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노인의 정신건강과 경(敬)

        박성복(Park Sung-Bok) 한국복지행정학회 2006 복지행정논총 Vol.16 No.1

        이 논문은 노인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성리학의 경사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령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소외감이나 치매 등 특히 노인의 정신건강이 크게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에 신유학인 성리학의 핵심적인 수양방법인 경사상이 많은 도움이 될 것이 보인다. 성리학은 인간본성과 자연법칙에 관한 철학체계이다. 특히 그것은 심성론(心性論)을 통해 인간본성의 원리들을 상세히 고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본 논문은 특히 이황의 경사상에 초점을 둔다. 그에 따르면, 군자는 경(敬)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바르게 하고 의(義)로써 외면의 행실과 생활을 바르게 한다. 이것이 그의 핵심적인 사상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정신건강의 여러 개념들을 검토하고, 정신건강이란 대체적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도덕적 측면의 조화와 질서를 바탕으로, 자기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며 독립적, 건설적, 자주적으로 자기의 생활을 처리해 나가는 능력이라고 개념화 했다. 이 논문의 핵심은 그러한 정신건강이 도덕적인 함양과 마음의 존양을 위한 방법으로 제시된 이황의 경을 통해 보존되고 회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purports to review the concept of Reverence (敬) in the Sung-ri-hak(性理學), Neo-Confucianism in terms of the elderly s mental health. Neo-Confucianism is the philosophy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Particularly, it tries to look into minutely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In the process, I will focus on Lee-Hwang s ideas of Reverence(敬思 想) above all. According to him, the noble man keeps his inner self straight by means of reverence(敬) and keeps his outer life square by means of righteousness. After reviewing various conceptions of mental health, I conceptualize mental health as a person s capacity of meeting his life with the adaptability and flexibility to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to the best of one s potentiality, based o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thical order and harmony. The point of this paper is that mental health conceptualized like this can be kept and recovered by means of reverence that Lee-Hwang proposed as a method of moral culture and cultivation of the mind.

      • KCI우수등재

        대의제 민주주의하에서의 정책형성 연구 : - 정책갈등구조와 정책선호도의 공간적 표시를 위한 수리모형의 개발 -

        박성복 ( Park,Sung - Bok ) 한국행정학회 1994 韓國行政學報 Vol.28 No.2

        본 논문은 공공선택이론 중 특히 신거공간이론의 관점에서, 대의제 민주주의 하에서 국민들의 정책선호가 선거라는 매개체를 통해 국가의 정책형성에 연결되는 논리를 다룬다. 선거가 갖는 여러 측면들 중 특히 정책대결에 촛점이 두어진다. 여기서 기본적인 가정은 선거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정책이슈들로 이루어진 다차원적인 정책공간을 보다 차원의 수가 적은 정책갈등구조의 공간으로 압축시킬 수가 있다는 것인데, 그것의 이론적 배경은 투표자들이 다양한 정책이슈에 대한 후보자들의 정책입장을 추정하는 데 있어 그러한 정책갈등구조를 이루는 배경적 차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먼저 정책갈등구조가 이데올로기적 차원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이데올로기를 정책과 관련하여 명확하게 개념 규정한다. 그리고 투표자들이 다양한 정적 이슈에 대해 후보자들이 갖는 정책입장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이데올로기적 차원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검토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후보자의 정책인장을 추정하는 투표자의 인지모형을 소개한다. 그러한 인지모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정착태도조사를 위해 예시적으로 구성한 적도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서베이 데이터 (혹은 인지 데이타)를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의 기입에 의거 분석함으로써 정책갈등구조의 공간을 복원시키고 그 공간 속에 후보자와 투표자들을 (필요하면 각 종 사회단체들도) 함께 표현할 수 있는 수리모형 및 절차를 정리한다. 이것은 한 사회의 정책갈등을 보다 단순한 형태로 (특히 공간적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 KCI등재후보

        오프라인 모임을 통한 온라인 커뮤니티 애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성복 ( Sung Bok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3

        인터넷을 출발점으로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사람들은 가상공간에서만 상호작용 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가상공간과 물리 공간의 경계가 허물어져 있다. 이런 맥락에서 번개모임에 대한 연구는 가상성과 물리성의 융합의 함의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구성하고 있는 ``가상공간의 장소감과 커뮤니티 의식``의 정도와 오프라인 번개모임에서 나타나는 ``가상장소 애착`` 및 ``온라인 커뮤니티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오프라인 공간과의 융합에 의한 가상공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함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직접 설문과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 번개 모임등과 같은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오프라인 공간에서 함께 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이러한 가상공간과 물리공간의 융합은 가상공간에서의 장소 애착인 가상 장소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상공간에서의 특정 장소로서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애착이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강한 온라인 커뮤니티 애착과 소속감은 오프라인 커뮤니티 연구와 마찬가지로 궁극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전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While numerous studies regarding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the interplay of online life and offline reality in social interaction have recently emerg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currently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role and impact of such interconnectedness within the group dimension. By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people in online communiti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such interconnectedness in improving cyberplace attachment and online community attachment.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780 respondents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bungae was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online community attachment-a sense of emotional bonds and belonging to the online community-that plays a key role in facilitating a sense of togetherness and increasing a sense of place and community in cyberspa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lso shows that attending bungae i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enhancing online community attachment. Consequently,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online life and offline reality may transform unidentifiable online life into the concrete experience of offline rea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ungae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between virtuality and reality and what makes it possible for cyberspace and online community to exist as natural extensions of the physical worl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복지행정의 개념적 특성과 실천적 과제

