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수의 죄 용서 선언에 드러난 자기이해

        박윤만(Park, Yoon-Man) 한국신약학회 2014 신약논단 Vol.21 No.2

        가버나움 집에서 예수는 자신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근거로 중풍 병자의 죄가 용서받았다고 선언하였다. 예수의 이런 행동은 주위에 있던 서기관들의 분노를 쌓았고 신성모독을 한다는 비난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비난은 죄 용서 선언이 이루어지기 위해 충족돼야 하는 것으로 믿어진 조건인 성전 제의라는 법적 절차를 거치지 않은 사람에게 예수가 죄 용서에 관한 하나님의 판단을 임의적으로 내려 하나님의 사죄 권한을 침범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나온 것이다. 예수의 죄 용서 선언 이면에는 자신이 하나님의 판단을 스스로 내릴 수 있는 전권을 가진 이라는 자기이해가 있었다. 이런 자기이해는 죄 용서를 선언 할 수 있는 자신의 권위를 증명하고자 인자의 권위에 호소하려는 예수의 시도를 통해 분명해진다. 예수가 인용한 인자는 다니엘의 인물로서 하나님으로부터 전권을 받은 이였기에, 인자로서 자신은 하나님의 권위를 가지고 한 사람이 죄를 용서받을 수 있을지 어쩔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성전 바깥에서 성전 안에서 이뤄져야 하는 죄 용서를 선언한 예수는 자신이 성전의 권위 하에 있는 인물이 아니라 성전을 세우신 하나님의 권위에 준하는, 그러므로 성전을 능가하는 권위를 가진 인물로 이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응집성과 문단: 틀 의미론(frame semantics)에 기초한 마가복음 1:16-20 연구

        박윤만 ( Yoon Man Par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8 No.-

        본 논문은 구술-청각 서사로 알려진 마가복음이 어떻게 응집력/결속성 있는 이야기로 의사소통되었는지를 인지언어학의 틀의미론의 관점에서 연구한 글이다. 구술-청각 의사소통 문화에서 응집력 있는 텍스트 정보 처리 능력은 청자와 화자의 의사소통의 승패를 가름하는 결정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1세기 사회에서 마가복음의 원 의미가 어떻게 전달되고 이해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술-청각 서사 담화로서 마가복음 담화의 응집력을 결정하는 요소에 대한 지식을 가지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인지언어학의 틀 의미론을 사용하여 마가복음 1:16-20의 문단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문단은 구술-청각 서사 담화의 의사소통의 기본단위 일뿐만 아니라 서사 담화를 응집력 있는 덩어리로 기억하고 이해하고자 의존하는 담화 단위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결론은 화자와 청자 사이에 공유된 제자부름 틀은 한편으로는 마가복음 1:16-20에 나오는 두 사건을 하나의 주제적 단위로 처리하도록 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발화된 텍스트(언어적 문법적) 정보를 응집력 있는 하나의 덩어리로 처리토록 이끄는 인지모형(cognitive model)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증명하고자 첫째로 본 논문은 해변 틀과 형제, 어부 그리고 제자 틀이 각각 어떻게 문단의 장소정보와 인물 정보를 응집력 있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지를 보여준다. 둘째로 사건 틀로서 제자부름 틀이 그것의 전형적으로 인과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사건(선생의 관찰-선생의 부름-제자의 따름)을 제공함으로 어떻게 두 이야기가 각각 구별되고 응집력 있는 문단 정보로 처리되는지를 보여준다. 셋째로 우리의 관심은 한 문단에 나오는 다양한 문법적 요소(헬라어 정관사와 연어 그리고 접속사)의 사용과 용법은 적절한 틀을 환기할 때만 바르게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본고는 틀이 담화이해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다만 텍스트에 대한 바른 이해는 텍스트에만 의존해서 이뤄지기 보다 텍스트 이해를 위해 화자와 청자가 공유했던 틀지식에 의해 보조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삶의 규범을 하나님의 계시로서 성서의 원래의 가르침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 이들은 원 화자와 청자가 텍스트를 통한 의사소통을 할 때 공유했던 틀을 찾는 작업을 그들의 성서 읽기의 필수과제로 삼아야 한다. The present study is to demonstrate in the light of frame seman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how as an oral-aural narrative the Gospel of Mark may be communicated in a cohesive way between speakers and audience In particular, the study is focused on Mk 1:16-20 which consists of two ``calling stories.`` the reason I choose the paragraph for the present study is because of the belief that Mark`s oral-aural narrative is intended to be communicated basically on the basis of paragraph or episode, a discourse unit. It has been known that the cohesion of a paragraph is made by narrative information(e. g. place, event and characters[that is, paragraph boundary markers]), by lexical information(collocation) and by grammatical items (conjunction, article, and pronoun and so on). Making use of frame semantics of cognitive linguistics, however, I will show that the cohesion of the paragraph is made possible by frame-based story processing; and information such as narrative elements, lexical items and grammatical indicators plays an role of evoking frame so that the episode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in cohesive way. It is, of course, not easy to choose an appropriate method which may lead u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such an ancient text as the Gospel of Mark. Nonetheless, since cognitive linguistics have shown the importance of human cognitive processing in understanding the coherence of information within episode or paragraph, the present study hopes to demonstrate that frame semantics is a linguistic theory to show how the original meaning of Mark`s Gospel may be communicated and understood in terms of paragraphs.

