임을 통하여 어떻게 형이상학적 사유로 이어지는지를 루소, 서로우, 벤야민과 워드워즈의 작품을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특히 걷기 사유가 숭고 감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3장에서는 에드몬드 버크의 경험론적 숭고, 칸트의 형식미학적 숭고, 그리고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숭고에 대한 담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숭고 이론들은 도보 여행자들이 존재적 물음에 의해 여행을 개시하고 존재자체의 추구 과정을 통하여 예기치 않은 정신 고양을 느끼게 된다는 점에서 도보 여행자의 내면적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4장에서는 본고에서 인용된 도보여행자들의 여행 동기와 육체적 실존, 죽음에의 사유에 의한 숭고 체험을 하이데거의 실존론과 라깡의 욕망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도보여행자들은 자본 가치와 기술문명에 치우쳐 있는 현대 사회에 대해 근본적인 저항감을 갖고 있으며 죽음에 대한 사유를 직면함으로써 부정적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정신고양에 이르게 된다. 그들이 추구하는 것은 존재자체이며 오브제 아(objet a)이다.

      • KCI등재

        TV 기행다큐멘터리 「샹그리라」의 서사구조 분석 : 관광객의 진정성 경험을 중심으로

        변찬복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TV 기행 다큐멘터리 「샹그리라: 마지막 샹그리라」의 언술내용과 영상을 분석하고 서사구조 안에서 관광객의 진정성 경험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서사구조 분석은 첫째, 언술내용과 영상을 26개의 시퀀스로 나누고 서사 흐름에 따라 기승전결로 분류하였다. 둘째, 26개의 시퀀스를 이항대립항으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이항대립항을 19개의 기표·기의 쌍으로 분류하여 의미작용을 도출하였다. 셋째, 19쌍의 이항대립항으로부터 계열체 축을 작성하고 계열체 축으로부터 통합체적 메타언어를 도출하였다. 기호학적 분석 결과 연구대상 다큐멘터리의 중심적인 대립항들은 속물주의(스노비즘)와 무욕주의, 가상과 실제, 무대화와 원형성, 문명의 경박성과 자연의 숭고, 그리고 일상성과 진정성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샹그리라」에 표상된 관광객 진정성 경험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원시 자연의 관광개발은 현대인에게 정신적 자양분이 되었던 소수민족의 문화를 멸종위기로 몰아넣는 결과를 낳게 한다. 즉, 자연과 어우러진 현지인들의 삶의 공간이 도시화됨으로써 객체적 진정성이 훼손될 뿐만 아니라 현지인들이 점점 더 교환가치에 익숙한 비본래적 현존재에 몰입함으로써 실존적 진정성과 멀어지는 결과를 야기한다. 「샹그리라」에서 관광객의 진정성은 원시자연에 대한 미와 숭고 경험으로부터도 도출된다.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서 여행객의 도덕 감정을 일깨우는 것은 현대인들의 물신 숭배적 삶의 태도를 무욕의 삶으로 나아가려고 하는 것이며 신실성(sincerity)에 머물고 있는 도시인의 윤리를 진정성(authenticity)에로 진일보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Shangri-La" by using a semiotic analytical approach and find out how the tourist's authentic experience is embedded through the overall text of the target documentary. First, The narrative was divided into 26 sequences and combine them with the four steps: the introduction, the development of the theme, conversion, and summing up. Second, the sequences were narrowed down to 19 pairs of signified-signifier to draw the initial meanings. Third, the paradigmatic analysis has been used to compare and contrast each of the signifiers present in the text with absent signifiers which in similar circumstances might have been chosen. And 5 binary opposi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syntagmatic transformation: snobbism and unselfishness, virtual and real, staged tourist attraction and authentic tourist attraction, frivolity of civilization and sublimity of nature, everyday life and authenticity.

