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호직공무원의 우울척도 타당성 연구

        박희균,이강훈,정재훈 대한범죄학회 2023 한국범죄학 Vol.17 No.3

        In a reality where Probation Officers are overburdened with work and are not adequately staffed, the depression they experience will ultimately make it difficult to achieve the organization’s vision of ‘creating a bright and healthy society without crime’. Although many studies on depression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police officers, Korea Coast Guard officers, and firefighters, there are no similar studies targeting Probation Offic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9 through proportional allocation sampling of Probation Officers as the population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ES-D of Probation Officers, it was discovered that it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an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 consistency met general standards. Afterward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fit was also appropriate, and a modified CES-D consisting of a total of 11 questions was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hope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periodically measuring the depression of Probation Officers, and furthermore, we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upport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depression of Probation Officers. 보호직공무원은 업무 과중과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보호직공무원의 우울을유발할 수 있으며, 이들이 우울을 경험하게 된다면 결국 ‘범죄 없는 밝고 건강한 사회구현’이라는 조직의 비전 달성을 어렵게 만들 것이다. 경찰⋅해양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우울증에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지만, 보호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유사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이 연구는 보호직공무원의 우울증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상시 관리하기 위해 우울증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척도인 CES-D가 얼마나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호직공무원을 모집단으로 비례할당 표집을 통해 2019년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보호직공무원의 CES-D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해당 척도가 3가지 요인으로 구분되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신뢰도 분석을 통해 내적 일관성이 일반적인 기준을 충족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나 총 11개 문항으로구성된 수정된 CES-D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직공무원의 우울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의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보호직공무원의 우울 수준을낮출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제3차 해양경찰 보건안전 및 복지증진 기본계획(2024-2028)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박희균 한국해양경찰학회 2023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공무원의 복지와 관련한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5년 마다 해양경찰청장이 수립하여야 하는 제3차 해양경찰 보건안전 및 복지증진기본계획(2024-2028)에 수립 시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기본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차와 제2차 해양경찰복지 기본계획을 검토하고, 그 이행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해양경찰공무원 대상 복지 현황조사 결과를 분석하여그 의의와 향후 제3차 복지 기본계획에서 검토되어야 하는 복지 분야를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해양경찰 복지 정책 이행률의 저조하여 실천가능한 복지 기본계획의 수립이 필요하였으며, 경제복지 분야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주요 정신건강(우울증ㆍ불안감 등) 현황이 부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제3차 해양경찰 보건안전 및 복지증진 기본계획(2024-2028)에 대한 기본방향과 실천 가능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①위원회 개최시 복지 관련 주제 포함되도록 의무화, ② 복지 관련 연구용역ㆍR&D 과제 추진, ③ 해양경찰패널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related to the welfare of Korea Coast Guard officials and, based on this, must be reviewed when establishing the 3rd Coast Guard Health, Safety and Welfare Promotion Basic Plan(2024-2028), which must be established by the Commissioner of theKorea Coast Guard every five years. It suggests the basic direction that should be taken. To this end, the 1st and 2nd Korea Coast Guard Welfare Basic Plans were reviewed and the actual status of their implementation was investigated. Next, the results of the welfare status survey for Korea Coast Guard official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significance and welfare areas that should be reviewed in the future 3rd welfare basic pla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basic direction for the 3rd Korea Coast Guard Health, Safety and Welfare Promotion Basic Plan (2024-2028), alternatives for establishing an actionable basic pla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 교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AHP 분석과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박희균,엄유진,이강훈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3

        이 연구는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교정업무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증가하는 교정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광 받고 있는 스마트 교정 개념에 대해 정의 하고, 과학기술전문가와 현직 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AHP 분석・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 교정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정업무 분야와 개발이 필요한 과학기술의 우선순 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정업무 패러다임인 스마트 교정이 교정업무에 적용되기 위해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스마트 교정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현황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교정현실에 맞는 스마트 교정의 적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교정분야별 R&D 연구에 대한 중장기 계획 수립・기반조 성 방안・법률안 개정 방안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정책적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applying a new corrections paradigm, smart corrections, to proofreading wor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o this study defines the definition of smart corrections, which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 way to secure the efficiency of correctional work and meet the increasing correctional demand due to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lso AHP analysis and self-reported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areas of correctional work that are necessary for smart corrections and the prior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require correctional work develop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domestic and abroad literature researches on smart corrections were conducted and the status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checked. I n addition, based on t he A H P analysis a nd s elf-reported surve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smart corrections suited to the domestic correctional work reality: Mid- to long-term planning for R&D research in each correctional field,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and amendment of legislation presented as a way.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 특수건강진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희균,정재훈 한국해양경찰학회 2023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이 본연의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 고 면밀한 건강 보호 및 유지를 위해 해양경찰 특수건강진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해양경찰의 특수건강진단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유관 기관의 특수건강진단 운영 사례 검토를 통해 검진 항목의 보완 및 제도적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특수건강진단 항목과 관련하여 근무지별 유해인자의 명확한 분석과 그 로 인한 적합한 측정항목을 보완하기 위해 근무환경 건강영향평가가 필요한 점을 확 인하였고, 야간작업 유해인자와 관련하여 수면장애, 위장관계, 내분비계 관련 검사항 목의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특수건강진단을 최근 1년 이내 현업직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순환보직을 고려하여 전체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특수건강진단을 해야 하는 점과 유관기관처럼 특수건강진단의 항목, 방법, 주기 등을 훈령이나 규정 에 구체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점 역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for systematic and meticulous health protection and maintenance so that they can perform their duties smoothly.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operation of Korea Coast Guard was analyzed, and through the review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 operation cases of domestic related organizations, supplementation of examination item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health impact of the work environment in order to supplement a clear analysis of harmful factors by workplace in relation to special health examination items and appropriate measurement items, and supplementary points for the endocrine system-related test items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all Korea Coast Guard Officers in consideration of rotational positions, rather than limiting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to working positions within the last year, and the items, methods, and cycles of special health examinations like related organizations.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se should be reflected in directives and regulations in detail.

