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공학을 이용한 ECU의 Hardware-In-the-Loop Simulation

        박지명,함원경,고민석,상철,Park, Ji-Myoung,Ham, Won-Kyung,Ko, Min-Suk,Park, Sang-Chul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6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5 No.1

        자동차 산업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불량 검출과 평가를 위한 시험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하드웨어 인 더 루프 시뮬레이션은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 및 시험을 위해서 사용되는 시험 방법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인 ECU의 하드웨어 인더 루프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서 정의한다. 이 방법은 실제 차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ECU에게 가상차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시험 모델을 작성할 수 있다. 시험 모델은 시험기로부터 ECU에게 센서 신호와 CAN 메시지를 모사할 수 있는 참조 정보를 가진다. 본 연구의 하드웨어 인 더 루프 시뮬레이션은 목표한 ECU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an embedded system in automotive industry, test methods for evaluation and fault detection of the embedded system have been researched. HILS is a test method that is used in the development and test of complex real-time embedded systems.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HILS method of the ECU, one of the embedded systems used in automobiles. Our method is to create a test model that can provide a virtual vehicle environment to the ECU on the basis of the actual vehicle data. The test model has reference information that can transmit the sensor signal and CAN Message into the ECU from HILS tester. In this study, the HILS can detect faults of the target ECU.

      • KCI등재

        기능 중심의 신뢰성 예측 모델링 방법론

        정용호,박지명,장중순,상철,Chung, Yong-ho,Park, Ji-Myoung,Jang, Joong-Soon,Park, Sang-Chul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6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5 No.4

        본 논문은 시스템에 대한 기능 중심의 신뢰도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한다. 신뢰도 예측에 대한 다양한 기존 연구들이 있지만, 이 연구들의 공통점은 하드웨어 중심으로 신뢰도 예측을 수행하였다는 점이다. 신뢰성이 제품이 주어진 사용 조건 아래서 의도하는 기간 동안 정해진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능력이라고 정의되는 점에서 보았을 때, 하드웨어 중심의 신뢰도는 논리적 모순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 중심의 신뢰도 예측을 위해 4-단계 모델링 절차(four-phase modeling procedure)를 제안하였다. 제안되는 모델링 방법론은 네 개의 모델로 구성된다; 1) 구조적 블록 모델(structure block model), 2) 기능 블록 모델 (function block model), 3) 장치 모델 (device model), 그리고 4) 신뢰성 예측 모델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모델링 방법론을 이용하여 전자식 안정기에 대한 기능 중심의 신뢰도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하드웨어의 신뢰도를 결정하기 위해 신뢰도 예측 규격 중 하나인 MIL-HDBK-217F를 이용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creating a function based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Although, there are various works for reliability prediction, one of the features of their research is that the research is based on hardware-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Reliability is often defined as the probability that a device will perform its intended function, under operating condition,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found irony about reliability prediction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d four-phase modeling procedure for function-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ing procedure consists of four models; 1) structure block model, 2) function block model, 3) device model, and 4) reliability prediction model. We performed function-centered reliability prediction for electronic ballast using the proposed modeling procedure and MIL-HDBK-217F which is the military handbook for reliability prediction of electronic equipment.

