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예술경험과 의사소통기술과의 관련성 연구 - 만 2세용 제3차 표준보육과정을 중심으로 -

        박현정,정선영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예술경험 활동과 의사소통활동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영아를 위한 보육활동 프로그램에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 어린이집 51곳의 만 2세 영아반에 재원 중인 604명이며, 관찰자는 담당 보육교사 10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예술경험영역 평가도구(박현정, 정현숙, 정선영, 2014)와 의사소통 척도(신근영, 정선영, 2014)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경로 분석하였으며 AMOS 20.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형 및 통합모형에서 변인 간의 인과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한 주요 결론으로는 표준보육과정의 예술탐색, 예술표현, 예술감상이 영아의 의사소통능력(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통합모형에서 예술표현이 이해언어와 표현언어에 이르는 표준경로 계수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나머지 모든 경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의 예술체험과 의사소통기술의 유의한 관계와 영아의 의사소통기술 발달을 위한 다양한 예술체험의 중요함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affecting infants' artistic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skills. 604 infants attending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10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infants observing the infants. Artistic experience evaluation tool (Park, Jeong, Joung, 2014) and communication scale (Shin, Joung, 2014) were employed. A model was made based on theories undergo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n the basis of observation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to find the effects among variables by using AMOS 20.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analyz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effects were as follows. Artistic exploration, artistic expression, and artistic appreciation in standard nurture al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infants’ communicative competence(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In addition, in the integrated model, standard path coeffici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other paths have significant effects. This study verifi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rtistic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nd drew a conclusion that various artistic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infants’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보조금 지원약정 해지와 집행정지의 효력

        박현정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6 동북아법연구 Vol.9 No.3

        집행정지제도는 행정처분의 집행 또는 효력을 일시적으로 정지함으로써 항고소송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그런데 집행정지 결정 이후 원고가 본안소송에서 패소하게 되는 경우 집행정지결정이 소급하여 소멸하는 것인지, 아니면 집행정지 결정 자체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인지가 문제된다. 일정한 기간 동안 매달 보조금을 교부하기로 하는 보조금 지원약정이 지원 대상자의 이후의 귀책사유를 이유로 해지되면 보조금법상의 보조금 교부결정도 철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철회에 대하여 효력정지 내지 집행정지 결정이 있으면 처분의 상대방은 그 정지기간 동안 계속하여 보조금을 교부받을 수 있으므로, 위 문제는 본안소송에서 원고 패소가 확정되었을 때 정지결정에 따라 지급받은 보조금을 반환하여야 하는지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안 패소판결이 집행정지 또는 효력정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판례와 이론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집행정지의 ‘집행’ 개념을 행정청, 관계 행정청 또는 제3자가 행하는 일체의 조치”로 보는 대법원의 입장에 따라 집행정지와 효력정지를 구별하고, 각 견해에 따라 본안 패소판결이 집행정지와 효력정지에 따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보조금 교부 결정이 철회되는 경우에는 효력정지가 아니라 집행정지만으로도 정지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원고 패소판결이 확정되면 집행정지기간 중에 지급된 보조금을 반환받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집행정지결정이 있더라도 철회 효력은 유지되지만 그 집행행위로서의 보조금 교부를 중단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처분상대방은 그 반사적 효과로 집행정지기간 동안 보조금을 계속하여 교부받을 수 있지만 보조금의 종국적인 귀속관계는 본안소송의 결과에 따라 유동적인 것이 된다. 본안에서 원고 패소판결이 확정되면 보조금 교부 결정 철회는 철회시점부터 완전히 유효하게 되므로, 행정청은 집행정지 기간 동안의 집행을 재개함으로써 위 기간 동안 지급된 보조금을 반환받을 수 있다. Temporary order of suspension, as prescribed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of Korea, is an important measure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judicial review of administrative decisions; it stops the administrative decision from either taking effect or being executed. The order of suspension is, by its very nature, temporary, but the meaning of this temporality needs further examination. When a government contract enabling a person to receive monthly subsidies for a certain period is revoked, this revocation is understood as an administrative decision and thus the subject of judicial review. When the revocation in question is effective only for the future, the order of suspension enables the plaintiff to keep receiving the subsidy. If the court on the merits rules that the revocation is legal and thus fully valid, does it make the plaintiff return the amount already provided during the suspension? To seek an answer to the question, I examined the existing theories and case law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uling on the merits and the effect of the suspension order. Then I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suspension of validity and suspension of execution and their respective outcome when the court on the merits rules against the plaintiff. This lead me to a following conclusion. Suspension of validity suspends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ve decision whereas suspension of execution only stops its execution. The ruling on the merits does not change the effect of either suspension. As discontinuing the payment of subsidy can also be regarded as a form of execution, the court does not need to suspend the effect of the revocation; it has only to suspend its execution, which will bring the same results as suspension of validity. The difference lies in the effect the court’s decision of dismissal has on the subsidy paid during the suspension; as suspension of execution has no impact on the validity of the revocation in the first place, the execution of the revocation can be resum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uspension; as a result, the amount already provided to the plaintiff must be returned to the administration.