      • KCI등재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타당성 연구

        박희균,정재훈 한국경찰학회 2023 한국경찰학회보 Vol.25 No.6

        With the abolition of the auxiliary police system in 2023, riot police squads composed of police officers will replace them and professionally manage tasks such as rallies and demonstrations. However, the ratio of riot police officers replacing auxiliary police officers is only about 30%, and there is no supple- mentation plan for this in the 2024 National Police Agency budget. In addition, the number of rallies and demonstrations in which police forces have been mobilized has been approximately 10,000 each year over the past 10 years,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approximately 100 police officers are injured at the scene every year. This work environment will be a factor causing job stress for riot police officers. Job stress is kn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job stress managemen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riot police officers who need qualitative prepara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empirically verified whether the job str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domestically is effective for riot police offic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aka KOSS)', a tool for measuring general job stress factors of office workers, is a tool that can efficiently measure the job stress of riot police officers. The purpose is to study the validity of the scale. For this purpose, we used secondary data from a survey of riot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 Mobile Police Headquarters as of June 2021,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scal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job stress scale of riot police officers was divided into six factors, and a modified job stress scale consisting of 24 questions was derived, excluding 19 out of 43 questions in the original scal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the need for measurement of job stress among riot police officers.

      • KCI등재

        도시재생과 사회 통합: 캐나다 토론토의 Don Mount Court 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박희균,라광현 한국셉테드학회 2019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0 No.2

        최근 들어 소득계층혼합, 사회계층혼합 및 용도복합 방식을 활용하여 사회통합을 증진시키려는 소셜믹스 형태의 도시개발 사업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다만, 이러한 사업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사회통합 및 지역사회 자생력 강화에대한 실제 효과는 일관적이지 않으며, 일부에서는 도시재생을 도심 지역의 재건축 혹은 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상쇄하는 새로운 마케팅 기법 정도로 평가절하하기도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에 대한 비판을 극복하고 도시재생 사업의사회통합에 대한 실효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소셜믹스ㆍ도시재생 사업의 역사와 사례, 문제점을 검토하였으며, 여타 도시재생 사업들과비교하여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한 캐나다 Don Mount Court 사례를 검토하였다. Don Mount Court 재개발 사업은 기존 지역을 2단계에 걸쳐 개발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던 지역사회를 보존하였으며, 물리적 개발 단계 이후에도 개발지역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활동가를 고용하고, 지역사회 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등 사회통합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검토한내용을 바탕으로 소셜믹스를 지향하는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척도 타당성 연구

        박희균 ( Park Hee Kyun ),정재훈 ( Jung Jae Hoon ) 한국경찰학회 2023 한국경찰학회보 Vol.25 No.6

        2023년 의무경찰제도 폐지로 직업 경찰관이 이들을 대체하여 집회·시위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하지만 의무경찰을 대체하는 직업 경찰관의 비율이 30% 수준에 불과한데다 2024년도 경찰청 예산안에는 이에 대한 충원 계획이 전무하다. 게다가 경찰력이 동원된 집회·시위 건수는 최근 10년간 매년 1만여 건 발생하고, 이 가운데 매년 약 100명의 경찰관이 현장에서 부상당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직무환경은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것이다. 직무스트레스는 소진, 이직의도, 조직몰입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질적 대비가 필요한 경찰관기동대원에게 직무스트레스 관리는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 개발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가 경찰관기동대원에게 유효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이 연구는 직장인의 일반적 직무스트레스 요인 측정 도구인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가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 척도의 타당성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21년 6월 기준 서울경찰청 기동본부 소속 기동경찰관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통해 해당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6가지 요인으로 구분되는 사실을 밝혀냈고, 선언 척도의 문항 43개 중 19개를 제외한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수정된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경찰관기동대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측정의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abolition of the auxiliary police system in 2023, riot police squads composed of police officers will replace them and professionally manage tasks such as rallies and demonstrations. However, the ratio of riot police officers replacing auxiliary police officers is only about 30%, and there is no supplementation plan for this in the 2024 National Police Agency budget. In addition, the number of rallies and demonstrations in which police forces have been mobilized has been approximately 10,000 each year over the past 10 years,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approximately 100 police officers are injured at the scene every year. This work environment will be a factor causing job stress for riot police officers. Job stress is kn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burnou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job stress managemen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riot police officers who need qualitative prepara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empirically verified whether the job str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domestically is effective for riot police offic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aka KOSS)', a tool for measuring general job stress factors of office workers, is a tool that can efficiently measure the job stress of riot police officers. The purpose is to study the validity of the scale. For this purpose, we used secondary data from a survey of riot police officers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 Mobile Police Headquarters as of June 2021,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scal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job stress scale of riot police officers was divided into six factors, and a modified job stress scale consisting of 24 questions was derived, excluding 19 out of 43 questions in the original scal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the need for measurement of job stress among riot police offi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