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지식창출 협력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박주형(Joohyoung Park),이희상(Heesang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지식창출 협력유형을 개방성과 다양성 측면으로 분류하고 출연(연)별 지식창출 협력 경향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방성은 외부의존성과 협력주도성을, 다양성은 협력다양성, 협력집중성 지표를 정량화하여 기관 및 국가 레벨로 하는 4가지 분류모형을 제시하였다. 데이터는 26개 과학기술계 출연(연)의 연구자가 포함된 SCOUPS DB의 39,507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성 측면의 기관 레벨에서는 출연(연)이 연구를 주도하기 보다 연구에 참여하는 형태로 다수의 외부기관과 협력하는 “다자간협력참여형” 유형으로, 국가 레벨에서는 다수의 기관이 “국외다수기관협력형” 으로 분류되었다. 다양성 측면의 기관 레벨에서는 소수 혹은 특정기관에 집중되는 “편식협력형” 혹은 “단식협력형” 유형으로, 국가 레벨에서는 다수의 출연(연)이 “다수국가참여 특정국가집중형” 혹은 “소수국가참여 특정국가집중형” 유형에 집중되었다. 출연(연)이 경쟁력을 갖춘 지식을 창출하는 기관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외부조직과 협력을 하되, 연구를 주도하는 전략 혹은 연구생산성을 확보한 독자적 연구기관으로 전환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We classified collaboration types of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GRIs) in Korea to make a creation knowledge with the openness and the diversity. The openness is described to collaboration dependence and leading intensity, and the diversity is expressed to collaboration diversity and collaboration concentration. We suggest four taxonomy models explained in terms of the openness and the diversity with country level and institute level. This study uses 39,507 papers in SCOUPS DB that include author(s) affiliated to 26 GRIs. It concludes that many GRIs is classified to the type of multilateral collaboration follower in institute level and to the type of global network player in country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openness. In the aspect of diversity, many GRIs is concentrated to the collaboration type of picky eater or monophagous in institute level and to the multinatioal asymmetry type or non-multinational asymmetry type in country level. It is necessary for GRIs to lead collaboration and to transfer inhouse R&D institutes with high performance to be competitive institutes which make high quality knowledge.

      • KCI등재

        출연(연) 우수연구팀 측정 모형 개발과 사례 연구

        박주형(Joohyoung Park),오승훈(Seunghoon Oh),김희태(Heetae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4

        본 논문에서는 출연(연) 우수연구팀 발굴을 위한 측정 모형을 개발하고 A연구기관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학술·연구리더십, 기술수월성, 협력네트워크 영역으로 구분하고 10개의 세부지표를 제시하였다. A연구기관 37개 연구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데이터는 분석연도 직전 5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3년간(2017~2019년) 모형을 적용하여 매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우수연구팀 3개에서 2019년에는 5개로 확대되었으며, 모형을 적용한 37개 연구팀의 평균은 2017년 34.8에서 2019년에는 43.5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학술·연구리더십, 기술수월성 영역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의 특성에 따라 학술·연구리더십 영역의 성장 혹은 기술수월성 영역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우수연구팀 모형과 사례는 출연(연)별 연구 특성을 반영한 우수연구팀 측정 모형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uggests the model for discovering excellent research team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and we apply this model to A research institute’s case study. This model is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leadership, technology excellence and cooperative network areas. It is composed of ten detailed indicators. The case study of A research institute has 37 research teams and to use data for five years respectively. This model applied to them from 2017 to 2019. The results are the number of excellent research teams increase from three teams in 2017 to five teams in 2019, and the average of 37 research teams applying this model increases from 34.8 in 2017 to 43.5 in 2019. The research teams of A research institute have been developing to make a strength academy and research leadership or technology excellence.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of A research institute will help to make models for discovering excellence teams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출연연 우수연구팀 측정 모형 개발과 사례 연구

        박주형(Joohyoung Park),김희태(Heetae Kim),오승훈(Seonghoon Oh)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1

        본 논문에서는 출연(연) 우수연구팀 발굴을 위한 측정 모형을 개발하고 A연구기관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학술‧연구리더십, 기술수월성, 협력네트워크 영역으로 구분하고 10개의 세부지표를 제시하였다. A연구기관 37개 연구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데이터는 분석년도 직전 5년간의 자료를 활용하여 3년간(2017~2019년) 모형을 적용·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우수연구팀 3개에서 2019년에는 5개로 확대되었으며, 모형을 적용한 37개 연구팀의 평균은 2017년 34.8에서 2019년에는 43.5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학술·연구리더십, 기술수월성 영역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연구팀의 특성에 따라 학술·연구리더십을 강화하거나, 기술수월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우수연구팀 모형과 사례는 출연(연) 기관별 특성을 반영한 우수연구팀 측정 모형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uggests the model for discovering excellent research team in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 and we apply this model to A research institute’s case study. This model is divided into academic and research leadership, technology excellence and cooperative network areas. It is composed of 10 detailed indicators. The case study of A research institute has 37 research teams and to use data for 5years respectively. This model applied to them from 2017 to 2019. The results are the number of excellent research teams increase from three teams in 2017 to five teams in 2019, and the average of 37 research teams applying this model increases from 34.8 in 2017 to 43.5 in 2019. The research teams of A research institute have been developing to make a strength academy and research leadership or technology excellence.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of A research institute will help to make models for discovering excellece teams in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KCI등재

