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참여예술교육의 개념과 의의

        박호상(Hosang Park),김면(Myoun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고의 목적은 현대 문화예술교육에서 등장하는 참여라는 개념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이 참여의 개념을 사회문제해결의 측면에서 연관지어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의의를 검토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예술교육에서 중요한 예술적 요소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교차교육학적 관점에서 요셉보이스(Joseph Beuys)의 예술관과 사회참여미술(engaged art)의 성격들을 살펴보면서 이 같은현대예술의 일련의 과정들이 결국 타인을 인정하는 대화적이며 교육적 수행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향후 문제해결의 측면에서 이런 창조적 활동들의 유연한 확장과 예술의 교차교육학적 이해가 참여예술교육이 갖는 의의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participation that appears in modern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significance of arts education by relating this concept to solving social problems.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what artistic elements are important in participatory art education. Looking at Joseph Beuys's view of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ly engaged art from a cross-pedagogical perspective, it was emphasized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in modern art is ultimately a dialogic and educational performance that recognizes others. It is predicted that the flexible expansion of these creative activities and trans-pedagogical understanding of the arts will be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tory arts education in terms of problem solving in the future.

      • KCI등재

        단기간의 체중감량에 따른 고교 유도선수의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화

        대한 ( Daehan Park ),손준호 ( Joonho Shon ),호상 ( Hosang Y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단기간의 체중감량에 따른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24명의 남자 유도선수들은 실험집단(12명) 또는 통제집단(12명)에 무선으로 배정되었다. 두 집단은 주 7회로 정해진 운동프로그램에 따라 하루 총 4회의 운동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은 운동과 함께 식이조절을 통하여 체중감량을 실시하였다. SPSS Ver 22.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처리는 두 집단을 대상으로 체중감량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각각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인들을 측정하여 각 항목의 사전검사 값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분석 전에 회귀동등성(homogeneity of regression) 검증을 통해서 위배되는 경우에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무드상태에서 실험집단의 긴장, 우울, 피로, 혼란, 총정서장애는 통제집단보다 높았고, 활력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평균을 나타냈다. 생리적 변인들 중 혈당과 제지방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균을 보여주었다. 결론: 단기간의 체중감량은 고등학교 유도선수의 무드상태와 생리적 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f mood states (tension, depression, anger, vigor, fatigue, confusion) and physiological states (blood pressure, heart rate, blood glucose, body fat, lean body mass) change after seven-day weight reduction. Method: A total of twenty four male judo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The data obtained from each measure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respectively. In case of violation through regression equality test before analysis,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Results: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pre-test score as covariate showed that the tension, the depression, the fatigue, the confusion, and the total mood disturbance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eight reduction while the vigor, the lean body mass, and glucose level decreased. No change was found in the blood pressure, the heart rate, and the percent body fat.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short-term rapid weight reduction has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es in high school Judo athletes.

      • KCI등재

        국내 주택시장 참여자의 거래의사 결정과정 및 시장 파급효과의 동태적 분석 - 금융위기 이후의 주택시장 침체원인 및 주택정책을 중심으로 -

        호상,이현수,문서,황성주,Hyun, Hosang,Lee, Hyun-Soo,Park, Moonseo,Hwang, Sungj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5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의 주택시장은 침체기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가격의 하락, 임대주택가격의 상승등과 같은 주택시장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주택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주택정책을 발표하였으나 주택시장은 아직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시장의 침체 원인 분석하기 위해 주택 시장의 주요 참여자인 주택공급자와 주택 수요자를 기존의 수요 공급 원리에 의해서 분석하며 이들의 거래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행동경제학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다이내믹스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사용하여 발표된 정책의 실효성을 검증한 결과 정책의 입안 기간에 따라 주택 거래량과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Korean housing market has experienced stagnation. So it caused housing market problems like housing price reduction, rising rent cost and so on. For housing market normalization government announced policies but Korean housing market didn't recover from stagnation. So, to understand why Korean housing market couldn't overcome the recession and why the policies didn't be effective, this research analyzed housing market participants (home owner, housing demand) based on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and the psychological effect on their transaction intention based on behavioral economics(behavioral finance).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nnounced policies using System Dynam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mount of transaction and mortgage loan was influenced by the length of time to draft policies.

