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엔해양법협약 체제의 평가와 전망

        白珍鉉(Jin-Hyun Paik)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3

        유엔해양법협약이 해양법이나 해양질서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평가함에 있어서 특히 주목을 요하는 문제 중의 하나는 협약체제의 제도적 측면에 대한 검토이다. 유엔해양법협약은 발효와 함께 세 개의 중요한 국제기구, 즉 대륙붕한계위원회, 국제해저기구, 국제해양법 재판소를 출범시켰다. 협약 발효 후 불과 1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이들 기구들의 역할을 정확히 평가하기란 어렵지만, 현재 이 기구들은 적지 않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대륙붕한계위원회는 200해리를 넘어가는 연안국의 대륙붕의 외측한계를 확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연안국의 배타적 관할권이 적용되는 대륙붕과 인류의 공동유산 원칙이 적용되는 심해저간의 경계를 획정하는데 기여한다. 유엔해양법협약은 이 기구를 과학적ㆍ기술적인 성격의 기구로 구성하였지만 실제 동 기구는 대단히 어렵고 민감한 법적 문제를 다루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 대륙붕 외측한계의 최종 확정까지의 절차나 당사국이 최종 확정한 대륙붕의 외측한계의 정당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향후 대륙붕한계위원회의 법률적 전문성을 보완하는 문제를 제도적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제해저기구는 유엔해양법협약 제11장 및 이행협정에 따라 인류를 대표하여 심해저 및 그 자원의 개발을 책임지는 기구로 1995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나 해양법협약은 심해저 개발과 국제해저기구의 활동을 가장 중심적 내용으로 다루었지만 당분간은 심해저 광업의 상업성이 없어 가까운 장래에 동 기구가 본격적으로 활동할 가능성은 낮다. 향후 상당기간 국제해저기구는 최소한 수준의 활동에 머무를 것이나, 궁극적으로 인류의 공동원칙의 적용과 해석이 동 기구의 최대 과제가 될 것이다. 유엔해양법협약의 발효로 가장 주목을 모았던 것은 국제해양법재판소를 비롯한 협약 상의 분쟁해결절차가 과연 현실에서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였다. 협약 발효 이후 관행을 요약해보면 첫째, 당사국간 협약의 해석 및 적용에 관한 분쟁이 발생할 경우 통계적으로 국제해양법재판소보다 중재재판에 회부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국제해양법재판소 출범 이후 다룬 사건은 대부분 억류선박의 석방이나 잠정 조치와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사건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부차적 성격을 가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국제해양법재판소가 잠정조치를 다루고 본안을 여타 재판소가 다루는 상황이 계속될 경우 협약 상 분쟁해결절차의 중심적 기관으로서 국제해양법재판소의 위치는 흔들릴 수 있다. 셋째, 협약 제15장의 강제적 분쟁해결절차의 발동과 관련, 중재재판은 합의에 의한 분쟁해결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 강제절차의 적용을 상대적으로 어렵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유엔해양법협약은 당사국으로 하여금 다양한 분쟁해결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제절차 도입에 따른 부담감은 덜어주었으나 동일 사안에 대해 상이한 해석과 적용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위 기구들은 해양법협약 체제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 나름대로 역할을 해왔지만 상당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 이 기구들이 당면한 주요 문제들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는 해양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created three new institutions, that is the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CLCS), the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ISA), and the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ITLOS). Now that the Convention has entered into force for more than a decade, it is time to assess how these institutions have evolved and what challenges they are faced with. The CLCS,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a boundary between coastal state's continental shelf and the deep seabed, needs to address various contentious issues under the UNCLOS such as the nature of the CLCS recommendations and the status of other interested party. The activities of the ISA are expected to be limited for some time due to the fact that deep seabed mining remains uncompetitive compared to land-based mining. Ultimately, the central task of the ISA would be to interpret and apply the principle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a main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UNCLOS.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provided in Part XV of the UNCLOS has been heral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Convention. In particular, the ITLOS wa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However, questions have been raised over the capacity of the ITLOS to effectively exercise its broader jurisdiction with consequential impacts for dispute resolution. It is argued that the decisions these institutions will make in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will substantially shape not only their institutional future but also the long-term evolution of the law of the sea in general.

