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You-Me Park(박유미)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9 초등영어교육 Vol.25 No.1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VL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learner variables, and also sought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of VLS and vocabulary knowledge breadth and dept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of 272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urvey (VLSS), Vocabulary Test: 1,000 Word Level Test B (VT), 500-level Productive Vocabulary Levels Test (500 PVLT), and Word Associates Test (WAT).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variables of vocabulary proficiency, gender and living reg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use of VLS. Regarding the relation of VLS to vocabulary knowledge, th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five subcategories of V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oth dimensions of vocabulary knowledge, the most prominent being the Discovery-Determination (DD) strateg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LS and vocabulary knowledge of the students. Acknowledging that VLS enable L2 learners to broaden and deepen their lexicon, the teachers and researchers are recommended to give more attention to VLS for their pedagogical practic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 축산시설 악취 배출계수의 국가별 산정 및 평가 기준 비교

        박유미 ( You-me Park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국내 1인당 축산물 소비량의 증가로 인하여 축산업의 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따라 축산관련 민원이 2013년 기준 약 19.8%에서 2018년 약 33.3%로 증가하여 지역주민과 농가의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MAFRA, 2020). 이러한 이유로 일부 국가에서는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축산시설의 오염물질 배출계수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제시하는 악취 배출계수 기준이 아직 없으며 각 지자체에서는 환경부의 권고안을 참고하여 이격거리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통일된 기준 없이 지자체 별로 다른값을 제시하는 등 축산악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럽환경청, 네덜란드, 덴마크의 악취 관련 기준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악취 배출계수 프로토콜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국가별 배출계수, 측정방법에 대한 프로토콜, 국가별 규제기준을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배출계수에 따른 악취 확산거리 분석을 위한 모델링결과비교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인자에 대한 국가별 특징을 살펴보면 배출계수의 경우 국내를 제외한 유럽국가에서는 축종별, 일령별, 사육시설 구조 등에 따라 자세히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동물 마리당 악취 배출계수를 산정하여 제시하고 있다.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현장실험의 경우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프로토콜, 나머지 유럽국가는 VERA 프로토콜에 제시된 악취 측정방법, 샘플링 위치 및 횟수, 배출계수 산정방법 등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법적인 효능으로 작용하는 악취 규제기준의 경우 각 국가별 공업지역, 기타지역, 농업지역 등에 따라 분류하여 기준값을 제시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배출계수에 따른 악취 확산거리를 예측하고자 수치모델을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국내의 경우 평지로 이루어진 유럽국가와는 다르게 복잡한 지형 및 산지가 많아 지형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지형 고려 유무에 따른 악취 확산거리를 예측하고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 축산시설 악취 배출계수의 국가별 산정 및 평가 기준 비교

        박유미 ( You-me Park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축산 농장의 악취에 대한 민원은 지난 몇 년 동안 급격히 증가해 왔으며 가축 산업의 확장과 발전에 대한 주요 장벽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계산하고 관리 할 목적으로 축산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계수를 제시하였다. 배출계수는 축산농가로부터 악취 확산거리를 예측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중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정부에서 제시하는 악취 배출계수 기준이 아직 없으며 배출계수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럽환경청, 네덜란드, 덴마크의 악취관련 기준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악취 배출계수 프로토콜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가별 배출계수 분류기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경우, 축종별로 배출계수를 제시하며 유럽환경청, 네덜란드, 덴마크의 경우 축종별, 일령별, 내부시설, 분뇨 처리방법 등에 따라 구분하여 배출계수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후, 배출계수 측정방법 비교를 위하여 네덜란드 프로토콜과 VERA 프로토콜을 분석하였다. 유럽쪽 국가들은 VERA 프로토콜을 참고하고 있지만, 네덜란드의 경우 예외로 악취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프로토콜을 별도로 제시하고 있었다. 악취 규제기준의 분석 결과 유럽환경청에서 따로 제시하는 악취 규제기준은 없으며 국내의 경우 공업지역과 기타지역으로 나누어 배출구와 부지경계선에서의 농도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의 경우 지자체에서 악취 규제기준을 제시하도록 하지만 환경부에서 악취 집중지역과 도심지역, 교외지역 여부에 따라 기준을 권고하고 있다. 덴마크의 경우에는 토지이용목적에 따라 규제기준을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자료 비교를 통해 국내 축산악취 배출계수 및 규제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추후 국내 배출 계수 산정 프로토콜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 오리사 환경 분석 및 바닥재 수분 증발량 평가 산정식 도출