      • KCI등재

        예수의 구약 해석

        박윤만(Yoon Man Par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5 신약연구 Vol.14 No.1

        Jesus incorporates and makes use of Scripture mainly by use of three characteristics which are authoritative, embodied, and subversive.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tative reading is demonstrated in the Sabbath controversy. Jesus makes direct references to the story of David(I Samuel 21:1-6) in order to justify the actions of his disciples. And through the use of this reference, which consists of David authority, which was bestowed upon him via being anointed, being used to protect and shield his companies illegal actions, Jesus argues that his disciples actions can thus be justified because they were with him and their deeds were made for the benefit of Jesus. In addition, Jesus argues that the disciples' deeds which may seem heretical on the day of Sabbath can be justified based on God s original intentions for the Sabbath day which emphasize that the Sabbath is for the benefit of human beings. Jesus identifies himself with the Son of Man , and pronounces that he is able to interpret the true meaning of Sabbath by the authority of the Son of Man. The embodied way of reading the Old Testament is made clear in the conversation with the rich man(10:17-31). Jesus suggests keeping the Ten Commandments to the man who raises the question of what he should do to inherit the eternal life. But after hearing that he had kept them the commandments from his childhood, Jesus calls him to follow him after selling and giving all that he had. The soteriological implication beyond ethics is made clear in Jesus suggestion. This is because keeping of the commandments was understood as a way of securing eternal life and wealth was considered to be a sign of the blessing of God which would be given to the well-keeper of the Torah. Instead, Jesus proposes that the way to eternal life is to be a follower of his own, forsaking an attempt to keep the soteriological sense of security in terms of obtaining the wealth. It is clear that the belief that he is the eschatological revealer of God who does not only know Gods will perfectly but also acts according to it must be behind his proposition that following him is a way of obtaining eternal life. The subversive way of reading of Scripture is demonstrated in the parables of the seed growing by itself (4:26-29) and the mustard seed (4:30-32), each of which refer to texts respectively from Joel (3:12-13) and Daniel (4:11-12). The parable of the seed growing by itself is focused on the sovereignty of God and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is mainly concerned about demonstrating the power of the kingdom of God which grows beyond human expectations. Such an emphasis on God s sovereignty is highlighted by incorporating into Jesus own discourse texts from the Old testament which are at the end of each parable. In the parable of the seed growing by itself, Jesus changes the metaphor of harvest from God s judgment of nations (Joel 3:12-13) to that of harvest for God s grace. The big tree with shelter for many birds and animals (Daniel 4:11-12), of which Jesus uses in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originally refers to king Nebuchadnezzar who brought the Israelites into Babylon as captives. But Jesus makes use of the parable to refer to the kingdom of God which he proclaims and under which many nations find shelter. In such a subversive reading Jesus shows that the kingdom of God progresses towards its fulfillment by itself and beyond human expectations. Finally, the present study makes an attempt to show that the source of Jesus distinctiv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is his self-understanding as an eschatological revealer of God s will.