      • KCI등재후보

        호스피탈리티 기업 성희롱 판례에 나타난 법적쟁점의 비교 문화적 분석

        변찬복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08 산업혁신연구 Vol.24 No.1

        This paper discussed the legal issues on sexual harassment cases dealt by both Korean Courts and United States Courts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The legal issues include the reasonable standard for defining a sexually harassing behavior, the scope of an employer's vicarious liability, and the basic constituents of hostile work environments. The landmark case, so-called Hotel Lotte case in Korea was presented while Rene v. MGM Hotel and Nichols v. Azteca Restaurant Enterprises, Inc. cases were discussed in U.S. hospitality industry. In particular, the issue of same sex harassment was evaluated in terms of legal contradiction between prohibited sexual harassment and unprotected sexual orientation discrimination. The traditional culture models were presented to draw the rough comparisons of viewpoints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handling of sexual harassment. A couple of cultural factors were evaluated in the context of both defining and reporting sexually harassing behaviors at the workplace. More strict standard of "reasonable woman" should be applied to the question of what constitutes sexual harassment rather than "reasonable person" in Korea. Further researches on understanding cross-cultural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will also be recommended to deal with new trends of both legal and cultural issues about sexual harassment. 본 논문은 한국과 미국 호스피탈리티 기업에서 발생한 성희롱사건 판례에 나타난 법적 쟁점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각 판례에서 다뤘던 쟁점은 성희롱의 정의, 사용자의 적극적 대항요건과 대리인 책임 범위, 적대적 근무환경의 성립요건이 포함된다. 특히 미국의 판례에서는 동성 간에 성희롱이 성립하는지에 관해 성별에 의한 차별과 성적취향에 의한 차별의 법적용 문제를 다뤘다. 더 나아가 성희롱의 범위, 사용자 책임, 성희롱에 의한 피해사실의 보고와 피해자의 대응 태도에 대해 한국과 미국의 법정이 문화적인 요소를 고려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개인주의 문화에서 보다 성희롱 보고건수가 현저히 낮은 집단주의 문화 하에서는 성희롱 인식에 있어서도 합리적사람 기준보다는 합리적여성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여성권익보호라는 성희롱관련법의 입법취지에 더 부합되는 것이다. 이외에 동성 간에 성희롱이 성립할 것인가 여부도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미국 법원은 괴롭힘의 정도에 관계없이 동성에 대한 성적 괴롭힘이 가해자의 성적만족을 위한 경우에만 성희롱이 성립된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도 판례가 거듭됨에 따라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성희롱에 대한 입법적 혹은 법해석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아직 한국의 호스피탈리티 기업의 직장내성희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음을 감안 할 때 앞으로 실증적 성희롱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할 수 있는 탐색적 연구이다.

      • KCI등재

        도시산책 모티브를 반영한 문학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도심의 공간서사를 중심으로 -

        변찬복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flâneur’s motives and embody them into the downtown area of Seoul in the manner of public figurative arts and augmented reality. It had been very rare that the narratives of urban novels were visually embodied into the space of the city center in a certain form because the city center area was spatially limited. In the first instance, the spatial narrative of the novel had to be analyzed in order for the novel’s narrative to be well embodied into the city center. The author selected the novels which were best revealed the own identity of Seoul out of the novels in 1920-30. Five novels finally were selected: <A day of Novelist Gubo>, <Love and Lust>, <Wing>, <The Three Generations>, <Love and Sin>. As a result of narrative analysis, three types of flâneur were found. They were Park Tae Won type of flâneur, Lee Sang type of flâneur, and Yum Sang Sup type of flâneur. Park Tae Won type was the person who was socially misfitted but constantly worked himself into a crowd and observed them. Lee Sang type was the person who was socially misfitted and resisted against the spectacle of the city. Yum Sang Sup type was the person who got a deep footing in a social life but pursued the authentic human nature. The common feature of three types of flâneur was for them to be immersed into a mood of melancholy. However, this melancholy was not one that drove them toward destruction but led them into the existential thoughts. So it might be the key part of embodiment of narrative of a novel to transform the mood of melancholy into the space of city center. It might be very effective not only to establish literary booths for trial demonstration for AR literary contents but also to make a connection to the city arts projects to overcome spatial limitation. It was expected that both AR and public arts could make people do aesthetic experiences. 본고는 근대소설에서 도시산책자 모티브를 추출하고 그 지리적 배경이 된 서울도심에 공공조형미술이나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형상화 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도시소설 서사를 해당 장소에 형상화 하는 사례는 매우 드물었다. 왜냐하면 서울도심은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라 문학관 설립이나 조형미술을 이용한 형상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근대소설 서사를 서울도심에 형상화하기 위해 소설의 내용과 플롯이 공간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해야한다. 본고에서는 서울도심공간이 비교적 세밀하게 형상화된 5편의 소설을 선정하여 도시산책자 모티브가 잘 드러난 부분을 추출하였다. 서울도심을 배경으로 하는 5편의 근대소설에 나타난 도시 산책자들은 그 강도는 각각 다르지만 멜랑콜리를 담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따라서 도시산책자의 멜랑콜리를 어떻게 도시공간에 심미화 하느냐가 서울도심 문학콘텐츠화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거점장소에 문학부스를 만들어 증강현실을 시연하거나 도시의 심미화 프로젝트와 연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설의 서사를 조형예술이나 증강현실로 만들어 제공한다면 시민들과 외래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도시공간의 장소적 진정성과 인간의 실존에 대한 사유를 경유하여 궁극적으로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박태원 문학공간의 미학적 해석