        박유미 ( You-me Park ),이인복 ( In-bok Lee ),여욱현 ( Uk-hyeon Yeo ),이상연 ( Sang-yeon Lee ),정효혁 ( Hyo-hyeog Jeo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생활수준의 향상 및 식도락의 변화에 따라 국내 육류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축산업 총생산액은 2017년 기준 20조원에 육박하고 있으며, 농림업 총생산액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MAFRA,2018). 국내 오리 산업의 역사는 소, 돼지, 닭 등 다른 축종에 비해 짧지만, 사육두수나 사육규모 및 사양관리 등 규모 측면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오리 사육농가 중 약 34.3%가 간이시설 형태를 띠고 있어 사육시설이 매우 열악한 편이다. 플라스틱 온실을 개량한 간이 오리사의 경우 초기 설치비용이 적은 이점이 있으나 태풍 또는 폭설 등의 기상재해에 구조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하절기 폭염과 집중호우 시 시설내부에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하는 것 등 환경관리에도 취약한 형태를 띠고 있다. 오리 사육 시 오리 내부의 열적 환경은 생산성, 에너지 비용과 직결되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더불어 수분관리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오리사 바닥재의 수분관리 실패 시 생산성의 저하, 오리의 면역력이 약화, 질병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수분관리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계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만 있으며 국내외 모두 오리사 내부 수분 환경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험을 통해 오리사 내부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고 랩실험을 통해 오리사 바닥재의 수분 증발량을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오리사 내부 수분 환경이 고려된 에너지 분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시설은 같은 농장에 두가지 형태의 시설이 운영되고 있어 시설에 대한 비교가 용이한 전라남도 영암군에 위치한 강제 환기식 및 자연 환기식 오리사로 선정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오리사 내외부 온습도, 환기량, 일사량 등의 환경을 모니터링하였다.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으로 환경조절과 관련된 현재 오리사의 문제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항온항습조 내에서 챔버실험을 수행하여 바닥재의 함수비, 온도, 습도, 풍속에 따른 바닥재의 수분 증발량을 정략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도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학교의 정서적 환경과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다중요인: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

        최지수 ( Choi Jisu ),박유미 ( Park You-me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학교의 정서적 환경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10차년도(2017) 조사에 참여한 600쌍의 교사와 초등 3학년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와 집행기능 곤란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접효과와 병렬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학업수행능력과 정적 상관을, 집행기능 곤란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학업수행능력은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와 정적 상관이, 집행기능 곤란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교사와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을 각각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또래와의 관계가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교사와의 관계 증진을 돕고, 집행기능 곤란을 완화함으로써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의 향상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개인 내·외 변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and 3rd graders' academic abilities. To this end, the data of 600 pairs of teachers and 3rd grader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n 2017 were investigated. A research model to delineate how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influences academic abilities was formulated, arrang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s mediating variables. Th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and direct effect and parallel multiple mediation were analyzed through Process Macro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academic abilities,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 with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cademic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Second,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had direct effect on academic abilities. Third,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and academic abilities were mediated by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ut not by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 that affective school environments influence the academic abilities by promoting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mitigating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shows how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students' academic abilities by considering both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variables.