      • 제Ⅶ응고인자 다형성과 뇌경색

        지명,양혜경,김종성,찬정,지현숙 대한임상병리학회 2001 대한임상병리학회지 Vol.21 No.4

        배경: 응고인자 VI I 은 허혈성 심질환의 새로운 위험인자로 언급되면서 혈전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역할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응고인자 VI I 은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혈중 농도가 결정되는데 최근에는 응고인자 VI I 과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허혈성 심질환과 많은 위험인자를 공유하는 뇌혈관 질환에서는 응고인자 VI I 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것이 거의 없다. 본 저자들은 연령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50세 미만의 뇌경색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응고인자 VI I 과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를 조사하고 뇌경색 발생과의 관련성도 알아 보고자 하였다.<br> 방법: 1999년 3월부터 12월까지 본원 신경과로 내원한 78명의 뇌경색 환자와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7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고혈압과 흡연력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환자군은 혈관조영술상 혈전의 유무와 재원기간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이들에서 EDTA와 sodium citrate 혈액을 채취한 후 EDTA 혈장은 중성지방의 농도 측에, sodium citrate 혈장은 응고인자 VI I 의 농도 측정에 이용하였다. 혈구세포는 페놀-클로로폼을 이용한 추출법으로 DNA를 얻은 후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제한효소 Msp I 처리과정을 통해 R353Q 다형성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hypervariable region 4 (HVR4) 다형성의 유전자형 빈도를 조사하였다.<br> 결과: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응고인자 VI I 과 중성지방의 농도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혈전의 유무나 재원기간에 따른 응고인자 VII의 농도 차이도 없었다. R353Q 다형성 유전자형 및 HVR4 다형성 유전자형의 빈도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유전자 다형성은 유전자형에 따라 의미있는 응고인자 VI I 의 농도 차이를 나타내어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M1M1이나 H6 H6 유전자형을 가진 경우 응고인자 VI I 의 농도가 높았다. 또한 응고인자 VI I 의 농도는 중성지방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특히 M1M1 유전자형을 가진 여성에서 상관성이 보다 강했다.<br> 결론: 응고인자 VI I 의 농도는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조절되며 특히 M1M1 유전자형을 가지는 여성에서 중성지방과 강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응고인자 VII 농도나 유전자 다형성이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뇌혈관 질환의 발생 및 예후와는 연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응고인자 VII 농도나 유전자 다형성이 뇌혈관 질환의 발생에 관여하는 위험인자인가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Factor VII:C(FVII:C) has been shown to be a risk factor of ischemic heart disease (IHD) and plasma levels are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polymorphisms of the FVII gene. Cerebrovascular disease (DVD) shares many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IHD but few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VII and CVD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VII gene polymorphisms and cerebral infarct in the population below 50 years old.<br> Methods: The subjects were 78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 who had been admitted between March and December 1999 and 70 controls, matched with age and sex. FVII R353Q and hypervariable region 4 (HVR4) polymorphisms were analyzed with allele specific PCR and restriction enzyme treatment. FVII:C assay was performed on the STAGO Compact analyz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were also measured.<b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VII: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The distribution of the FVII R353Q genotype and the HVR4 genotype also showed no differences in patients, compared to controls. But both polymorphis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VII:C levels in the patients and controls.<br> Conclusion: The level of FVII:C was related to FVII gene polymorphism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VII gene polymorphisms in the cerebral infarct population, compared to controls. Our study supports that neither FVII:C levels nor FVII genotypes are independently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cerebral infarct. In conclusion, the FVII genotype is a major predictor of plasma FVII:C levels but may no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erebral infarct.

      • KCI등재

        Duty, Task, Step 분석울 통한 전기·컴퓨터 분야의 DACUM Chart 활용 방안

        성종,지명,류지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6 No.2

        Recently the DACUM methodology is widely used in vocational education fields because Curricula in vocational education, especially in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do not adequately mirror the needs of the work fields. DACUM Chart which contains a graphic portrayal of the duties and tasks identified, plus the descriptive lists of general knowledge and skills, future trends and concerns, worker behaviors, tools, equipments, supplies and materials is also useful. Certainly the DACUM methodology is effective, quick and low cost, but do not reflect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internal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ify DACUM Chart for various work based learning strategies aimed at providing hands-on experience for students and consequently apply to curricula development. We performed the duty, task and step analyses through the verifications by expert workers, technicians and engineers of the workplace on the electricity and computer fields. Through this study, the practical tasks which must be instructed on th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are suggested and modules are developed through the step analyses. So, we can reflect both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e internally and workplace effectively. And also we can manage curricula emphasizing the smooth transition of students from school to work to accept the needs of strategies for work bas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