      • KCI등재

        모듈러 건축의 타워크레인 배치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최적화 모델 개발

        윤성부,문서,정민혁,호상,안수호,Yoon, Sungboo,Park, Moonseo,Jung, Minhyuk,Hyun, Hosang,Ahn, Su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1

        최근 모듈러 건축의 고층화와 함께 현장에서의 T/C 사용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T/C의 대수, 제원 및 위치를 결정하는 TCLP는 프로젝트의 공사비용, 공사기간, 안전,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에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TCLP는 추가 장비 투입, 재설계 등의 작업으로 이어져 공사기간과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관리자는 현장조건, 양중대상, T/C 제원 등 수많은 제약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에 적합한 TCLP를 수립해야 한다. 하지만 다중 T/C를 사용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추가적인 고려사항과 변수들로 인해 경험과 직관을 통해 TCLP를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용과 간섭면적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다중 최적화(multi-objective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T/C 대수, 제원 및 위치를 선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 최적화 방식과 달리 다중 최적화를 통한 TCLP 수립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비용과 간섭면적의 trade-off를 고려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With an increasing trend toward high-rise modular construction, the simultaneous use of tower cranes at a modular construction site has recently been observed. Tower crane layout planning (TCL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st, duration, safety and productivity of a project. In a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particularly, poor decision about the layout of tower cranes i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like additional employment of cranes and redesign, which will lead to additional costs and possible delays. It is, therefore, crucial to conduct thorough inspection of field conditions, lifting materials, tower crane capacity to make decisions on the layout of tower cranes. However, several challenges exist in planning for a multi-crane construction site in terms of safety and collaboration, which makes planning with experience and intuition complicated. This paper suggest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for selection of the number of tower cranes, their models and locations, which minimizes cost and conflict. The proposed model contributes to the body of knowledge by showing the feasibility of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TCLP decision-making process with consideration of trade-offs between cost and conflict.

      • KCI등재

        모듈러 건축 타워크레인 운용 계획의 대안 평가 모델 -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중심으로 -

        김주호,문서,이현수,호상,Kim, Joo Ho,Park, Moonseo,Lee, Hyun-Soo,Hyun, Ho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9 No.2

        최근 인력자원 투입량 감소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공법은 반복 공정이 많은 기숙사, 주거시설, 호텔 공사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공법은 유닛 설치비용을 제외한 현장 공사비에서 외장 마감공사 비용의 비중은 약 40%를 차지하며, 마감공사는 목표공기와 비용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모듈러 현장에서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 수행을 위해 한정된 장비가 후속 액티비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유되어야 하며 현장 마감 비중이 커지는 모듈러 프로젝트일수록 공정관리에서 양중 계획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T/C 운용 계획은 단일 사이클 또는 다중 사이클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사이클 주기 조율은 장비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지원하기 위한 T/C 운용 계획의 대안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 현장에서 T/C 운용의 사이클 주기 설정에 따른 운용방식의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 유닛 양중 시간 및 주기, 외장재 양중 시간, 마감 작업 소요시간을 변수화하여 T/C 가동시간과 공정에 주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프로세스 분석을 바탕으로 작업 속도를 조절하여 T/C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양중 사이클 개념을 적용한 자원 평준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현장관리자에게 장비 계획의 대안 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modular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widely applied to projects with repetitive processes including dormitory, the residential facility, and the hotel construction due to reduced labor input and shortened construction schedule. Generally, about 40% of total on-site construction cost excluding unit installation cost, is put on exterior finishing work, and thus management of finishing work is deemed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targeted schedule and cost. Since limited equipment is shared so that subsequent activities are not affected while carrying out on-site installation and finishing work, lifting plan becomes more important for modular projects with greater portion of finishing work load. In this regard, tower crane operation plan may take the form of a single cycle or multiple cycles in which equipment efficiency can be affected. However, difficulties exist in evaluating alternatives to tower crane operation plans supporting unit installation and finishing wor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lternative of tower cran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yclic period setting in modular building site to determine the effect on T/C uptime and process by parameterizing lifting time for unit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 lift cycle for unit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 and time required for finishing work.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s a simulation model that can increase the tower crane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work speed. An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esource leveling method applying the concept of lifting cycle, and further is expected to be managerially used as a basis for an alternative evaluation of equipment plan.