        박성복(Sung Bok Park) 한국정부학회 2009 한국행정논집 Vol.21 No.1

        이 논문은 우선 기존문헌들에서 볼 수 있는 사회복지행정의 다양한 개념규정들에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적 특성들을 추출해 내어 개념규정의 종합화를 기하였다. 다음으로 확인된 개념적 특성들 중 일반 행정과 비교하여 공통적인 특성들과 함께 구별되는 차별적 특성들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사회복지행정의 차별적 특성들로 인해 사회복지행정에 요구되는 실천적 과제 혹은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도덕적 고민, 소외계층의 옹호, 가치와 목적의 구체화, 다양한 이해관계의 조정, 타 기관과의 협력, 조직성과의 측정치들에 대한 관심, 직원지지 및 역량강화 과정의 개발, 소비자선택에 대한 관심, 프로그램에 대한 민주적 통제 등의 9가지가 실천적 과제들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9가지의 실천적 과제들이 지닌 함축적 의미와 기능적 범위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한편 기존 문헌들을 고찰함에 있어서, 행정학의 발달과정에서 제기되었던 로커스와 포커스의 문제, 일원론과 이원론의 문제, 주체의 문제, 그리고 정책과의 관계 문제 등이 사고의 준거틀로 사용되었다. This paper, in the first, synthesized the definition of concept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by extracting conceptual traits from the various conceptual definitions that can be seen in the literature. Next, I identified both the common and different traits in comparison with public or genera administ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t traits, I abstracted the practical tasks that are required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Here, I condensed the practical tasks into nine items: moral thoughtfulness, support for the alienated social groups, specification of values and goals, coordination of various interests, collaboration with other agencies, paying attention to the measure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development of the process for staff support and supervision, attention to consumer`s choice, democratic control of social service programs. In the review of literature, I utilized such subject usages as locus and forcus, monism and dichotomy, the main body of the function, the relationship with policy.

      • KCI등재

        노인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한 통합적 모형의 구성

        박성복(Park Sung-Bok) 서울행정학회 200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5 No.3

        This study deduces a model by which we can make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quality of old people and discusses in detail the conceptual sub-dimensions that are composed of the model. The conceptual sub-dimensions are social conditions, old people's needs and life-environment, their life-world, objective welfare and subjective welfare, and the integrated welfare or quality of the elderly. The objective welfare is considered as life-capability that is conceptualized by the introduction of Sen's capability, and the subjective welfare is composed of emotional satisfaction and existential satisfaction. I define the quality of the elderly as the elderly's emotional and existential satisfaction based on life-capability. In this process, to clarify my arguments, I formalize mathematically the core concepts of the elderly's welfare such as life-world, functionings and n-tuple functionings, life-capability, objective and subjective welfare, etc.

      •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박성복(Park Sung-Bok),김규희(Kim Kyoo-Hee) 한국복지행정학회 2008 복지행정논총 Vol.18 No.2

        This paper views to empirically analyse the relationship of th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which the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might have on and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I schematized the formulaic model which explains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relevant variables and set up the tree hypotheses for each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the analysis, participation attitude which plays a role of an independent variable is composed of three subvariable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participation positiveness and participation autonomy. Self-exteem is the dependent variable. The parameter or intermediate variable is social support. For the test of hypotheses, I used the statistical methods of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is that all of the six hypotheses on direct and indirect effect were meaningful statistically. That is, the participation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 s volunteer activities not only directly has an effect on their self-esteem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elf-esteem through the parameter of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영향 관계와 간접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결과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직접영향관계와 간접영향관계를 포함하는 하나의 모형을 도식하고, 각 관계와 관련하여 각각 3개의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분석에서 독립변인의 역할을 하는 참여태도에는 참여 만족도, 참여 적극성, 참여자발성의 세 하위변수가 포함되었다. 종속변수는 자아존중감이다. 그리고 간접영향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도입된 매개변수는 사회적 지지이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분산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의 통계적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설정된 직접영향관계의 3개 가설과 간접영향관계의 3개 가설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태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