      • KCI등재

        고난 받는 인자에 대한 “기록” : 막 9:12와 4:21에 드러난 예수의 구약 사용 연구

        박윤만(Yoon Man Par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0 신약연구 Vol.19 No.1

        본 논문은 9:12와 14:21에서 예수님이 인자의 고난이 “기록”되었다고 하셨을 때 구약성경 중 어떤 구절을 염두에 두셨는지를 연구한다. 다수의 학자들이 인정하는 것처럼 예수님의 인자 사용은 다니엘 7장을 그 배경으로 한다는 해석이 가장 설득력 있다. 하지만 다니엘의 “인자 같은 이”(13절)는 고난 받는 존재가 아니다. 논자는 9:12의 “인자에 대하여 기록하기를”과 14:21의 “인자는 기록된 대로 가거니와”를 예수께서 말씀하셨을 때 다니엘 7장의 “인자 같은 이”와 함께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에 관한 구절을 심중에 두셨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논자는 근접, 원접 본문의 고난 받는 인자 어록의 도움을 받아 9:12와 14:21을 주해하면서 다니엘 7장과 이사야 53장의 언어와 주제가 해당 본문의 인자 어록에 어떻게 반향 되고 있는지를 논증할 것이다. 그런 후 제 2 성전 시기유대 문헌에서도 예수님처럼 다니엘의 인자의 사역과 역할을 이사야에 등장하는 여호와의 종의 사역과 역할에 비추어 이해하는 해석적 전통이 1 Enoch 36-71(『에녹의 비유』)에 역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런 논증을 기반으로 논자는 9:12와 14:21의 ‘고난 받는 인자’와 관련한 예수님의 구약 사용은 “인자 같은 이”가 등장하는 다니엘 7장과 고난 받는 종이 언급된 이사야 53장을 융합하는 방식이었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The phrase ‘Son of Man’ recurs fourteen times in the Gospel of Mark, in which the suffering of the Son of Man is the most prominent theme. As a result, it is that the suffering Son of Man is characteristic of the Son of Man in the second Gospel. The Old Testament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the theme because Jesus in 9:12 and 14:21 states that the passion of the Son of Man is “writte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passages in the Old Testament Jesus has in mind when he says that the suffering of the son of man is “written.” As many scholars argue, it seems convinced that Jesus’ use of the Son of Man as a self-designation is in a reference to the figure “like a son of man” in Daniel 7:13-14. But the problem is that “one like a son of man” in Daniel 7:13-14 is not a suffering figure. My argument is that Jesus has in mind that figure, his role in Daniel 7, the Suffering Servant, and his role in Isaiah 52:13-53:12 when he utters “it is written about the Son of Man”(9:12) and “the Son of Man goes as it is written of him”(14:21). In support of this argument the exegesis of 9:12 and 14:21 will be processed particularly by the help of ‘co-texts’ in which the suffering of the Son of Man has been uttered whether it be directly or indirectly. The purpose of the exegesis is to show the words and themes of Daniel 7 and Isaiah 53 echoed and alluded in 9:12 and 14:21. And then 1 Enoch 36-71 (the Similitude) will be studied as an example to show that the fusion of the “one like a son of man” in Daniel 7 and Yahweh’s Servant in Isaiah 40-53, which is similar to 9:12 and 14:21, was already made in order to define the role and function of a messianic figure in the second temple Judaism.