      • KCI등재

        활동기준원가계산법(Actvitiy-Based Costing)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 공장제작단계 간접비 산정 방안

        이정훈,문서,이현수,이광표,호상,Lee, JeongHoon,Park, Moonseo,Lee, Hyun-Soo,Lee, Kwang-Pyo,Hyun, Ho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4

        최근 건설 기업들은 노동력 부족, 원자재값 상승, 건설경기 위축 등으로 인해 새로운 건설시장 개척 및 자동화 기술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제조업의 생산프로세스와 건설생산프로세스가 결합된 모듈러 건축공법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프로세스에서 공장제작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기존 건축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던 제조업의 생산설비시스템을 활용한 생산원가(공사원감)절감이 가능하다는 것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대다수의 건축공종이 집중되어있는 공장제작단계에서의 원가산정이 정확해야 하며 특히 직접적인 계산이 어려운 간접비에 대한 구체적인 산정방인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 모듈러 건축산업이 시장도입단계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모듈러 건축물의 원가왜곡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물의 공장제작단계에서 국내계약법상에서 명시된 제조업과 건설업에서의 간접비 정의를 고찰하고 활동기준원가계산법을 통해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듈러 유닛별 간접비 산정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장제작단계에서의 전 과정 뿐만 아니라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제작, 운송, 시공의 간접비 배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모듈러 건축물의 공장제작단계에서의 원가산정 정확도 향상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 따른 원가산정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odular construction is combined with manufacturing production process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industry technique.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modular construction production process, manufacturing facilities require indirect costs for utilities, equipment, and overall maintenance, which can affect modular units pricing. However, current modular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is inadvertent to reflect the manufacturing overhead costs, because it is generally added as a percentage to sum of labor, material and equipment as it called in single cost pool used. This process is easy to estimate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t the project starting points, but it brings on misunderstanding of project profit estimations by "cross subsidization phenomenon". To prevent this situation, in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modular construction overhead cost handling process at the detailed indirect cost calculation for manufacturing stage using Activity-Based Costing as one of the powerful method for overhead costs estimation and allocation. Using this research results, modular construction cost estimators have more detailed cost information of modular units and prevent to misallocate indirect costs. Also, it can be utiliz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any's profit structure.

      • KCI등재

        탄소가 코팅된 일산화규소(SiO) 음극에서 전해질 첨가제로서 Lithium Bis(oxalato)borate의 영향

        김건우,이재길,박호상,김종정,류지헌,김영욱,오승모,Kim, Kun Woo,Lee, Jae Gil,Park, Hosang,Kim, Jongjung,Ryu, Ji Heon,Kim, Young-Ugk,Oh, Seung M. 한국전기화학회 2014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7 No.1