      • KCI등재

        프랑스의 조정제도와 시사점- 민간형 조정제도를 중심으로 -

        박현정 대한변호사협회 202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

        Unlike Korea, where judicial and administrative mediations are the main stream, France has private mediation already been in place since the 1980s. France’s mediation system is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especially as the European Union directives in 2008 and 2013 to promote mediation in civil and commercial sectors and in consumer disputes are transposed into national law. In France, conciliation and mediation differ in three ways. Conciliation is made by a judge or a court-appointed judicial conciliator, whereas mediation is presided over by a mediator, a private person or body appointed by the parties in dispute. Conciliators can propose a solution to the party, whereas mediators are not supposed to do so. Mediators can receive remuneration the parties have agreed upon; remuneration is expressly prohibited to the conciliators. It is a mission of judges to conciliate but this mission can be delegated to judicial conciliators. The parties can also commission a judicial conciliator by mutual agreement without any court intervention, in which case the boundary between conciliation and mediation becomes unclear. Mediation usually begins when the parties to the dispute agree to settle their disagreements by mediation and choose a particular mediator or mediators. Judicial mediation also can be possible when judges request a mediator or mediators for mediation, but this requires the consent of the parties. In the process of transposing the 2008 directive into domestic law, France decided not to introduce a government controlled certification system.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of mediators are left to self-regulation of the mediators. This was possible in France because private mediation had already emerged since the 1980s and many organizations of mediators were in active operation. There are still some people who argue for the need to certify the qualifications of mediators, but no significant change has been made in the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e article 109 of the Korean Attorney-at-law Act, which bans anyone not qualified as a lawyer to give legal counsel for a charge, has been a stumbling block to the vitalization of private mediation, as the mediator’s activities are understood in Korea as a kind of legal counsel. France also has a similar prohibition, but mediation is not, in itself, considered a legal counsel. Mediators are advised not to give a legal advice to a party. They do not draw up agreements themselves and they do not sign in the agreement.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lay a legal basis for private mediation. New provisions defining private mediation and missions of the mediators in the Judicial Mediation Act or a separate act for ADR including private mediation may be an idea. Basic framework for training mediators also needs to be set by statute, which does not necessarily mean a government controlled certification. 프랑스는 사법형 및 행정형 조정이 주가 되는 우리나라와 달리 이미 80년대부터 민간조정이 이루어져 왔으며, 다수의 자연인과 법인이 민간조정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이 2008년 및 2013년 민사 및 상사 분야, 그리고 소비자분쟁 분야에서의 조정활성화를 위해 지침을 제정함에 따라 프랑스의 조정제도도 상당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 글에서는 프랑스의 조정제도를 민간형 조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 조정제도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프랑스에서 사법조정(la conciliation)은 법원 또는 법원이 임명한 사법조정인(le conciliateur de justice)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조정을 말하며, 민간조정(la médiation)은 민간조정인(le médiateur)이 주재하는 조정을 말한다. 사법조정의 경우 민간조정과 달리 사법조정인이 당사자로부터 보수를 지급받을 수 없는 대신 분쟁 해결책을 당사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는 차이가 있다. 사법조정은 법원이 직접 진행하는 조정과, 법원이 사법조정인에게 위임하여 진행하는 조정, 그리고 당사자가 법원의 개입 없이 상호간의 합의로 사법조정인을 선택하여 조정을 요청하는 조정이 있다. 민간조정은 당사자의 합의에 따라 조정인의 선정 및 절차 진행이 결정되는 조정과 법원이 소송사건이나 조정신청 사건에서 당사자의 동의를 얻어 정한 민간조정인에게 의뢰하여 진행되는 조정이 있다. 프랑스는 2008년 유럽연합 지침을 국내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정인 인증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조정인 양성과 감독을 조정인단체들의 자율에 맡겨두고 있다. 이것은 프랑스에서 이미 수십 년 전부터 민간조정이 자생적으로 나타났고 다수의 개인 및 법인이 민간조정인으로 활동하고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다만, 현재도 조정인 자격 인증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국가 차원에서 제도 변화의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에서 민간조정인이 조정에서 합의가 이루어지더라도 합의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 당사자게 법률자문을 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조정인의 활동을 당사자에 대한 일종의 법률자문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변호사법 제109조가 민간조정의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민사조정법에 민간조정에 관한 규정을 두거나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민간조정의 개념과 조정인의 권한이나 업무범위 등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조정인의 양성에 관한 기본 틀도 법령으로 정할 필요가 있으나, 국가차원의 인증 방식을 취할 것인지는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핵시대의 글쓰기 -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의 초·중기시와 에세이를 중심으로

