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미치는 영향

        변수용(Byun, Soo-yong),정희진(Chung, Hee Jin),정진리(Jung, Jilli)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립초 졸업이 특목고/자사고 진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가정배경, 학생 특성, 출신 중학교 소재지를 통제한 후에도 다른 고교 유형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을 추가로 통제하였을 때 사립초 졸업생들은 공립초 졸업생들과 비교하여 특성화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이 여전히 높았지만, 일반고에 비해 특목고/자사고에 진학할 확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립초 졸업 여부와 일반고 대비 특목고/자사고 진학과의 연관성이 출신 중학교 설립 유형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추가 분석을 통해 사립초 졸업생 가운데 다수가 특목고/자사고 진학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사립중에 진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등교육 이전 단계에 있어 교육 기회의 질적 불평등 현상과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Drawing on the six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on the probability of entering elite high schools, namely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were more likely to enter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other types of high school,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attending public elementary schools, even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s attended. However, once the type of middle school attended by the students was controlled for, th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relative to general high schools between private vs. public elementary school graduates was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private elementary schools and the likelihood of attending elite high schools could be explained by the type of middle schools attended. In fact, our supplementary analysis indicated that a great number of private elementary school graduates entered private middle schools which maintain good admission results to elite high school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 relation to the qualitative inequality of opportunity prior to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박현주 ( Hyunju Park ),변수용 ( Soo-yong Byun ),심재호 ( Jaeho Sim ),백윤수 ( Yoon Su Baek ),정진수 ( Jin-su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실행 여부와 그 이유, 실행 빈도와 교과 시간, 예산 등 STEAM 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11, 526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실태조사로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56.8%에 해당하는 6,473개교가 참여하였다. 설문 자료는 응답에 참여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학교급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학교들을 STEAM 교육을 실행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27.1%에 해당하는 3,127개 학교가 STEAM 교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TEAM 교육 시행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급은 초등학교(30.8%), 중학교(27.4%), 고등학교 (17.5%)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STEAM 교육의 실행 비율 결과와는 달리, STEAM 교육의 만족도는 고등학교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교육을 실행하는 주된 요인은 모든 학교급에서 ‘교사의 자발적 노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고, 두 번째 요인으로 ‘교육청 지원’이 많이 언급되었다. 넷째, STEAM 교육을 아직 실행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STEAM 교육에 대한 학교 교사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STEAM 교육의 실행 여부에 있어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STEAM 교육의 정착과 확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s by asking a variety of questions including "why and how often they implement STEAM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11,52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with the response rate being 56.8% (N = 6,473). To highlight key findings, first, our descriptive analyses suggested that if those that did not respond to the survey were assumed not to have implemented STEAM education, approximately 27.1% (N = 3,127) of all schools in South Korea were believed to have implemented STEAM at best. The highest rate of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was found in elementary schools (30.8%), followed by middle (27.4%) and high (17.5%) schools. Second, in contrast with the result for the rate of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high school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Thir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within a school was found to be teachers’ voluntary efforts or intrinsic motives, followed by support from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Fourth,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not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lack of consensus among teachers. Togethe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s in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Offered ar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better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 KCI등재

        누가 교직을 떠나려 하는가? 중학교 교사 교직 이탈 가능성 예측요인 분석

        김지혜(Kim, Ji-hye),변수용(Byun, Soo-yong),전재은(Jon, Jae-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이하 TALIS) 2018 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의 교직 이탈(teacher attrition) 가능성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직 이탈 가능성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향후 5년 이내에 교직을 떠나고 싶은 여부로 조작적 정의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 가운데 교직 이탈 가능성이 있는 교사들의 비율은 약 25%였다. 그러나 교직 이탈 가능성은 연령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20대 교사의 교직 이탈 가능성 비율은 3%에 불과하였으나, 50대 이상의 경우 그 비율이 60%에 이르렀다. 한편,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연령대와 상관없이 교직 만족도가 낮을수록 교직 이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교사의 경우 교직 경력과 직무관련 스트레스가 교직 이탈 가능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50대 이상의 교사의 경우 석·박사 학위 취득 유무와 교직 경력이 교직 이탈 가능성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2018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Here, the turnover intention was operationalized as the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r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among Korean middle school teachers was approximately 25%. This likelihood, however,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age groups.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re likely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next five years was approximately 3% among early career teachers in their 20s, but the corresponding proportion was 60% among teachers in their 50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ofession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likelihood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or all age groups, with other things being equal. For teachers in their 40s, job stress was another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or teachers in their 50s, having a graduate degree and longer teaching experiences were additional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likelihood of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The Impact of Shadow Education on Mainstream Education