        탄소가 코팅된 일산화규소(C-coated SiO) 전극에서 전해질 첨가제로서 lithium bis(oxalato)borate(LiBOB)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해질 조성은 1.3M $LiPF_6$/ethylene carbonate (EC),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diethyl carbonate (DEC) (5:25:70 v/v/v)이며, 여기에 LiBOB을 0.5 wt.%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2가지 전해질을 사용하였다. LiBOB을 첨가하지 않은 전해질에서 C-coated SiO 전극은 초기에 저항이 작은 피막이 형성되어 결정질의 $Li_{15}Si_4$를 형성할 때까지 합금화가 진행되며 동시에 큰 부피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입자의 균열이 발생하고, 전극의 저항이 증가하여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용량이 빠르게 감소하였다. 반면에 LiBOB이 첨가된 전해질에서는 초기에 LiBOB의 환원분해에 의해 저항이 큰 피막이 형성되어, 합금화 반응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정질 $Li_{15}Si_4$도 생성되지 못하였고, 결과적으로 부피변화도 적게 발생하므로 입자의 균열과 전극 저항의 증가도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로 싸이클 후반부에서 용량감소가 적었고, 싸이클 성능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반면 피막 저항에 의한 영향이 줄어드는 $45^{\circ}C$ 에서는 LiBOB 첨가에 관계없이 합금화 반응이 유사하게 진행되며 비슷한 싸이클 성능을 나타내었다. As an electrolyte additive, the effects of lithium bis(oxalate)borate (LiBOB)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 carbon-coated silicon monoxide (C-coated SiO) negative electrode are investigated. The used electrolyte is 1.3M $LiPF_6$ that is dissolved in ethylene carbonate (EC),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and diethyl carbonate (DEC) (5:25:70 v/v/v) with or without 0.5 wt. % LiBOB. In the LiBOB-free electrolyte, the film resistance is not so high in the initial period of cycling that lithiation is facilitated to generate the crystalline $Li_{15}Si_4$ phase. Due to repeated volume change that is caused by such a deep charge/discharge, cracks form in the active material to cause a resistance increase, which eventually leads to capacity fading. When LiBOB is added into the electrolyte, however, more resistive surface film is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LiBOB in the initial period. The crystalline $Li_{15}Si_4$ phase does not form, such that the volume change and crack formation are greatly mitigated. Consequently, the C-coated SiO electrode exhibits a better cycle performance in the later cycles. At an elevated temperature ($45^{\circ}C$), wherein the effect of film resistance is less critical, the alloy ($Li_{15}Si_4$ phase) formation is comparable for the LiBOB-free and added cell to give a similar cycle performance.

      • KCI등재

        cdma2000 1xEV - DO를 위한 모바일 브로드캐스트 /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의 능동적인 에러 교정 방법에 관한 연구

        강경태(Kyungtae Kang),박호상(Hosang Park),조용우(Yongwoo Cho),신현식(Heonshik Shin)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3 No.1

        데이타 브로드캐스트 방식은 향후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타 전송 방식이다. 이러한 데이타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있어, 그 전송 에러의 정정은 전방향에러교정기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BCMCS: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환경에서 에러교정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에러제어블록 (ECB: Error Control Block)의 가변성을 살펴보았으며, 통신 구조상 MAC계층에 위치하고 있는 Reed-Solomon 정정 방식에 있어, 무선채널의 수신 상태가 그 복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에러제어블록의 크기 변화와 그에 따른 에러복구 성능 및 서비스 지연시간 사이의 상호 연관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응용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면서도 서비스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러복구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에러복구기법은 모바일 사용자의 무선 수신 상태를 고려하여, 에러제어블럭의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서비스 지연시간을 단축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다양한 채널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MAC-layer Reed-Solomon error recovery in the cdma2000 1xEV-DO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BCMCSs) environment,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ECB (Error Control Block) and the air-channel condition, and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ECB size, error recovery capacity and service latency. From this we propose an adaptive error recovery scheme which adjusts the size of the ECB to reflect the environment of the mobile nodes so as to meet the required service quality (target bit error-rate), while reducing the latency of real-time applications. Extensiv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compared to the current static scheme. Proposed adaptive schemes achieves near optimal solution with respect to service latency while satisfying the required service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