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용 장비 설계를 위한 절단 장애인의 인체치수, 동작범위 및 근력측정 항목 개발

        박영정(Yeongjeong Park),세진(Sejin Park),유소영(Soyoung Yoo),공용구(Young-Ku Kong),류태범(Taebum Ryu),육주혜(Juhye Yook),손병창(Byungchang Son)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는 절단장애인의 신체 특성과 기능을 고려한 농업 장비 설계를 위해 절단장애인의 신체치수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Background: 농촌지역의 고령화 및 공동화 현상으로 인한 농촌지역의 일손 부족은 해결되어야 하는 현안이며, 농촌지역에 남아 농작업을 수행하는 고령자들에 대한 기술적 지원과 미취업 장애인의 일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을 통한 농촌지역으로의 유도가 농촌 지역의 고령화 및 공동화, 일손 부족 현상 등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경우, 농작업용 편이장비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한 노력은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절단장애인을 고려한 농업 장비 설계에 관련된 연구나 사업은 매우 부족하다. Method: 국내의 인체 측정 관련 논문과 보고서를 분석하여 1차 측정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전문가의 검토와 논의를 거쳐 농장비 설계에 필요한 측정 항목을 추가하여 2차로 측정 항목을 도출하였다. Results: 정적 측정 항목 63개, 동적 측정 항목 46개, 그리고 근력 측정 항목 18개 총 127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정적 측정 항목의 경우, 기립 및 앉은 자세 등 측정 자세에 따라서 세분류하였다. 절단장애인의 신체적,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측정 자세와 기준점 등을 새로 개발하였으며, 다리 미는 힘 항목의 경우, 대형 농업 장비의 페달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측정 항목을 개발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절단장애인의 기본적인 인체 측정뿐만 아니라 농작업 장비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세부 인체 측정 항목을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추후 본 연구를 토대로 한 절단 장애인의 인체 측정이 주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이는 곧 농촌지역의 고령화 및 공동화, 일손 부족, 그리고 미취업 장애인 등의 사회적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Application: 본 연구는 절단장애인의 신체적,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농업 장비 개발 및 설계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척수장애인/노인의 특성별 농업 장비 선택을 위한 가이드라인

        세진(SeJin Park),박영정(YeongJeong Park),손병창(Byungchang Son),육주혜(Juhye Yook)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에서는 척수장애인, 노인의 신체 활용 동작 및 신체적 수행 가능 능력을 분석하여 독립적이고 기능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특성에 맞는 농업 장비 선택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농식품부의 중장기인력수급전망에 따르면 2022년 농업 인력은 3만명 가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주요 대상 작목의 유형 중 화훼나 채소는 많은 인력을 요하며, 숙련된 전문적 인력을 구인하고자 해도 과도한 인건비로 특히 일손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농촌지역은 고령자가 많고 이들 다수가 질환 장애를 갖고 있으며 농작업 관련 질환 중 근골격계 질환이 8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인의 신체적 특성에 적합한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질환을 예방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장비 선택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Method: 척수손상을 경수, 흉수, 요수, 천수 손상 4가지로 구분하였고 근골격계 질환은 근막통증증후군, 회전근개파열, 외측/내측상과염, 수근관증후군, 골관절염, 허리디스크(추간판탈출증), 요통, 좌골신경통, 척추관협착증 10가지로 구분하여 질환을 정의하고 증상 및 제한을 분석하였다. 곡류, 과수, 화훼 대상작목에서 농업 장비 사용 시 요하는 동작을 모두 수집하여 수공구, 파종·이식, 수확, 방제, 시비, 포장 유형에서 최적의 농업 장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기준으로 사용한 농작업 장비 분류와 제품 예시는 2020년 농촌진흥청에서 발간한 ‘2020 농작업 편이장비 편람’이다. Results: 최소한의 농장비 사용을 위한 동작으로 집기가 요구되며 척수손상의 경우 하지를 사용한 농기구 사용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길이가 길어 허리를 굽히거나 무리가 가지 않도록 상지를 최대한으로 사용하는 농기구를 제안하였다. 근골격계질환은 특성별로 신체 기능과 제한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신체 동작 시 통증이 야기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며 손목·상지·하지 근력 및 악력, 이동, 쪼그려 앉기가 가능한 동작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최대한의 기능적 활동이 가능하도록 농장비를 제시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대상자를 질환 특성별로 구분하여 사용 가능한 농장비 정보 제시를 통하여 농촌 지역의 고용 및 업무 분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의 농작업 활동이 기술적 개선으로 인한 농업 경쟁력 확보 및 장애인, 노인의 경제적 자립 효과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에는 다양한 유형의 농업 장비를 분석하여 농업인을 위한 농작업 환경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하지마비 장애인의 인체치수, 동작범위 및 근력 측정항목 개발

        홍성태(Seong Tea Hong),손병창(Byung Chang Son),박영정(Yeongjeong Park),육주혜(Juhye Yoo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1

        본 연구는 하지마비 장애인의 소도구 및 편이장비와 같은 보조공학기기의 설계를 위해 하지마비 장애인의 신체와 기능을 고려한 신체 치수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인 인체측정과 장애인 인체측정 자료들을 분석하고 연구진과 자문단의 단계적 절차에 따라 4차에 걸친 협의가 실시되었다. 인체측정에는 총 4개 분류 항목에 78개의 세부 인체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분류별 항목은 기본 측정 항목 14개, 앉은자세 측정 항목 25개, 동작 범위 측정 항목 27개, 근력측정 항목 12개였다. 상지의 보다 세부적 측정을 위해 기본 측정항목 분류에 3항목, 앉은 자세 분류에 3항목, 동작 범위 분류에 7항목, 근력 분류에 12항목으로 총 25항목에 대해 새로운 기준점 및 측정방법, 측정도구와 주의사항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항목 개발은 하지마비 장애인의 신체 수치 및 기능의 규격화된 수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한 하지마비 장애인 맞춤형 소도구 및 편이장비의 개발로 장애인의 고용, 일상생활 개선 및 보조기기 개발 분야에 기초 정보로 활용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items for measuring body dimensions and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persons with paraplegia for design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uch as devices and convenience equipment. To do so, the anthropometric data for Korean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four conferenc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tep-by-step procedure of the researchers and advisors. For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78 detailed human body item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4 categories, and the items for each classification were 14 basic measurement items, 25 sitting posture measurement items, 27 range of motion measurement items, and 12 muscle strength measurement items. For more detailed measurement of the upper limb, new reference points and measurement methods, measurement tools were included for a total of 25 items with 3 items for basic measurement category classification, 3 items for sitting posture classification, 7 items for motion range classification, and 12 items for muscle strength classification. The development of these items can be utilized for standardized values of the physical figures and functions of individuals with paraplegia, and customized props and convenience equipment for them. The measurements would be applied as basic information in the fields of employment, daily life improvement and assistive devic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