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현장실습 기간 중 e-멘토링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수의 인식

        백상수(Sangsu Baek),차정호(Jeongho Cha),오정숙(Jungsook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e-멘토링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 및 실습지도교수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경북 지역에 위치한 사범대학의 4학년 학생과 실습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교현장실습을 마친 후인 4학년 6월 초에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전공 영역의 예비교사 134명(남 33명, 여 101명)과 실습지도교수 23명(남 13명, 여 10명)의 응답을 얻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e-멘토링을 통해 교육활동 계획, 실시, 평가에 대한 지도 요구가 가장 높았고, 멘토에게는 정기적이고 규칙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또한 멘티는 실습지도교수와 동료들로부터 적극적으로 배우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교수와 학생 비율은 교수 1명과 실습생 2-3명이었다. 실습지도교수들의 경우, e-멘토링을 통해 교육활동 계획, 실시, 평가에 대한 지도 요구뿐 아니라 실습생의 어려움을 듣고 나누고자 하는 요구가 가장 높았고, 멘토에게는 실습생이 직면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또한 멘티는 실습지도교수 및 동료들과 정보를 교류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교수와 학생 비율은 교수 1명과 실습생 4-5명이었다. 동료간 멘토링과 선배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요구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advisors on e-mentoring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A survey was distributed to 185 pre-service teachers and 34 of their advisors in early June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One-hundred thirty-four (33 male and 101 female) preservice teachers and 23 advisors (13 male and 10 female) returned the survey. Pre-servic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need more instructions on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of lessons through e-mentoring. They also expected more regular and systematic feedback from their mentors. They perceived that mentees have to be more proactive in their learning from their mentors and colleagues. They indicated that desirable a mentor-to-mentee ratio would be 1 to 2-3. Advisor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quiring about students’ struggles and providing support to students’ problem solving is important in addition to their lessons. They also indicated that mentees have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cooperating teachers. They indicated that a desirable mentor-to-mentee ratio would be 1 to 4-5. Peer mentoring and alumni mentoring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유치원 통합교사의 교육과정 수정전략 인식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 분석 연구

        백상수(Baek Sangsu),배정윤(Bae Jungyoon),Jung Eunyoung Grac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 유아가 재원하고 있는 공립 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인식을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의 20 가지 구체적 실제들에 대해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에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수정에 대해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개선이 필요한 실제들을 확인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교육과정 수정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한 반면 교육과정 수정이 현장에서 보통 주순으로 실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 수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구체적으로 활동 계열화 조절, 선호하는 사람 배치, 활동/교구 선호도 활용 등 3가지 구체적 실제들을 장애 아동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교육과정 수정전략이라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settings. Particularly, their percep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20 curriculum modifications practices were examined. In additi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to identity the specific practice to improve. As results, respondents rated more highly the importance of all practice comparing it to their medium level rating of performa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identified three specific practices to improve; activity arrangement, adults and peers reference, activity, and material preference.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DEC 아동 중심 중재 전략에 대한 중요도 및 효능감과 실행도의 차이 분석

        백상수 ( Sangsu Bae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4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implementation and competence of DEC’s child-focused recommended practices(DECRP).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Competence-Perform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poorly implemented individual practices among all 27 practices under three sub categories of ‘environmental design’, ‘individualized practice’, and ‘systematic procedures’. Overall, there were very strong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categories. Most respondents felt the DECRP was important and they were competent implementing them. Respondents also believed that they frequently implemented the DECRP in their classroom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and between competence and implementation as well. Although various practices were identified as ‘need to be improved’ practices, most weak practices were from environmental design category.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eacher preparation also are discussed.