      • KCI등재

        기관 내외 교육과 어머니의 영어교육 신념이 유아의 영어 흥미에 미치는 영향: 일반유치원과 영어학원 유치부의 비교

        최나야 ( Naya Choi ),박유미 ( You-me Park ),최지수 ( Jisu Choi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children’s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ffected by educational activities in and out of institutes, and mothers’ perception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We recruited, 253 mothers of 3- to 5-year-old children in either general kindergartens or English immersion institutes. They answered questions on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interest in English by their childre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outside institutes. In addition, 42 English teachers provided information within institutes such as class time per week, teacher-pupil rate, and language use policy during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22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were in distinct learning environment. Second, mothers’ perceptions and outside-institut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the English interests of children at both institutes were influenced by mothers’ worries and at-home English interactions. Fourth, education within institutes did not affect both group’s English interests. Fifth, private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did not affect both group’s English interests. Lastly, only the children’s interests in English immersion institutes were affected by gender and mother’s perceived necessities. Focusing children’s interests, this study helps in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affective aspects regarding learning English.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a guideline for each home and institute to increase children’s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 KCI등재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고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고와 특목고의 비교

        최나야(Choi, Naya),정수지(Jung, Suji),박유미(Park, You-Me),정혜민(Chung, Hye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어문계열 특목고 학생의 영어학습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 유형에 따라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영어학습 동기와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경기, 충청, 경상, 강원지역의 일반고 5곳과 특목고 4곳에서 1, 2학년 학급을 무선 표집하여, 일반고 학생 283명과 특목고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와 특목고 학생의 영어학습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었다. 영어학습 및 영어사교육 시작 시점, 영어권 해외경험, 유형별 영어학습 시간과 같은 영어학습 경험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영어수업 만족도, 통합적 영어학습 동기, 영어학습 행동은 특목고 학생이 일반고 학생보다 높았지만,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은 일반고 집단에서 더 높았다. 둘째, 학교영어수업 만족도, 부모의 학업성과압력, 영어학습 동기가 영어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두 집단 간에 달랐다. 통합적 동기는 일반고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지만, 특목고 모형에서는 학교영어수업 만족도가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effects of school English instruction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behavior between genera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28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235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tudents from five general high schools and four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Gangwon district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high school entrance between genera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econd, the paths that satisfaction with school English instruction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had effects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behavior were different between two types of school. Third, integrativ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English learning behavior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ile integrativ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chool English instruction on English learn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y to guarantee learning rights of students with different needs.

      • 국내 돈사의 공기역학적 문제점에 대한 CFD 분석 결과를 활용한 교육용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개발 및 시스템 고도화

        김준규 ( Jun-gyu Kim ),이인복 ( In-bok Lee ),최영배 ( Young-bae Choi ),박유미 ( You-me Park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최근 우리나라 축산업의 발전에 따라 농업생산액의 43%에 달하며, 이중에서도 양돈의 생산량 및 소비량은 축산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양돈시설의 현대화, 대형화가 이루어지면서, 시설 내부 환경의 균일성 및 안정성 유지에 문제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온도, 가스, 습도, 분진 등의 환경 조절은 내부 환경 요소의 열전달 및 물질전달의 주 메커니즘인 공기 유동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눈에 보이지 않아 예측 및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축산업 종사자들 중 약 75%가 환기, 내부 유동 등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하여 혹서기, 혹한기와 같이 극심한 환경에서 돈사 관리에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수의 양돈 농가에서 내부 환경 조절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보이지 않는 기류에 대한 공기역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여도 이를 실제 농가들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기 유동을 가시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최근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사용자가 다양한 현상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술이 부상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농업 시설, 특히 온실에 적용한 사례는 전무한 현실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CFD를 이용한 양돈 농가에서 발생하는 주요 문제점들을 공기역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통해 내부 공기 유동을 가시화 하여 농민 교육용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시설은 2009년도 대한양돈협회 표준돈사설계도의 이유자돈방으로 선정하였으며, 농민 및 농업 컨설턴트들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제작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실제 국내 돈사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한 현장조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사항의 연산케이스를 선정하여 CFD 모델을 설계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산된 CFD 결과들이 가상현실로 구현될 수 있도록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사용자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상현실 User Interface를 구축하였다. 가상현실 모델을 실제와 같이 설계하기 위하여 돈사와 돼지의 다각도 촬영 자료를 바탕으로 이미지 텍스처를 제작하고, 이용자의 어지러움증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차례 거쳐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통해 CFD 해석 결과를 가시화하여 농민들이 공기역학적인 현상을 체험할 수 있는 양돈농가 교육용 시뮬레이터를 완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