      • KCI등재

        신약성경에 사용된 헬라어 부사적 분사의 화용적 의미 결정에 대하여

        박윤만(PARK YOON MAN)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 필자는 부사적 분사가 주동사와 가지는 다양한 의미(시간, 원인, 양보, 목적, 결과, 수단, 방식, 조건)를 살펴보고자 한다. 헬라어 문법학자들은 주동사와 가지는 분사의 부사적(혹은 화용적) 용법은 어휘, 시상, 통사적 관계, 논리적 관계와 문맥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해 왔다. 논문은 이런 주장의 타당성은 부분적이라는 점을 지적한 후 현대 인지언어학의 연구 결과물 중의 하나인 틀의미론(frame semantics)으로 전통적 문법이 가진 약점을 보완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자들 사이에서 부사적 의미의 결정 요소로 합의된 문맥을 언어적 정보(예. 공동 본문, co-text)와 비언어적 정보(예. frame)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 내린 후 분사의 부사적 쓰임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틀(frame)과 공동 본문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논문의 주된 주장은 두 가지다. 첫째, 분사와 주동사 사이의 화용적 관계는 주동사와 공동 본문에 의해 환기된 틀 안에 있는 사건들의 원형적 관계의 도움을 받아 이뤄진다. 둘째, 틀 안에 있는 사건들의 원형적 관계는 언어 사용자의 머릿속 인지 모형으로 저장된 것이지만 그것의 사용과 의미는 명시적 담화 정보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 따라서 분사와 주동사 사건의 화용적 관계 이해는 담화 정보에 의해 환기된 틀 지식이 공동 본문의 통제를 받아 진행된다. 환언하면, 부사적 분사가 주동사와 맺는 관계의 의미는 언어적, 비언어적 정보에 기반한 추론의 결과이다. 논문의 공헌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담화의 미시구조(낱말, 절, 문장, 문단 등)를 이루는 항목 중의 하나이자, 헬라어 문법 중 가장 많은 의미적 요소를 가진 주동사와 분사로 구성된 문장(a sentence)의 의미 이해를 돕는 언어학적 기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어 문법에는 없는 분사를 번역할 때 원문의 의미에 보다 상응하는 번역어를 취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pragmatic meanings of the adverbial( circumstantial) participle which may imply time, manner, means, cause, purpose, concession, condition, etc in specific circumstances. It has been generally acknowledged by Greek grammarians that the meanings of the adverbial participles in relation to its main verbs depend on lexicons, tense(verbal aspect), syntactical and logical relations to main clauses and context. The article will point out that such an understanding is partly correct, and then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raditional understandings on the basis of frame semantics which is a semantic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study will attempt to define into linguistic features(co-text) and extra-linguistic features( frame) the so-called context which has been believed to play a core role in deciding the pragmatic meanings of the adverbial participle, and then demonstrate how various co-texts and frames evoked by main clauses and immediately preceeding discourses help understand the pragmatic meanings. My argument is threefolded. Firstly, the pragmatic relation between participles and main verbs may be illuminated by the help of prototypical relations of events in frames evoked by their co-texts and the actions of main verbs. Secondly, although the prototypical relations of events in a specific frame are stored as cognitive models in language-users’ mental dictionary, its use and relational meaning may be constrained by explicit information uttered in discourse. Thirdly, the understanding of the pragmatic relation between participles and main verbs may be processed on the basis of the frames opened by main clauses and its preceeding texts and co-texts.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o provide the New Testament grammarians with a linguistic theory of comprehending a sentence which consists not only one or more main verbs and participle, but also one of the micro structures(word, phrase, clause, sentence, pericope and paragraph) of discourse. The other is to supply any future Korean bible translator wit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translation of a Greek participle which has no corresponding grammatical unit in Korean grammar.

      • KCI등재

        추론(Inference)에 기초한 신약성경 본문 읽기

        박윤만 ( Yoon Man Par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6 No.-

        본 논문은 신약성경 언어와 추론의 관계에 대한 탐구이다. 인간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말/언어를 사용한다. 역설적인 사실은 의사소통의 성공이 많은 경우 발화된(즉 표현된 언어) 정보를 통해 발화되지 않은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발화된 정보와 발화되지 않는 정보의 간격을 이어주는 사고과정이 바로 추론(inference)이다. 성경신학은 근본적으로 신약성경 언어의 원의(original meaning)를 찾는 것과 필연적 관계에 있기에 텍스트 정보 처리에 있어서 추론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을 성경신학계에 소개하여 신약 성경의 원의(original meaning)를 찾는 일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텍스트의 원의를 찾는 작업은 무엇보다 텍스트 내에 있는 의미전달 규칙을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텍스트를 통한 의사소통의 제 일 규칙은 물론 본문 정보인 문법과 언어가 작용하는 원리를 적절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발화된 언어가 화자와 청자 사이에 이루어진 소통의 전부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일상 대화에서 ‘당신은 아직 내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는 불평조의 말을 듣는 이유 역시 발화된 언어 그 이면에 있는 의미를 추론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언어와 문법 이해는 의사소통의 종착지가 아니라 시작에 불과하다. 언어와 문법을 통한 의사소통은 언제나 일정량의 추론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본문 주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단어와 문장 혹은 문단 분석과 같은 언어와 문법 연구는 주해의 시작이지 마침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경 본문의 언어·문법적 정보가 주어진 문맥에서 어떤 추론과정을 거치도록 의도되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현대 인지 언어학과 화용론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발전된 추론이론을 신약성경의 다양한 언어·문법적 정보처리 과정에 적용할 것이다. 물론 성경주해에 관심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어진 본문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이미 추론이라는 용어를 빈번히 사용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용어에 대한 이해는 일반적 수준에 그쳤고 또 추론이 어떠한 인지과정을 거치는 것인지에 대한 언어학적 명료화 작업은 이뤄지지 않았다. 본고의 공헌은 성경의 원의(original meaning)를 밝혀내는 일을 주요 과제로 삼아온 성경신학자들의 주석 작업과 성경 번역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추론과정에 대한 언어학적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 될 것이다 Inference is a cognitive processing that enables language users to understand what is not expressed from what is expressed. The New Testament text i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original speaker and the audience, but the text is implicit in that it does not carry all information about situations or things in question to the audience, though necessary for the coherent processing of the text. This is the reason why inference is so essential in constructing a coherent interpretation of a given text. The importance of inferential processing is all the more true of oral-aural narratives such as the Gospels. This is because in the culture of oral-aural communication, written documents served as a memorandum of what one already knew. My concern is to demonstrate various ways in which the listener makes inference to understand information implicit in the New Testament texts. In particular, I am focused on explaining how the listener makes attempts to understand implicit text by making lexical, grammatical, and metaphorical inferences. First, we will demonstrate that common world knowledge, social stereotype and religious knowledge shared between the speaker and audience is often taken for granted and is thus left out. Second, we will show ways in which deixis such as personal pronouns, demonstrative pronouns and the article are in fact information-processing devices based on inference. Third, we will examine how the listener makes inferences in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metaphorical and metonomic expressions