        변찬복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0

        enjoyed the city center of Seoul and how they gave certain meanings to the spaces by interpreting the novels aesthetically. In addition, the methods of visualizing the aesthetical meanings of literary space were suggested. Chapter 1 raised necessity for embodying the literary space into the city center of Seoul. In Chapter 2, the aesthetical interpretation of “A Day of Novelist Gu Bo” “Ae-yok” and “The Landscape of Riverside” was exercised. “A Day of Novelist Gu Bo” represented the profound solidarity and universal melancholy by which modernity moulded. “Ae-yok” represented the desires of modern persona and exotic landscape of the city, and the novel ‘The Landscape of Riverside“ represents the snobocracy of the people and the mixed place of both authenticity and alienation. Chapter 3 summarized the place identities of literary spaces embedded in the subject novels. 이 연구의 목적은 박태원 소설의 등장인물들이 식민지기 서울도심이라는 공간을 어떻게 전유하고 어떤 의미를 부여하였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조망하고, 문학공간의 의미를 공공미술을 통해 가시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1장에서는 박태원 문학공간이 서울도심에 형상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애욕』, 『천변풍경』세 작품을 등장인물의 의식의 흐름과 공간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면서 에피소드별로 미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도시의 매혹과 환멸, 시대적 멜랑콜리, 무의지적 기억에 의한 미적경험을, 『애욕』에서는 근대적 주체의 욕망과 이국적 풍경을, 『천변풍경』에서는 속물성과 경제적 소외를 추출하였다. 3장에서는 박태원의 조사대상 작품에 묘사된 서울 도심 공간에 대한 장소정체성을 요약 설명하였다.