        박현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3 독일언어문학 Vol.- No.99

        Hans Magnus Enzensberger setzt sich seit den frühen 60er Jahren mit der brennenden Thematik der Atombombe auseinander. In seinen Gedichten isotop (1960), an alle fernsprechteilnehmer (1960), das ende der eulen (1960), botschaft des tauchers (1960) und doomsday (1964) warnt eine anklagende Stimmung vor der radioaktiven Bedrohung. Dabei spielt das dialektische Schema von Natur und Gesellschaft ebenso eine große Rolle wie das Freund-Feind-Schema als lyrische Strategie. Der zornige Protest orientiert sich nicht nur in der Kritik an der menschlichen Zivilisation sondern auch am moralischen Umgang mit der Natur. Im Gegensatz dazu wird das Thema Atomrüstung bzw. Atomtest im Gedicht Die Frösche von Bikini (1980) in kühlem und realem Ton vorgetragen. Die atomare Gefahr steht bei diesem Langgedicht in engem Bezug zur Waffenindustrie während des Kalten Krieges. Es hat die seit 1946 von den USA auf dem Bikini-Atoll durchgeführten Atomwaffen-Tests zum historisch - faktischen Hintergrund. Dreißig Jahre nach dieser atomaren Explosion imaginiert das lyrische Ich den Atom-Tod der Frösche. Das evolutionäre Argument des Fortschritts der Menschheit wird dabei zur Rechtfertigung des Aussterbens anderer Tier- und Pflanzenarten der Erde herangezogen, wo “Nichts bleibt, wie es ist”. Der Schriftsteller als erste Generation des Kaltenkrieges thematisiert besonders die menschliche Geschichte von Gewalt und Tod in seinem lyrischen und essayistischen Werk. 작가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1929-2022)*는 냉전 초 방사능 오염과 핵무기개발에 대한 비판을 담은 작품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초기시집 방언(1960), 점자책(1964), 중기시집 소멸의 푸리아(1980)에 수록된 시 가운데 핵 문제를 형상화한 시들은 동·서독 분단, 이데올로기의 대립구도, 국제정치의 이해관계 등의 시대적배경에서 탄생하였다. 특히 미국과 소련의 군비확장으로 인한 경쟁적 핵무기 개발과 핵실험, 방사능 오염 문제를 주제로 한 일련의 반핵시는 기술과 과학의 성장으로 인한 자연파괴와 인류의 생존위협의 가능성을 심각하게 경고하고 있다. 그의 초기작품이 주로자연과 문명, 자연과 인간(사회)의 대립구도를 통해 잃어버린 낙원에 대한 낭만적 비가형식을 실험했다면, 중기작품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보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즉 미국과 소련의 핵실험으로 인한 섬의 황무지화와 개구리 멸종이라는 주제는단순히 인간과 자연, 지배와 피지배, 착취와 억압, 폭력과 희생양의 대립관계를 넘어서서, 과학과 산업, 정치와의 유착으로 인한 기술 관료주의와 패권주의 등 사회구조의 저변에 얽혀있는 복합적 생태문제를 보여준다. 이처럼 냉전의 첫 세대로서 엔첸스베르거는 핵 문제와 함께 정치, 기술, 자본, 무기, 전쟁, 폭력, 죽음으로 이어지는 역사의 필연적 과정을 시와 에세이를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주제화한다. 또한 핵 문제가 현생 인류가 직면한 제반 문제 가운데에서도 인류의 존속을 결정하는 가장 위협적인 문제라는점을 고려한다면, 오늘날 핵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의 문학은 여전히 유효한 경고와 성찰의 메시지를 던진다.1