      • KCI등재

        예수, 총체적 종말론적 구원자: 마가복음의 예수의 치유와 축귀 그리고 죽음을 중심으로

        박윤만 ( Yoon Man Par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77 No.-

        예수님을 특징지우는 가장 뚜렷한 일들 중 하나는 그가 ‘놀라운 일’(기적)을 수행했다는 것이다. 그가 행한 ‘놀라운 일’에는 통상 병치유, 축귀, 자연기적등이 포함된다. 특히 마가복음에서 치유는 헬라어 동사 sw,|zw(‘구원하다’)로 여섯 번 언급(3:4; 5:23, 28, 34; 6:56; 10:52)될 정도로 구원과 치유가 밀접하게 연결돼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예수님의 ‘놀라운 일’ 수행과 관련하여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크게 두가지로 나눠 진행되었는데, 한편으로 유대 종말론 전망에서 이뤄졌고, 다른 한편으로 1세기 지중해 세계의 의료 문화적 전망에서 이뤄졌다. 본 연구는 이 두전망을 통합시켜 예수께서 가져오시고자 구원의 총체성을 부각시킬 것이다. 예수께서 가져오신 총체적 구원(holistic salvation)은 죄 용서, 몸 치유, 사회적 관계의 회복, 그리고 모든 고통의 원인인 사탄을 격퇴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오늘 날 그리스도의 몸이라 일컫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구원을 전파할 때 가져야 할 방향을 제공 해줄 것이다. One of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Jesus is that he did ‘wonderous works,’ which include healing, exorcism, natural miracles like calming a stormy sea and walking on water. Above all healing itself is uttered as the verb sw,|zw six times in the Gospel of Mark(3:4; 5:23, 28, 34; 6:56; 10:52). The primary concern of the article is to demonstrate the multiple meanings of healings and exorcisms Jesus perfomed and to comprehend the deeper meaning of his death in terms of salvation(swthri,a).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makes use of two methodologies: One is the medical culture of the first-century Mediterraanean world, and the other is eschatology which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worldview of the Second Temple Judaism and thus of Jesus’ compemporaries. As a result the article has attempted to prove that the salvation Jesus has given in terms of healing and exorcism and his death was characteristic of the holistic dimension. This is because he pronounced the forgiveness of sin, which was sometimes considered as the cause of disease, and then cured physical weakness itself. Finally he made it possible that s/he could play his/her own social responsibility by sending the cured into houses or local communities. This kind of peformance may be called not only the holistic heal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dical culture of the first-ceu tury Mediterranean world, but also the concret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spiritual, physical and social domain of an individual.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Jesus solved the fundamental problem of all kinds of suffering, illness, and distortion by defeating Satan and expelling evil spirits out of humans. These things happened when Jesus defeated the temptation of Satan(1:12-13) and gave himself as a ransom “for many”(10:45). The way of the Christian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is to follow Jesus’ way for the kingdom of God to be established in all domains of human lives.