      • KCI등재

        시코쿠 도보여행의 존재론적 해석 -김남희와 경민선의 여행에세이를 대상으로-

        변찬복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2

        본고는 시코쿠 도보 여행자의 여행 동기와 여행 체험을 실존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으로서 김남희와 경민선의 시코쿠 도보여행기의 서사내용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여행 동기라는 측면에서 장거리 도보 여행자들은 처음부터 기술의 발전과 도시화로 특징화되는 현대성에 대한 강한 부정성을 담지하고 있으며 인간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일상성에 저항하기 위하여 육체적 어려움과 희생을 감내하고서라도 세계와 대면하는 주체적 파토스로 나아가려는 기획을 갖고 있다. 도보 여행자에게 몸은 단순히 외부 대상을 파악하고 외부에 영향을 받는 수동적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체험하는 구체적 실존인 것이다. 이는 몸 자체가 실존을 표현하는 방식이며 육화된 실존으로 간주하는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실존론과 육체가 형이상학적 반성의 출발점이자 형이상학적 사유들의 뿌리가 되고 있다는 가브리엘 마르셀의 육체적 실존론과 맞닿아 있다. 시코쿠 여행에서의 숭고 체험은 현대세계의 일상성에 대한 에포케와 세계로 나아갈 때 느끼는 두려운 낯설음, 그리고 죽음 대한 사유 과정에서 나타난다. 숭고는 의도적인 관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우연한 순간에 일회적으로 나타나는 정신 고양 현상으로서 Cary가 말하는 관광객순간, 혹은 무관심성과 관련된다. 도보여행자의 죽음에 관한 관점은 죽음으로 미리 달려가 봄으로써 본래적 존재로 나아가려는 태도를 보인다. 진정성 있는 오셋타이는 주민과 여행자가 모두 선행에 대해 무관심해야 하며 관습과 정감에 의한 도덕의 실천이 아니라 절대적 자유에 근거한 정언명령적인 행위이어야 한다. 여행을 끝내고 나서 의지적 기억에 의해서 여행의 의미를 찾으려고 하면 할수록 존재적 공허를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오히려 여행에 대한 존재적 의미는 여행이 끝난 이후에도 여행자의 몸속에 기억되어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무의지적 기억에 의해 간헐적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시코쿠 도보여행자의 여행경험을 육체적 실존론과 죽음에 대한 사유, 그리고 숭고 개념으로 확장하여 해석함으로써 여행자의 내면을 조금 더 세밀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the travel motives and experiences of the walkers of Shikoku Henro from the point of existentialism. The two recent travelogues about Shikoku Henro were used as main narratives in the study. The long-distance walkers were inherently charged with a strong negativity against modernity which was characteriz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They were inherently willing to face with the world to resist the modern everydayness without refusing the accompanying physical pains. To walkers, the body was not a thing that simply recognizes external objects but a lived existence to accommodate the world. Both Merlo-Ponty`s phenomenological existence and Gabriel Marcel`s physical existentialism supported the walkers` lived concrete existential experience. Gabriel Marcel claimed that the body became a basis of metaphysical reflections and thoughts. Subliminal experiences of the walkers of Shikoku Henro were mainly expressed in the epoche against modern everydayness, uncanniness, and thoughts on the phenomenon of death. Sublimity was thought to be as an experience of what was spontaneously happened in a moment, which was in turn associated with "tourist moment" and "disinterest". The walkers` thoughts on the death seemed trying to gain an authentic perspective by running toward death. In order to perform authentic Osetai, both local residents and walkers should be disinterested in the good, customs, and emotions. The authentic Osetai should not be performed based on morality but categorical imperatives. Ontological meaning of a walking tour was not appeared on walkers` return from the travel. It would spontaneously come out by involuntary memory as time passed b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offering more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ravelers` inward thoughts tha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도시산책 모티브의 양상

        변찬복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4

        선행연구에서는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대비적 관점 혹은 비극적 삶과 일상적 삶, 억압적 욕망과 지식인의 소외라는 측면에서 의식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는 박태원 소설의 도시산책자 모티브를 경계적 자아와 고독의 알레고리, 무의지적 기억과 멜랑콜리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산책자 구보는 부르주아 모더니티와 미학적 모더니티, 즉자적 속물과 대자적 속물, 에토스와 파토스의 경계에 있는 자이며 도시와 군중에 대해 매혹과 역겨움이라는 양가적 감정을 갖는 자이다. 따라서 경계적 자아라는 측면에서 작품을 분석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나태함과 현실 도피의 수단으로 인식된 권태와 고독을 분주함과 행복을 누리는 근대사회 군중의 무의식에 잠재된 것으로 해석함으로서 고독의 알레고리를 분석하였다. 주류에서 벗어난 중심인물들을 통해서 표출된 고독은 부르주아 모더니티에 대한 저항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는 식민지기 지식인 구보를 통해 민족적 멜랑콜리를, 『성탄제』 에서는 중심인물 영이를 통해서 부도덕성에 대한 성찰적 멜랑콜리를 발견하였다. 결국 본고는 모더니티-도시-산책자의 상호관련성 하에서 모더니티-도시-고독과 모더니티-도시-멜랑콜리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 있다. The previous study has elucidated a contrast between modernism and realism in the novels of Park Tae Won. Another study has analyzed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novels’ heroes from the points of tragic and normal life, depressed desire and alie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the flaneur motif of the novels of Park Tae Won by focusing on the boundary self, the allegory of solitude involuntary memory. and melancholy. The flaneur GuBo had a boundary position between bourgeois modernity and aesthetic modernity, en-soi snob and pour-soi snob, ethos pathos. He also had an ambivalent sentiment toward city and its masses. The weariness and solitude were thought to be laziness and escape from reality. The author supported the viewpoint that the solitude was lurked in the minds of city masses who had enjoyed vacuous busyness and happiness. This led to ascertaining a allegory of the solitude. The resistance to bourgeois modernity was inherent in the solitude of the alienated heroes in the novels. Ethnic melancholy was found in “A Day of Novelist Gu Bo” while self-contemplation melancholy in “Christmas”. This study illuminated both the relationship among modernity, city, and solitude and the relationship among modernity, city, and melancho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