        Jaesung Choi(최재성),Soo-yong Byun(변수용)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동계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how shadow education shape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the mainstream educational system. In particular, we are interested in studying how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participate in shadow education within a school affects teachers’ job satisfaction, attitudes toward students, and efforts to prepare for their class. Using recent four waves of the Analysis on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Status of Korean School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 found that an increasing shar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within a school had a negative impact on teachers’ effort and motivation at school. This suggests an important channel by which shadow education would have a negative consequence on the disadvantaged students who have a limited access to shadow education, which would widen educational inequality, especially in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대학생의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효과에 대한 종단 분석

        전재은 ( Jon Jae-eun ),이희영 ( Lee Heeyoung ),변수용 ( Byun Soo-yong )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 이전과 참여 종료 및 귀국 이후까지 3시점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사용하여 외국어 능력, 문화적 능력, 개인적 발달에 대한 참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참여 효과의 변화 유무와 예측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무조건모형 분석 결과, 외국어 능력, 문화적 능력, 개인적 발달 모두에 대해 해외 교환학생 프로그램 참여 이전인 초기치와 변화율의 개인차 존재를 확인하였다. 조건모형 분석 결과, 초기치에 대해 외국어 능력은 부모 학력과 대학 전 해외경험, 문화적 능력은 성별과 대학 전 해외경험, 개인적 발달도 성별과 대학 전 해외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율에 대해서는 외국어 능력은 대학 전 해외경험과 파견 국가 및 지역, 문화적 능력은 참여자와 현지 학생 간 교류 정도, 개인적 발달은 대학 전 해외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와 관련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participation in an overseas exchange student program on foreign language competenc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personal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over three time points from the pre-, post-, and post-post tests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verseas exchange program.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change of participation effects exists over time and which predictors affected outcomes. The results of unconditional growth model showed that foreign language competence, cultural competence, and personal develop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initial status prior to departure to participate in an overseas program as well as their growth rate. The results of conditional growth model showed that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overseas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fected the initial status of foreign language competence, and gender and overseas experience before college affected those of cultural competence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 In case of growth rate, overseas experience before college and destination country/region affected foreign language competence, and interactions between Korean participating students and local students affected cultural competence. For personal development, only overseas experiences before college affected its growth rate. Lastly, relevant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초·중등학교 학생의 STEAM 문제해결력 평가 도구의 개발

        심재호 ( Jaeho Sim ),박현주 ( Hyunju Park ),백윤수 ( Yoon Su Baek ),변수용 ( Soo-yong By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학생들의 STEAM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타당하고 신뢰로운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STEAM 문제해결력 이 무엇인지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정의하였으며, 이 정의에 따라 STEAM 문제해결력 평가틀을 사고력, 설계 와 실행, 융합적 소양의 3가지 측면으로 구성하였다. 이 평가틀에 따라 보행도로, 환경오염, 엽록체 이식, 화성 탐 사의 4가지 주제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문항 의 예비 투입을 통해 평가 영역, 채점 준거를 수정 및 확정 하였다. 개발한 문항을 적용해 본 결과 STEAM 문제해결력 검사지의 난이도와 변별도는 대체적으로 적절하였다. 또한 STEAM 교육을 받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 해 초등학교에서는 환경오염 주제, 중학교에서는 엽록체 이식 주제, 고등학교에서는 보행도로와 화성 탐사 주제에 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따라서 개발한 검 사지가 학생들에게 인지적 부담이 크지만 STEAM 문제 해결력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검사지라고 판단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STEAM 교육이 시행되고 있지만 STEAM 교육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적합한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가 없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는 STEAM 교육의 성취 결과를 평가하는데 현장에 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the STEAM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ree key aspects of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identified through a survey of prior research: thinking ability, engineering design and execution, and integrated competency. Following this assessment framework, four test items were developed: design of pedestrian path, environmental pollution, chloroplast transplantation, and Mars exploration. We also develope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scoring scheme and conducted a pilot study to tes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ilot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items were generally acceptable.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st score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chloroplast transplant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for designing pedestrian path and Mars explor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favoring students who received STEAM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tems we developed are suitable to evaluate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even though they might be cognitively challenging to students. Given the lack of measures of integrated problem solving ability in Korea where STEAM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we hoped to offer a useful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impact of STEAM education on problem solv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