      • KCI등재

        예수의 두 얼굴 - 마가복음의 고기독론 연구 -

        박윤만(Yoon-Man Park)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7 신약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마가복음의 고기독론(high christology) 연구이다. 사복음서와 관련해서 본다면 고기독론 연구는 대부분 요한복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고 결과적으로 마가복음은 등한시된 것이 사실이다. 마가복음의 예수님의 신적 정체성 연구는 비단 연구 본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만은 아니 다. 고기독론을 후기 교회의 신학적 발전의 결과로 보는 경향이 있어 왔던 신약학계의 현실에서 사복음서 중 가장 일찍 기록된 것으로 믿어지고 있는 마가복음에 나타난 예수님의 신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고기독론이 과연 교회 신학의 발전 때문인지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본문은 마가복음에서 예수님이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 임을 드러내는 본문들과 함께 인자와 하나님의 아들로 칭하며 그를 하나 님과 구분 짓고 있는 본문이 될 것이다. 이런 연구의 결론은 마가복음에서 서술된 예수님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의“영광과 권위를 공유하시지만 위격과 역할(person and roles)에 대해서는 구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 엘의 하나님과 동등한 존재로 여겨졌든 아니면 위격과 역할에 있어서 하나님과 구분된 아들 혹은 인자로 이해되든지 간에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체현(embodiment)으로서 예수님의 존재는 일신론의 입장에 서 있었던 당시 유대 사회에 위기감을 일으켰을 것이라는 추측은 충분한 타당성을 갖는다. 내부인으로 여겨진 제자들로부터 나온“그가 누구이기에 바람과 바다도 순종하는가”(4:41)라는 질문이나, 외부인으로 분류된 대제사장의 “그가 신성모독 하는 말을 한다”(14:64)는 선언은 이런 혼돈과 긴장감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한다. 하지만 마가복음은 예수님의 존재와 사역이 유대 일신론에 혼돈과 극도의 긴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모를 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예수님과 하나님을 구분 짓는 본문이 말해주듯이, 일신론을 포기하지도 않고 또, 양자를 동일시하는 본문이 발설하듯이, 고기독론을 축소하거나 은폐하지도 않는다.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동일시되면서도 그와 구분된 존재라는 그의 동시대 누구도‘자연스럽게’이해하지 못한 또 할 수 도 없었던 예수님의 두 ‘신비’로운 정체성이 마가복음에는 공존하고 있었다는 것은 무엇을 말할 까? 나사렛 예수를 통해 드러나고 또 체현된 하나님을 설명할 수 있는 어떤 정교하게 발전된‘신론’이 유대 일신론이나 헬라 신관 안에 있었고 마가는 그 이론에 따라 예수님을 소개했다는 것보다, 목격자들이 나사렛 예수를 통한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먼저 경험했고 후에 그 목격자적 증언을 복음서에 그대로 기록했다는 것이 1세기 나사렛 예수를 둘러싸고 일어난 현실에 훨씬 더 가깝다. 유대 일신론의 틀에서 예수님의 자리매김을 위한‘신론’정립은 이후 교회의 몫이 되는데, 그 순서는 이론 먼저고 그것에 따라 계시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나사렛 예수를 통한 하나님의 계시와 그 경험이 앞서고 그 계시적 경험을 기초로 후대에 교리가 정립된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n Jesus’ divine identity (or ‘high christology’) as defined in the Gospel of Mark. The research field is (1) the text which states that Jesus is identical to the God of Israel and (2) the text which shows that as the son of man and the son of God he is distinguished from God. This study makes clear of the fact that Jesus as stated in the Gospel of Mark may share the glory and authority of God but is distinguished in terms of ‘person and roles’. Whether Jesus was considered the same being as God of Israel or whether he was understood as the son of God and the son of man differentiated from the person and roles of God, it is evident that the statements claiming that Jesus is the embodiment of the God of Israel must have raised a sense of crisis in Jewish monotheism. What does it mean to state that Jesus’ seemingly conflicting two identities which are identical to God of Israel as well as differentiating from the same God‘ naturally’coexists within the Gospel of Mark? The meaning is as follows: The belief that the eye-witnesses first experienced self-revelation through Jesus and later recorded their experiences in the Gospel is closer to the reality surrounding the 1st century Jesus movement than the theory that Mark introduced Jesus’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deity in Jewish monotheism or pagan society (contra Wre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