      • KCI등재
      • KCI등재

        '낯설게하기' 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박현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관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즉 ‘낯설게’ 제시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능동적인 글쓰기 태도를 기르게 하고 교사에게는 창의적으로 수업 방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이 때 교사는 기존에 제시된 수업 방법을 뒤집어 보고 바꾸어 보는 활동을 통해 역동적으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은 기존과는 다른 낯선 것이며, 기존의 방법에 익숙해져 있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적극적으로 쓰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 때 실제 교실 수업이 교사용 지도서와 교과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교사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과서를 분석하고 이의 변형·적용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을 이끌어오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이렇게 관습화된 쓰기를 극복하기 위한 글쓰기 방법을 ‘낯설게하기’로 통칭하며 ‘쓰기 활동’을 ‘낯설게’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방식과 틀에 박힌 사고를 뒤집어 생각하는 ‘역발상’을 활용하였다. 이는 쓰기 수업 활동 과정, 교수 방법으로서의 과제 제시 방법, 그리고 학습 방법으로서의 장르별 쓰기에 대한 역발상적 전환을 포괄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낯설게하기’란 일상성을 탈피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ethod that allows learners to nurture the more positively writing attitude and teachers to be able to reconstitute a teaching method themselves, with a different method from the existing, namely, by putting forward ‘strangely’, in terms of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is customarily being attained this way. At this time, a teacher oneself will be capable of devising a newly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the activity that tries to think reversely an existing teaching method, which was presented. A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was presented this way, is what is strange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and allows children who get accustomed to the existing method, to renew the recognition of the writing education, thus it will allow them to be capable of doing the writing activity positively. This study commonly calls a writing method aiming to overcome the customary writing, as ‘defamiliarization’, and allows it to be utilized ‘reverse idea’ that inversely thinks an existing concept, with a method of ‘defamiliarization’, in terms of ‘the writing activity’. This includes the reverse-idea conversion as to the teaching process in writing, the reverse-idea conversion as to presenting a subject as a teaching method, and the reverse-idea conversion as to writing by genre as a learning method. Accordingly, as, in this study, ‘what defamiliarization means’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writing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new approach freeing from the usualness, it is attained on the basis of ‘principle of mutual identity’, ‘principle of de-construction’, ‘principle of tolerance’, and ‘principle of interest’. And, considering that it is different in roles that a learner and a teacher play, it presented by differentiating as the model in ‘teaching design-reverse idea’ and in ‘learner-reverse id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