      • KCI등재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분석

        백상수(Sangsu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사범대학 특수교육 관련 유아특수교육, 초등특수교육, 특수교육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교육설계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는 수준과 실제 역량 수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K도 소재 예비 특수교사 294명의 설문 응답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교육설계 원리에 대한 중요도와 역량 인식 간에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고 구체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 검정(Scheffe)도 실시하였다. 또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메타버스를 교육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설계 원리들 중 구체적으로 역량개선이 필요한 항목들의 우선순위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은 메타버스 교육설계 원리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했지만, 이에 비해 현재 자신들의 역량 수준은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A 분석 결과, 예비 특수교사들에게 ‘네트워크 환경’, ‘적절한 학습목표’, ‘현실적인 구체적 장면’, ‘다양한 에듀테크놀로지 연결’, ‘자유와 창의성’, 그리고 ‘충분한 시간과 기회’와 관련된 부분의 역량개선이 우선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특수교육 환경에서 메타버스 기술의 교육적 활용과 효과적 중재 교육 방법으로의 적용을 위해 예비특수교사들에게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교사 양성과정에서 이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majors about the principles of Metaverse instruction design. Methods The statistical difference using t-test and anova between importance and competency were examined with 294 special education teacher survey respondents in Gyeongsangbuk-d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dapted to identify the specific competency to improve. Results As a result, respondents rated more highly the importance of all principles of Metaverse education design over their competency. The results of IPA identified as follow; ‘Network environment’, ‘Appropriate learning goals’, ‘specific scenes with reality’, ‘connect with various EdTech’, ‘Freedom and creativity’, and ‘sufficient time and opportunity’. Conclusions In order to utilize metaverse technology as a timely educational resource and to apply it as an effective interventional educ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new technology among pre-service special teachers and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in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 KCI등재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백상수 ( Sangsu Baek ),오정숙 ( Jung Sook Oh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tudents regarding co-teaching issues such as teacher training, school supports, contribution to inclusion and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utilization.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77 graduate students, and 100 surveys(36%) were returned. Findings indicated that almost half of respondents indicated the undergraduate teacher program did not provide co-teaching related training, whereas half of them indicated they received training from their graduate program. Although respondents felt that co-teaching will contribute to inclusion and students’ achievement, they perceived that there was not enough support from school to implement co-teaching methods. Respondents suggested recommendations to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effectively include the co-teaching topic in the curriculum.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놀이 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놀이행동 특성과 의사결정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상수 ( Sangsu Baek ),황윤세 ( Yoon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2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놀이특성과 의사결정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4세와 5세 유아 33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놀이특성에서는 운동놀이와 사회놀이에 변화가 있었다.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의사결정력 전체 및 그 하위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유아의 의사결정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ability. Fifty-six subjects of four to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play characteristics and decision making ability.

      • KCI등재

        발달지체 영아를 위한 모아(母兒)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백상수 ( Sangsu Bae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1

        장애 영유아를 위한 조기중재의 필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도 무상교육을 명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장애 영유아들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그러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놀이 그룹을 통한 장애 영유아와 부모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지체 영아 8명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된 놀이 그룹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특징과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재에 참여한 영·유아들의 발달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부모들의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특히 본 놀이 그룹 중재 모형에 참여한 부모님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자연스러운 부모강화를 통해 부모-영유아간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강화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해 놀이 그룹 중심의 조기 중재 모델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방안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examine early intervention play group program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Research. Perceptions eight mot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paly group intervention program were examined with attachment Q-set,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rom, and face interview. Overall, perceptions of participants were emerged in various issues. Mostly they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their attachement and reduced stress level. Parents reported that they received emotional support and learin to read their children’s cues and developmental information from other parents.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과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과의 관련성 분석

        백상수 ( Sangsu Baek ),황윤세 ( Yoon 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의 발달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56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중지능 평가 결과, 음악 지능, 신체운동 지능, 논리수학 지능, 그리고 공간 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은 유아의 다중지능을 부분적으로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Fifty-six subjects of four to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multiple intelligence· Effect of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Program on Young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 교육 실습의 임상 모형 교생감독 관찰일지 분석

        백상수 ( Sangsu Bae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supervisors’ feedback of the observation notes and their relevancy to the summative student teachin teachingg evaluation rubric during clinical supervision student teach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feedback data were analyzed with content-analysis method. The observation notes were from seven college supervisors of 16 seni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major pre-service teachers. All 48 observation not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u suppervisor notes contained a variety of feedback regarding instruction, classroom mana ervisor managgement, interaction, lesson plan, and individualization. The feedback was also relevant to the content of the summative evaluation rubric of the college.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suggested. ement,

      • KCI등재

        DEC 추천 실제들에 관한 유능감과 실행에 관련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백상수 ( Sangsu Bae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im impplementation and competence of DEC’s child-focused recommended practices(DECRP) in their classrooms. The information was gathered through surveys of 147 teachers from pre-kindergarten programs. Overall, most respondents felt competent im lementation impplementin lementingg the child-focused practices and they believed that they frequently implemented the DECRP child-focused practices in their classrooms.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Im Impplications for practi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practitioners also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