      • KCI등재
      • 남북한 연금제도의 통합방안

        백진현 경일대학교 산업정보연구소 2000 産經硏究 Vol.7 No.1

        본고에서는 남북한의 사회보장제도의 통합분야 중에서도 연금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남북한의 연금제도의 통합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II장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연금제도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양체제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제III장에서는 통독과정에서 서독과 동독과 사회보장 통합과정을 참고로 하여 남북한 사회보장통합의 방향성을 한번 살펴보고자 한다. 하지만 남한과 북한의 체제 이질성으로 인하여 남북한의 연금제도는 그 성격이나 급여내용 뿐만 아니라 그 체계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질성의 극복은 향후 남북한 사회보장통합의 과정에서 중심적인 과제로 될 것이다.

      • KCI등재

        군비통제 검증관련 기구 및 법령에 관한 연구

        백진현(白珍鉉),제성호(諸成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2 전략연구 Vol.9 No.2

        Verification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important and complicated issues in the process of arms control. Verification is not just a technical. military issue but a complex process involving economic. financial and political dimension as well. Despite the complexity and importance of verification. there has been little in-depth studies about verification: its concept, nature. functions. and its specific methods and strategy. Particularly. there has been almost nothing on the domestic. institutional aspect of verification.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domestic institutional aspect of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Korean summit and consequent resumption of dialogu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s for verification as an essential process of arms control.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intends to focus on the issue of verification. in particular what should be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domestic system to implement the task of verification and what legislations are required to this effect. Verification, in general. has at least four functions. These functions include: first. insurance against significant surprise or "breakout" (in other words. sudden unilateral abrogation of an existing agreement): second, confidence-building between the adversaries: creation of political support for arms control: and fourth. guidance for drafting better arms control treaties. Our approach to verification in the North-South arms control negotiation should bear these four functions in mind. In particular. the following four principles should be stressed. First. despite North Korea's negative attitude toward verification in general. any arms control agreements with North Korea must include an effective verification provision. without which they cannot obtain the needed domestic support. Second. however. it is important for the South to be flexible about the specific methods of verification. given North Korea's sensitivity to verification. Third, gradualism and pragmatism should be a guiding principle in negotiation on verification. Too ideal or ambitious approach to verification. such as demanding a strict form of challenge inspection in the absence of minimal element of confidence. can easily lead to the collapse of arms control negotiation. Fourth. no efforts should be spared to obtain the domestic support for the relevance and validity of the adopted arms control methods. What kind of domestic institutional mechanism is needed in deciding and implementing verification strategy? There can be two kinds of approach to this question. The first is to make use of the existing standing committee of National Security Committee (NSC). which requires no new legislation or establishment of new institution. The standing committee of NSC would be in charge of arms control and verification affairs which involve and affect the interests of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 and agencies. The second approach is to set up the Arms Control Commission under the office of Prime Minister. and let this commission in charge of planning, deciding. and implementing arms control matter. This option obviously requires new legislation. but such new institution may be useful when arms control would become a serious. real issue. Finally. whichever option is adopted. the current Office of Arms Control and Verification and Inspection Agency within the Ministry of Defence should be strengthened and restructured when North-South arms control proceeds in earnest.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 해양안보협력의 과제와 전망

        백진현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1999 국제지역연구 Vol.8 No.3

        아태지역 국가들의 해양에 관한 이익(maritime interests)은 상당부분 일치하지만 경우에 따라 불가피하게 상충되기도 하여 적절히 관리되지 않을 경우 국가간 마찰을 유발하고 지역안보의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 또 아태지역 해양 영토분쟁은 최근의 연안국 관할권 확대 추세에 따른 경계획정 문제와 주변 해역의 자원이용 문제와 맞물려 관련국간 심각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아태지역의 해양안보환경을 감안할 때, 역내의 잠재적 분쟁요인이 본격적인 분쟁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예방외교적 조치가 절실하다. 이를 위해 군사적 측면의 신뢰구축 조치 뿐 아니라 종합안보적 측면에서 비군사적 측면의 해양협력도 중요하다. 또 안정적인 해양질서 구축에 필수적인 지역내 해양관행의 투명성 제고와 해양이용에 관한 명확한 규범의 확립도 중요하다.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consequent improvement of relations among the coastal states in the Asia-Pacific region has provided a long-awaited opportunity for developing a uniform and stable regional maritime order. On the other, the end of the superpower rivalry has also created new uncertainties. A particularly worrying trend is the competitive in provement of military capabilities, in particular naval forces, by regional states.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measures at strengthening maritime regime and promoting cooperation among regional states with a view to minimizing the risks of armed confrontation at sea. Building confidence and strengthening security may be one of the most urgent and needed tasks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should address in the post-Cold War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