        박성복(Park, Sung Bok),이상욱(Lee, Sang Wook)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KEPCO의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정노동과 관련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를 독립변수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직무소진을 종속변수로 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성하고 그에 근거하여, 5개의 직접효과 가설들과 2개의 간접효과 가설들로 이루어진 연구가설들을 설정하였다. 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해 KEPCO의 콜센터에 근무하는 상담원 420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15일부터 동년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중 367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직접효과 가설들 중 세개 가설들만 채택되었으며, 간접효과 가설 두개는 모두 채택되었다. 즉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두 독립변수들이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반면, 종속변수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직무소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두 독립변수들은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만을 갖게 됨으로써, 결국 직무스트레스는 이들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structure of the impact of KEPCO Call Center`s counselors` emotional labor and work stress on work burn-out. For this, we established surface action deep acting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ork burn-ou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work stress as the mediating variable. In this supposition, we setup 5 direct-effect research hypotheses and 2 indirect-effect research hypotheses. For the analysis and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we collected data from the 420 counselors working at KEPCO Call Center through the nation from June 15th to June 30th of 2017, and among them all, 36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our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est, 3 direct-effect hypotheses and 2 indirect-effect hypotheses were accepted and 2 direct-effect ones were rejected. This results mean that emotional labors(surface action and deep acting) have the only indirect effect on work burn-out through the mediation of work stress, and work stress has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is structural model. Finally, on this empirical analysis, we provided some implications on the use of emotional labor and work stress for the decrease in work burn-out.

      • KCI등재

        민간의료보험의 가입 결정요인 및 민간의료보험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성복 ( Sung Bok Park ),정기호 ( Ki Ho Jeong ) 한국보험학회 2011 保險學會誌 Vol.88 No.-

        본 연구는 2008년 상반기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의사결정과 이러한 의사결정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민간의료보험가입 의사결정 분석에는 로짓모형이 그리고 민간의료보험가입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에는 이변수 프로빗모형이 각각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저소득계층, 노인층,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민간의료보험 가입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역선택 혹은 순선택 이슈에서는 다양한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는데, 건강이 나쁠수록 의료이용확률이 높아지는 역선택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나 노인층, 의료급여 및 특례자 등 높은 위험군에 속하는 개인을 가입에서 배제하는 가입자선별 행위에 대한 근거도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선호, 위험회피도 등과 같은 관측 불가능한 요인에 의해서는 순선택의 영향이 역선택의 효과를 능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민간의료보험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민간의료보험 가입자일수록 의료이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보장성이 높은 상품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역 혹은 순선택 등 다양한 방향의 선택 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의료이용의 증가가 모두 도덕적 해이로부터 비롯된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Using the data of the first half of 2008 Korea Health Surve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individuals` decision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PHI) and to measure the effect of this PHI decision on medical care utilization. Binary logit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Bivariate probit model is also employed to treat the endogeneity problem between insurance and medical visi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ost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income, age and sex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shown that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like the poor, the elderly and the handicapped are less likely to have PHI. Second, selection effect is not shown to have consistent results. Adverse selection is found with respect to health status, but favorable selection is also found in that high risk people are rejected from contracts. And unobservable factors like individual preference demonstrated there indicates favorable selection. Finally, the coefficient of PHI is positive and significant, implying that insureds and people with high coverage have high probability of medical utilization. But with the existence of multiple selection effect, it can`t be asserted that all the increased utilization is caused by moral hazard.

      • KCI우수등재

        지역발전도 및 지역불평등도의 측정

        박성복 ( Sung Bok Park ) 한국행정학회 1997 韓國行政學報 Vol.31 No.3

        1997년의 시점에서 지역지표를 사용하여 광역자치단체 간의 지역발전도 및 지역불평등도를 영역별 단계와 전체적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발전의 측면을 8개 영역으로 나누어 총 83개의 개별 지역발전지표들을 선정하였으며 그것들을 표준화 점수 및 요인분석 기법을 통하여 영역별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종합지수화 하며 단일의 측정치를 구하였다. 이 단일 측정치를 통하여 15개 광역자치단체들이 비교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8개 영역들에서 계산된 영역별 지역발전도를 근거로 각 지역이 차지한 영역별 순위들은 편차가 심했다. 종합 지역 발전도에서는 서울이 1위이고, 그 다음이 대전, 강원, 제주, 경남, 충남, 경북, 대구, 전북, 광주, 부산, 충북, 인천, 경기이고 전남이 최하위에 있었다. 특기할 사항은 본 연구와 주제가 유사한 기존의 대부분 연구들에서는 높은 순위를 차지하지 못했던 대전, 강원, 제주가 각각 2위, 3위, 4위를 차지했다. 둘째, 지역발전도에 대해 영역별 및 전체적으로 로렌츠 곡선을 그렸다. 특히 영역별의 경우 8개 로렌츠 곡선들이 모두 교차하여 지역간 비교가 곤란하였다. 셋째 지역불평등 지수로 변이계수와 지니계수를 계산하였는데 그 두 계수에 근거한 영역별 지역발전도의 두 순위결과들이 완전히 일치하였다. 불평등지수에 의하면 지방세계화의 영역에서 지역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의 영역이 지역경제력, 과학기술수준, 지방 사회간접자본 사회통합, 생활환경, 인적자본형성의 순이었으며, 지방행정이 지역격차가 가장 적게 나타난 영역이었다. 전체적인 지역발전도에 대한 지니계수는 C.4246으로 광역자치단체간 종합적 지역발전 수준을 비교해 볼 때 그 불평등도가 42.46%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