        일반기계산업의 대일 의존 유발요인 분석에 관한 실증 연구

        박주형(Joohyoung Park),이희상(Heesang Lee),박상진(S.-j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3

        기계산업은 제조산업의 인프라를 제공하며,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산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계산업은 제조업의 성장에 따라 첨단장비와 부품을 일본에 의존하는 수입유발형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 대응 방안이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기계산업의 가치사슬을 4단계로 나누고, ‘기술개발 역량’, ‘생산 역량’, ‘마케팅 역량’, ‘판매 후 관리 역량’과 대일 의존도 인식 수준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연매출 100억원 이상의 국내 207개 일반기계 산업체의 설문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기계산업의 기술개발 역량, 마케팅 역량, 판매 후 관리역량의 부족은 대일 의존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생산 역량 부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절변수로 고려한 업체 규모(중소기업, 대기업)와 업체의 생산제품 종류(산업용기계부품, 자동차부품), 업체의 생산제품 기술수준(고위기술제품, 중위기술제품, 저위기술제품)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업체 성격(부품전문생산업체, 부품조립생산업체)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차원에서 일반기계 대일의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역량, 마케팅 역량, 판매 후 관리 역량을 육성하되, 업체 성격을 고려한 산업육성 정책이 보다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The machinery industry provides infrastructure to many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it has strong influences on performance and quality of products. However, Korean economic growth has been constantly causing the korean general machinery industry to significantly depend on Japan. To solve this problem, many industrial policies have been tried. In this paper, we divide the value chain of general machinery industry into four steps; technology development step, manufacturing step, marketing step, and after-sales management step. We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se steps and the awareness of dependency on Japan. For empirical analysis we surveyed 207 domestic companies in general machinery industry. The findings are that the three factors, technology development competency, marketing competency and after-sales management competenc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ependence on Japan. Manufacturing competency is not a significant factor. As control variables, the type of manufacturers has effect on dependency on Japan. The company size, the kinds of products and technology levels of products don"t ha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teps of the value chain and dependency on Japan. To overcome the trade imbalance with Japan in the general machinery industry, we recommend to develop technology development competency, marketing competency, and after-sale management competency. Also we need to adopt industry supporting policies, not depending on all three control variables of company sizes, the kinds of products and the technology levels of products, but depending on the type of manufacturers.

      • 호흡도 기법을 통한 폐수내 COD 분율 예측

        신응배,김철,김연권,박주형,김미경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2001 環境科學論文集 Vol.22 No.-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공정에서의 폐수내 유기성 화합물은 미생물의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입수내 유기물은 매우 다양하며 각 유기물 특성에 따라 미생물에 의한 분해율이 다르기 때문에, 최적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공정내 적정 유기물 부하 유지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유입수내 유기물의 특성과 분율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각 유기물에 대한 미생물 분해율을 토대로 해당공정 전반에 걸친 폐수처리효율을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최종적으로 공정 효율 증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회분식 실험을 통해, 호기 조건에서 종속영양미생물에 의한 COD 소모에 따라 발생하는 산소섭취율(OUR)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활성도 파악과 함께 모델에 적용하였다. 모델 적용으로 구하여진 COD 분율과 인위적으로 조성된 혼합폐수의 분율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폐수내 COD 분율 예측에 있어 호흡도 기법의 적용이 매우 신뢰성 있는 측정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astewater characteristics, especially organic carbon source, was a very important parameter. But the biodegradation pattern for each organic is diverse, since wastewater contains a wide variety of different organics. So, the proper estimation of each organic fraction in wastewaters can enable estimation of the process efficiency easier. In this study, the COD fraction was determined by respirometric analysis. In order to estimate the activity of heterotrophs, readily biodegradable COD and slowly biodegradable COD were mixed in a synthetic wastewater, and microorganisms was measured by a simple batch test. The result showed that COD fractions calculated by models were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synthetic wastewater. This implied the applicability of the respirometric method to the estimation of COD fractions in various wastewa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